•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피타입 (P-Type), 한국어 라임의 교과서

Sirius Sirius
7496 1 1

202805_1_f.jpg

 

제가 가장 자주 듣고 좋아하는 힙합에 대한 이야기를 가볍게 해볼까 합니다.

우선 제가 가장 존경하는 힙합 아티스트이자 한국 힙합의 레전드 중 한 명인 피타입(P-Type)을 소개하려 합니다.

 

한국어 라임의 교과서, 라임의 정석, 라임의 선구자, 라임의 4대 천왕 등 다양한 수식어가 있는 피타입은 수식어에서 볼 수 있듯이 랩의 다양한 측면들 중, 라임에 있어서는 독보적인 존재 중 한 명입니다. 한국어로는 다양한 라임이 불가능하다는 편견을 보란듯이 깼던 선구자들 중 한 명이며, 지금도 한국어 라임의 한계를 계속해서 넓혀가고 있는 중입니다. 성균관대 철학과 출신답게 요즘 유행하는 스웨그 넘치는 가사보다는 철학적이고 시적인 가사가 많은 편입니다.

 

최근 쇼미더머니에 나와서 아쉬운 모습을 보이며 탈락해 피타입을 잘 모르던 일반 대중들에게 조롱을 받고 있는 모습이 안타까워, 조금이나마 피타입의 진면목에 대해 소개를 해볼까 해서 글을 작성하게 됐습니다. 각 앨범별로 한곡씩을 소개하고, 마지막엔 피타입이 라임을 만들어가는 방식을 설명한 라임 노트를 올려드리겠습니다.

 

1집 - Heavy Bass

- 피타입(P-Type) - 돈키호테 (Feat. 휘성)

1집의 대표곡 돈키호테 입니다. 지금의 피타입이 있게 해준 명곡이고, 언더그라운드 성향이 강하고 하드코어했던 1집 앨범의 전반적인 분위기보다는 조금 부드러운,  비교적 일반 대중들도 편하게 들을 수 있는 곡입니다.

 

2집 - The Vintage

 - 피타입(P-Type) - 소나기 (Feat. Soulman)

개인적으로 2집에서 가장 좋아하는 곡인 소나기입니다. 위 동영상은 원곡, 아래 동영상은 네이버 온스테이지 라이브 무대로 원곡에 비해 조금 더 세련되게 편곡된 버전입니다. 1집이 묵직하고 하드코어한 성향이었다면, 2집은 어쿠스틱과 재즈를 기반으로 한 성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소나기라는 곡은 황순원 작가의 소설 소나기를 모티브로 하여 작사를 한 곡으로 조용히 가사를 음미하며 들어보면 머리 속에 소설이 펼쳐지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3집 - Rap

 - 피타입(P-Type) - 다이하드 (Feat. Ali, MC Meta)

다이하드는 싱글 발매 후 3집에 수록된 곡입니다. 3집은 힙합은 폭력적인 잡종문화라고 비판을 하며 힙합계를 떠났던 피타입이 다시금 돌아와 발표한 앨범입니다. 부드러운 느낌이었던 2집보다는 하드코어한 성향이 있던 1집에 조금 더 가까운 성향의 앨범이지만, 1집에서 느껴졌던 날것 그대로의 거침보다는 한결 정제되고 성숙한 느낌의 강렬함을 지니고 있는 앨범입니다.

 

4집 - Street Poetry

 - 피타입(P-Type) - 광화문 (Feat. 태완)

광화문 역시 싱글 발매 이후 4집에 수록된 곡입니다. 4집 앨범에서는 1집에서 느껴졌던 하드코어한 느낌이 다시금 살아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1집 발매 이후 약 10년이 지난 시점에서, 피타입 본인이 10년간 보고 느껴온 것들을 풀어내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정규 앨범이 아닌 싱글 앨범에만 수록되어 있거나, 무료 공개곡, 피쳐링으로 참여한 곡 등에도 주옥같은 명곡들이 많이 있지만, 이 글에서의 소개는 이정도로 마무리할까 합니다. 부디 일반 대중들도 피타입이라는 아티스트의 진면목을 느낄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끝으로 네이버에 기획 기사 형식으로 올라왔던 피타입의 라임 노트 첨부합니다. 읽어보시면 문장의 끝 부분에만 살짝, 그것도 같은 모음이나 자음만을 이용해 라임을 만드는 상당수 래퍼들의 초보적인 라임이 아닌, 진정한 라임의 진수를 느껴볼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Intro. 한국형 라임의 선구자 피타입(P-Type)의 두드러진 각운 노트

안녕하세요, 피타입(P-Type)입니다. 이 글에선 한국어의 여러 특징 속에서 어떻게 랩 가사를 지을까에 관해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제 신작 음반 [3집 Rap] 속에서 잘 지어졌다고 생각하는 구절들을 도마 위에 올려놓고 이야기하면 조금 더 쉽고 재미있게 이야기할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본 글을 통해 모든 래퍼가 따라야 할 준칙을 세우고 싶은 마음은 없습니다. 다만, 집착하고 물어뜯기 좋아하는 제가 씹어놓은 결과들을 함께 공유하는 정도의 가벼운 마음으로 풀어볼까 합니다. 뭐 소위 말하는 "오픈 소스(open source)" 공개하는 정도의 느낌. 물론 취하고 말고의 선택은 여러분의 몫입니다.

 

Step 1. 명사를 활용한 Rhyming

도치법은 주어나 목적어를 서술어 뒤로 보내어 의미적으로 강조하기 위해 씁니다. "내가 너의 여자친구를 사랑해"라고 하면(화나긴 하지만) 평범하고 재미없을 문장을, "내가 사랑하는 사람, 바로 너의 여자친구"와 같이 뒤집으면, 듣는 사람이 말을 끝까지 집중하게 만드는(화나긴 하지만) 매력적인 문장을 만들 수 있습니다. 또는 "이게 바로 모두가 원하는 자연스러운 문장"의 경우처럼 종결어미를 생략해도 충분히 자연스러운 명사구의 경우도 자연스럽습니다. 명사가 문장의 끝에 위치할 경우, 어미가 끝에 오는 경우와 어우러져 Rhyme으로 선택할 수 있는 단어의 폭이 늘어나고, 따라서 표현이 풍부해집니다.
 
그 새 삐딱한 시[선들] 기억해둬, 행복을 살 땐 증명으로 [선불]
추억들은 선 굵은 모노톤 [데생]
갖은 말썽들로 채웠지. [대 쎈] 척 살아봤지만
그딴 건 다 [헛수고] 세월엔 무너졌지.
밤을 세[워 쓰고] 아침이면 찢어발긴 가사가 [백장]
사라진 [배짱]
- Love, Life, Rap (Feat. Gray) 中

 

Step 2. 문장의 끝? 마디의 끝! 
 
랩은 시각을 자극하지 않고 청각을 자극합니다. 음악이니까요. 언어를 소재로 사용하는 예술의 분과가 문학이기에, 시와 가사는 음악과 문학이라는 이중적 면모를 지닙니다. 노랫말의 경우, 청각적인 문학이지, 시각적인 음악이라고는 할 수 없을 것 같네요. 따라서 문장의 끝을 악보 상 마디의 끝과 일치시킬 필요는 없습니다. 행의 단위가 다른 셈입니다. 결론적으로는, 문장의 처음이나 중간에 위치해도 그 부분이 마디의 끝이라면, 그것은 각운(脚韻)입니다.
 
봇물 터진 듯 한 [감정]
널 원해, 성급한 [단정] 짓더니 난 또 [떨어. 그러다] 너를 향해 어느덧 [걸어 들어가]
긴장감이 가득[한 방 안]
그대를 맞이하게 된 [밤 강한] 내 심장 소리의 [당당함]
이제부턴 나도 [감당 안]돼
- 볼케이노 (Feat. 선우정아, 손수경) 中
 
무엇보다, Rhyme은 압운(押韻)을 뜻합니다. 압운은 행의 처음(두운, 頭韻), 가운데(요운, 腰韻), 끝(각운, 脚韻)을 모두 포함하기에, 마디의 어느 부분이 되었건 반복 감을 살려주는 게 더 중요합니다.
 
모두가 리얼 힙[합퍼네]
새로 산 [닥터네] 새빨[갛던 헤]드폰으로 귀 [닫고 내] 신발을 [딱 보네]
"쟤 노랜 [다 뻔해]" 그런 생[각도 내] 다 써놨지 [각본에]
나도 귀 [닫고 내] 평화를 [가꿔 매]일같이 온[갖 고뇌] 날 들이[받곤 해]도
DJ[가 또 내] rap 조[각 꺼내] 그때 깨[닫곤 해] 난 내 길 [갔던 애]
- OST : Peace (Feat. Paloalto, B-Free, Huckleberry P) 中

 

Step 3. Rhyme은 모음만 맞추면 된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아닙니다. 오히려 "자음/모음"의 구조보다는, "초성/중성/종성"의 구조로 이해하고 활용하는 게 더 효과적입니다. 한국어는 음운론의 관점에서.. 그냥 아래 표를 참조하세요.^^

130730_PType_724_1.jpg

 

제가 주관적으로 만든, 음운론적 관점과는 부분적으로 매우 무관한, 랩 작사의 경우에만 적용되는 표임을 밝혀둡니다.

[굳은] 표정 [두근] 대는 심장 [부근]
결[국은] 나의 친[구든] 아니든 동지 모두가 반정[부군]
 - 뿔 中

 

Step 4. 말로 만드는 퍼즐
 
저는 랩을 말로 만드는 퍼즐이라고 생각하며 가사를 씁니다. 위의 활용법들이 어느 정도 숙련되었다면 도전해볼 만한 단계가 아닐까 싶네요. 다채로운 Rhyme들을 자유자재로 패턴화하며 퍼즐 맞추듯이 가사를 완성할 단계가 되었다면, 연락주세요. 같이 노래 하나 만듭시다.
 
(빨리) 더 (달리)길 바라는 {듯하네} 성질 [급한]
추격자들 따위 난 관심 없다네. {극한의} 밤 애[틋한]
지난밤 그녀 감상에 (젖지 마) 뭐가 그리 복[잡해]?
아득할 땐 항상 목(적지만) 봐, 곧 도[착해].
발(길 익은) (길이든), 낯 선 느(낌이 든) (길이든) 끝은 [나리]
길이 들지 않아서 지(킬 이름) 난 (길 잃은) 들짐승 한 [마리]
 - Highway Trucker 中에서

 

Outro. 마치며..
 
이 정도 선에서 글을 마무리해볼까 합니다. 위의 이야기들 가운데에도 몇 가지 예외사항도 있고, 꼭 설명하고 넘어갔어야 할 부분들도 보이긴 하지만, 나머지는 음악의 몫으로 남겨두기로 합시다. 음반을 통해서 직접 확인해주시면 좋겠네요. 그래도 풀리지 않는 의문들, 또는 제가 미처 짚어내지 못한 부분들, 심지어 저조차도 제대로 못 해내고 있는 모든 부분은, 지금 이 순간 래퍼를 꿈꾸는 여러분들의 가능성에 맡겨두고자 합니다. 내일의 한국 힙합을 짊어질 여러분께 부디 짧고 미숙한 제 생각들이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었기를 간절하게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신고공유스크랩
영디비 영디비님 포함 1명이 추천

댓글 1

댓글 쓰기
profile image 1등
오래간만에 힙합음악 리뷰네요 ㅋ
저도 개인적으로 국내 힙합뮤지션중에서 피타입은 좋아하는 편인데요.
개인적으로 2집 같은 앨범을 한번 더 내주면 좋을 것 같네요.
요즘엔 피타입의 라임이나 래핑이 조금 올드하게 들릴수가 있어서
좋은 음악, 비트로 앨범을 내줬으면 하는 바램이 큽니다!
09:43
16.11.07.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