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음향

블투 코덱별로 음질 차이는 없다.

kalstein
7594 0 12

 유투브에 올라온 것때매 좀 얘기들 있던데... 
 댓글로 달까 하다가 조금 얘기가 긴거 같기도해서. 
  
 예전에 한번 찾아봤던적있는데... 솔직히 음질자체는 다들 귀로 듣는 디테일 이상은 됐었구요. 
 다만 sbc-hq 대비 최신 기술들이 무선통신에서 끊김에 강한면모를 보였습니다.  
 이게 뭔소린지 썰을 풀어보자면.  
 무선통신은 항상 에러를 내포하고있습니다. 100% 전송이라는게 존재할수가 없어요. 
 그렇게 맞춰서도 안되구요. 이걸 BLER이라고 하는데... BLock Error Rate 입니다. 
 
  예를들어 저걸 10%로 타겟팅 했다고 치면, 
 100을 보냈을때 10은 무조건 에러가 납니다. 그 10만큼은 재전송을 통해서 복구가 되죠. 
 (복구하는방법은 뭐가 통신학 전공자들의 복잡한 내용이 있는데...그건 패스. 잘 몰라요 ㅋㅋㅋ) 
 '아니 왜 BLER 타겟을 0%로 안함?' 
 그이유는 그렇게 맞추려면 기하급수적으로 전력소모가 많아지고  
 실제 전파자원이라는것은 유한한 자원이기 때문이죠.  
 (아무리 전력을 때려박아도...더 안좋은 결과가. 비유를 들자면 CPU 오버클러킹이라고나 할까요?) 
   
  
 자 그럼 무선에 강한 코덱이 뭔 말이냐. 
 간단히 생각하면 보낼수 있는 데이터 대역폭이 넓다로 보시면 됩니다. 
 그만큼 복구할수있는 redundancy 정보를 많이 담을수 있고, 
 위에서 말한 'BLER target' 을 맞추기 쉽다는 뜻이죠. 
 
 예를 들어보죠. 간단히 말하면 redundancy라는건 비슷한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보내서  
 통신할때 에러나도 복구가 가능해지는걸 말합니다.  SBC대비 APTX가 2배 강하다고 칩시다.  
 무선통신중에 숫자가 0.5씩 왔가갔다 할수있다고 가정하구요.
 
 원본데이터 '5 / 6' -> SBC에서 인코딩 '5 / 5 / 6 / 6' ->  
 무선전송시 손실 '5.5 / 5.0 / 6.5 / 6.5' -> 디코딩 결과 '5 / 7' 
 이렇게 되면 받는쪽에서 디코딩 못하겠죠? 그럼 퍽. 깨지는겁니다. 
  
 원본데이터 '5 / 6' -> APT-X에서 인코딩 '5 / 5 / 5 / 5 / 6 / 6 / 6 / 6' ->  
 무선전송시 손실 '5.5 / 5.0 / 4.5 / 5.5 / 6.5 / 6.5 / 6.0 / 6.5' -> 디코딩 결과 '5 / 6' 
 받는측에서 원본으로 복구가 쉽죠? 
   
  
 
 뭐 간략히 이렇다는 얘기고...저도 전공자는 아니라 더 깊이들어가면 몰라요 ㅋㅋㅋㅋㅋ

신고공유스크랩

댓글 12

댓글 쓰기
profile image 1등

 그냥 ios 유저들은 aac 쓰시면 되고 sbc만 지원한다면야 뭐 선택 고민 필요도 없겠지요
 
 안드로이드 유저들은 제조사가 권장하는 코덱 쓰는게 제일이라고 생각해요  
  
 혹은 사용하시면서 이 코덱 저 코덱 들어보시고 마음에 드는 코덱을 선택하시거나요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도 많이 겪어서...
 

 굳이 코덱의 종류에 매달릴 필요는 없는 것 같아요 
   
 현 시점에서는 말이죠
 

01:41
20.02.27.
profile image 2등

그러면 코덱간 음질차이는 손실압축 알고리즘에 따른 차이밖에는 없겠군요

03:10
20.02.27.
profile image 3등
Ecc 랑 원리가 똑같네여
04:10
20.02.27.

음.... 설명이 좀 이상하긴 한데... 데이터 전송시 패리티 비트를 추가해서 데이터가 틀리면 재전송 요청을 하고 이것이 늦게 들어오거나 에러가 나게 되면 실시간 전송의 경우 해당 부분은 패스 하게 되어 블루투스로 음악을 들을때 끊김이 발생하는것으로 알고 있어요. 패리티는 주민등록번호의 마지막 번호와 같이 데이터가 틀리지 않았다는것을 증명하는 코드죠. 쉽게 설명하기 위해 빗대어 설명하시다 보니 더 이상해진듯...^^;  
2,2,2,2를 겹쳐 보내는것이 아니라 2,3,4,5,6을 묶어 보내고 마지막에 2,3,4,5,6에 일정 수치를 연산해서 마지막에 이를 복구할 수 있는 코드를 하나 넣는거죠. 해서 2,3,4,X,6으로 전송되면 이게 틀린데이터라 마지막 숫자로 보정할 수 있는건데... 2,3,4,X,X로 전송되면 이는 에러복구를 못하니 빨리 전송해달라고 요청을 하고 이게 들어오는 속도가 떨어지면 에러가 나니 중간에 툭 끊긴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ㅎㅎ  
저도 설명하다 보니 더 이상해지는듯....ㅋㅋ

09:35
20.02.27.
sbc고음질모드가 mp3 192k~225k정도와 비슷한 음질을 보인다고하니, 사실상 블투 이어폰환경에서 코덱간 음질차를 느끼기가 쉽지 않습니다. 블투 환경을 고려했을때 aac가 꼭 유리하다고만 할 수도없고요. 안드로이드쪽에서 aac코덱사용시의 음질문제는 코덱성능이 아닌 다른 요인이 관여를 하고있는것 같은데, 해당영상은 블투 코덱의 환경적 특수성을 싹 무시하고 절대적 음질만 가지고 평가를 하더군요. 안드로이드에서 aac음질이 개판나는것도 다 알면서 aac가 최고다 라고만 하는데 약간은 의아했습니다. 두분 다 음향전문가이신데, 코덱 사용 환경적인 부분은 고려를 안하더라고요. 질문하시는 분이 좀 몰아가는것 같기도했지만서도..
10:31
20.02.27.
profile image
nalsse

영상을 스킵 하면서 보신건 아닐까 싶습니다.

aac가 이론적으론 가장 좋지만, 규격이 리시버 한정으로 정해져 있어서 스마트폰 등 출력기기에 따라 편차가 생긴다, 애플 제품의 aac는 믿을만 하다,

라고 정확히 언급이 되었습니다...

11:12
20.02.27.
No.38
흥미있는 주제여서 초반 도입부 빼고 인터뷰 부분은 다 봤습니다. 현재로서는 휴대기기 중에서는 애플제품의 aac인코딩 전송 성능만 믿을만한데 aac가 모든 환경에서 무조건 좋다는 식으로 마무리가 되어서 그렇습니다. 이론상 좋은것과 실제로 좋은것은 다른거라서요. aptx코덱과 sbc코덱의 강점이 지나치게 축소되어있었고요. 안드로이드 휴대기기 환경에서는 aptx가 aac보다 음질적으로 좋습니다. 영상에서는 이런 기기 환경적 특수성이 아주 비중이 적더군요. 블투 사운드 스트리밍이라는 관점에서 봤을때 aac가 절대적으로 좋은 코덱인가 생각하면 그건 아닌것 같습니다. 인터뷰 하신분도 이런점들을 다 알고 조심히 답변하시는것 같던데 결론이 저렇게 나와서 의아하다는 말이었습니다.
11:21
20.02.27.
profile image
nalsse

역시 받아들이는 바가 다 다른것 같습니다. 마치 음감 같네요^^
저는 시종 보면서, "상황 고려없이 무조건 aac가 좋다" 라는 인상을 받지 못해서요.

"리시버 제조사들은 aac 라이센스가 비싸서 apt-x로 마케팅을 했던 것 이고,
또한 안드로이드 제조사들은 aac에서 원가를 절감하여 신경써서 만드는 아이폰 대비 품질이 떨어진다."

라는 언급 자체가 있었기에, 댓글 주셨던 "안드로이드 휴대기기 환경에서는 aptx가 aac보다 음질적으로 좋습니다." 라는 것에 대한 답변이 되어 있다고 생각 됐네요.

15:05
20.02.27.
No.38

라이센스 비용을 따지면 aac보다 aptx코덱이 더 비쌉니다. 그래서 추가적인 마케팅이 필요했을것이고, 라이센스 비용이 더 싸면서 애플기기도 지원가능한 aac코덱이 선호되고있는 형국입니다. 영상에서는 안드로이드 기기에서는 aptx가 aac보다 음질이 더 좋다는 직접적인 언급은 없고, 영상 마무리에 aac있으면 걍 그거쓰면 된다고 마무리를 하고있어서 해석의 여지가 있긴 한 것 같습니다.

15:23
20.02.27.
뚠뚠이
삭제된 댓글입니다.
22:38
20.02.27.
뚠뚠이

https://www.soundguys.com/the-ultimate-guide-to-bluetooth-headphones-aac-20296/
https://www.soundguys.com/the-ultimate-guide-to-bluetooth-aptx-and-aptx-hd-19914/

이런 데이터를 보시면 생각이 좀 달라지실겁니다. 말씀하신 부분이 모두 데이터로 입증되어있습니다(안드로이드 기기에서의 aac 성능문제. sbc와 aptx의 경우에는 발생하지 않는 문제입니다.). 전문가라고 항상 정답만을 말할 수는 없는것이라, 영상을 보거나 글을 읽을때는 항상 비판적인 자세로 보거나 읽는게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말씀하신 영상에서는 aac의 음질적 우위성만 말하고있지, 블투용 코덱으로 사용될때 어떤 단점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크게 언급안하고 대충 넘어가더군요. aptx역시 음질적으로 aac와 큰 차이는 없는데도 음질이 나쁘다고만 하고요. sbc나 aptx는 스트리밍용 코덱으로 개발된 것이기때문에, 레이턴시, 연결성 측면에서 장점이 많습니다. 기술적으로 오래되었다고 해서 꼭 성능이 많이 뒤떨어지는것은 아닙니다.

aac가 거치형 기기나 애플 휴대기기에서 사용될 때는 제성능을 발휘하지만, 안드로이드에서 블루투스 실시간 스트리밍 인코딩용 코덱으로 사용될 때는 문제가 있습니다. 위에 링크에서 보시는대로 기기에 따라 sbc보다도 못한 성능을 보이기도 합니다. 위 측정에 사용된 화웨이 기기에서는 50db이상의 음량으로 재생시 노이즈가 가청되면서 다이나믹 레인지가 확 떨어지게 들리게 됩니다. 이런상황에서는 이런 문제가 없는 sbc가 훨씬 음질이 좋습니다.
sbc의 경우는 음질이 떨어지는것도 사실이지만, 고음질모드에서는 mp3 192~225kbps정도의 음질은 보여주는 상당히 준수한 코덱이기도 합니다. 인코딩시 전력도 적게먹는 장점도 있고요.

23:14
20.02.27.
nalsse

지금 댓글을 다는 분이 현업에서 직접 종사를 하고 계신가요?

H사에서 카오디오 시스템 제작하고 L사에서 오디오 칩
관련일을 하시고 코덱관련 일만 3년을 한 내노라하는 대기업과 일한  
압축 코덱 전문가인 프로 종사자인 유 대표님이 하는 말과,

출처도 측정자의 신분도 확실하지 않은 인터넷에 떠도는
알수 없는 회사와 일했던 프로필을 가진 에디터의 의견을
동일선상에 놓는건가요?

측정 데이터를 내밀어서 반박을 할거면 장비를 뭘 썼는지,
소프트웨어는 뭘 사용했는지 정확히 적어놔야 데이터로서
신뢰할수 있는 부분이 생기는건데,

이렇게 근거도 없이 개인이 수집한 데이터를 내밀면
이걸 어떻게 신뢰할수있나요?

그리고 제시하신 자료내용만 봐도, 퀄컴측에서 주장하는것처럼
Aptx-X가 CD와 동일한 음질을 낸다고 주장하려면 좀 더
정확하고 철저한 조사가 이뤄줘야 한다는 내용들이고,

자료가 조사된 시기도 지금보다 적어도 3세대 뒤쳐진
아이폰7때의 스마트폰을 기준으로 하고있습니다.

요즘 나오는 안드로이드 10계열 모델을 기준으로 AAC사운드가 어떻게 뽑힐지는
검증된 기관에서 검증된 장비로 측정을 해야 정확히 알수 있는 것입니다.

누가봐도 검증된 기관과 장비를 가지고 측정한 자료들을 제시하시거나, 
아니라면 수년간 관련 대기업 현업에서 일한 프로가 직접 발언하는 내용을 
가지고 오신다면 님의 말을 신뢰할수 잇겠죠. 
  
하지만 저는 이 분야에서 전문가인 김교수님과 코덱 전문가인  
유대표님의 말에 더 신뢰가 갑니다.
 
이런 출처가 불분명한 측정자료는 인터넷만해도 수없이 넘쳐납니다.

02:07
20.02.28.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월 활동 이벤트 상품 안내! 32 영디비 24.05.16.16:29 1232 +13
인사
normal
도훈 24.02.08.14:26 14 +1
인사
normal
케더 23.12.02.15:32 15 +2
인사
normal
EXVLF 24.01.28.09:43 15 +3
인사
normal
플제이 22.12.02.23:20 17 0
인사
normal
SYStem 23.11.10.21:46 17 +2
인사
normal
닉투 23.09.30.18:37 18 +3
인사
normal
연와사비 23.11.08.00:24 18 +2
인사
normal
bosco 23.12.20.15:30 18 +4
인사
normal
콩콩아빠 24.02.02.00:58 18 +3
인사
normal
동쓰72 22.10.01.13:31 19 +1
인사
normal
모부스 22.12.02.21:43 19 +1
인사
normal
두바이황태자 23.11.24.15:14 19 +2
인사
normal
Nnnn 24.02.08.00:33 19 +4
인사
normal
스닉궁수 22.07.02.12:08 20 0
인사
normal
소훈이 22.09.21.18:18 20 +1
인사
normal
XelloX 23.12.01.20:04 20 +3
인사
normal
한프런트 23.11.25.00:48 21 +6
인사
normal
YoonHan 24.01.31.04:30 21 +1
인사
normal
holaroid 22.05.07.17:06 22 0
인사
normal
아파파 22.09.19.10:00 22 0
인사
normal
-그리마링 22.11.06.09:55 22 +1
인사
normal
삼시기 23.10.02.20:35 22 0
인사
normal
블루커피 23.11.08.00:36 22 +4
인사
normal
이젠그만 22.05.12.10:48 23 +2
인사
normal
루샤나 23.06.29.11:07 23 +1
잡담
image
카드값안주는체리 24.04.01.15:53 23 +2
인사
normal
덤웨 23.08.28.23:23 24 0
인사
normal
피닌파리나 23.10.08.02:15 24 +3
인사
normal
말랑코딱지 23.11.29.14:34 24 +3
인사
normal
빨간얼룩말 23.12.06.02:04 24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