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잡담

LG 연구소 기분이 상당히 나쁘네요

길모어 길모어
6303 8 41
약 한달 전 소니캐스트 연구소에 피델리오 x3를 측정하러 가는김에 lg pk7 블루투스 스피커도 같이 가져가서 측정했었습니다

다운로드파일.jpg

다운로드파일1.jpg

Fr과 임펄스를 측정했는데 측정한 결과 역위상이 나와서 lg 서비스센터를 통해 측정치와 함께 연구소에 보냈습니다


그리고 오늘 서비스센터에 가서 lg 연구소 측 답변을 보면서 제품을 받아왔는데

일단 제가 문의한 건 2가지 입니다


1. Ap 장비로 측정했더니 역상이 나왔다

정상으로 보이진 않는데 원래 그런가?

정위상이 나왔다는 임펄스 응답 그래프와 함께 수리를 요청드린다

2. 제품 설명서에는 라이팅과 dsp 끄고 50% 음량에서 22시간 재생이라고 적혀있는데 6시간 재생하면 30% 남았다고 뜬다(과거에도 연구소에 제품을 보내서 테스트했는데 정상이라고 판정받아서 집에서 다시 테스트해본 결과 동일하게 30%에 6시간 나와서 30% 이하 용량에서도 쭉 써보니까 배터리가 정말 안닳는 것을 보아 인디케이터 설정을 잘못한 것으로 추정됨) 배터리 인디케이터 설정을 잘못한 것으로 보이는데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로 개선해달라


그리고 연구소측 답변은

1. Ap 장비 측정항목에 임펄스 측정은 없지만 소니 블루투스 스피커(xba 어쩌곤데 모델명 까먹었습니다)의 임펄스를 측정해서 자기들이 측정한 pk7과 비교해본 결과 동일하고 청감상 문제가 없다

2.배터리 사용시간은 자사 기준 하에서 측정된 것으로 실제 사용시간과는 다를 수 있다


솔직히 임펄스 역상 나온거는 단독으로 사용하면 별 문제 없으니 그려려니 합니다 그런데 배터리 인디케이터는 제가 사용하면서 계속 느끼고 불편했던 거라 문의했는데 아예 딴소리 하면서 무시하네요


거기다 진짜 문제는 그게 아니라 제품을 집에 가져와서 열어보니

IMG_20210203_154040.jpg

오른쪽 패시브 라디에이터에는 이런 테이프 끈적이 같은게 묻어있고


IMG_20210203_154655.jpgIMG_20210203_154953.jpg

왼쪽 패시브 라디에이터는 오른쪽 변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끝부분이 날카롭고 모서리가 라운딩이 안된 것처럼 날카롭게 되어서 왔습니다


IMG_20210203_154941.jpg

오른쪽과 비교해 보시면 확실히 차이가 나죠?


솔직히 어이가 없으면서 화도 납니다 실망도 되고요

대기업이라는 lg의 연구소 직원 분들은 고객의 재품을 조심히 다뤄야 된다는 개념 자체가 없는 듯 보입니다

마냥 저렴한 제품도 아니고 그래도 20만원돈 하는 제품인데요

하도 기가 차서 여기에 올립니다

거기다 이게 다가 아니라 ipx5 인증 받은 제품이다 보니 후면 포트를 덮는 커버에 고무패킹이 있는데 원래는 빡빡해서 잘 안열렸는데 이제는 손으로 툭 하면 힘없이 열려버리는군요


제가 이걸 확인하자 마자 서비스센터에 전화해서 엔지니어분께 말씀드리고 사진 보내드렸더니 고무패킹과 양쪽 패시브 라디에이터 모두 교체해 주겠다고 하시더라고요


솔직히 lg 제품들 쓰면 쓸수록 느끼는건 서비스센터 직원분들은 정말 고객을 위해서 여러모로 노력해 주신다는걸 느낍니다

덕분에 V40 쓰면서 문제가 많이 있었지만 무상교체도 많이 받았고요

이번 스피커도 마찬가지입니다


하지만 lg는 위쪽에 분명히 문제가 있어요

스마트폰도 남들 접을때 지들은 돌리네 마네 하면서 정신승리 하다가 말아먹었죠 꼴랑 5만대 팔렸다고 하더군요

남들 다 아는거 말 안들어먹고 맨날 윗대가리들 맘대로 추진해서 사활을 거네 마네 하다가 지금은 이지경까지 왔잖아요


말이 살짝 샌 것 같기는 한데 어쨌든 무상으로 교체받게 되어 다행입니다만

LG 연구소 분들 덕분에 썩 기분이 좋지가 않아 주저리주러리 하소연좀 해봤습니다


신고공유스크랩
ForeverABoy ForeverABoy님 포함 8명이 추천

댓글 41

댓글 쓰기
profile image 1등

그래도 다행히 교체해준다니..

16:57
21.02.03.
profile image
길모어 작성자
SunRise
그나마 다행이긴 합니다
17:36
21.02.03.
profile image 2등
역상이면 스피커에 +, -
잘못 결선 된 것 아닌가요?
단독 사용이고 뭐고간에 다 필요없고
QC불량에 반품각입니다.

소비자까지 넘어간 불량품이 생겼다면
생산공장 뒤집어져야해요.
17:24
21.02.03.
profile image
길모어 작성자
청년이여
그런데 원래 생산공정에 위상 측정하는 절차가 없는 듯 보입니다
그냥 역상인 줄도 모르고 생산한 듯 해요
이신렬 박사님께 물어보니까 역상인 제품은 정위상인 제품이랑 같이 사용할때 문제가 발생하지 역상인 제품끼리만 놓고 사용하면 문제가 없다고 하셔서 그냥 사용하려고 합니다
제가 뭐 어떻게 할수 있는것도 아니라서요
17:28
21.02.03.
profile image
길모어
역상이면 소리가 흐려져요.
AS기간 내라면 교환 해줘야 하구요.
조립 잘못된 불량품을
그냥 쓸 이유도 없구요.

바꿔 달라고하세요.

어씨~엘지 어이없네!
17:36
21.02.03.
profile image
길모어 작성자
청년이여
그래서 수리해달라고 했는데 소니도 똑같다고 정상이라고 우기니 할말이 없습니다;;;
17:37
21.02.03.
profile image
길모어
왜 자기네 상품을 소니랑 비교하죠?
청감상 똑 같다고?

똑 같으면 정위상 스피커랑 놓으면
차이가 없겠네요?

차이가 있으니 단독 사용을 상정한것
아닙니까?

그럼 잘난 역위상 가져가고
차이가 없는 정위상 스피커로
바꿔 달라고하세요!

정말 나쁜놈들이네요.
17:47
21.02.03.
profile image
길모어 작성자
청년이여
그러게요 저도 정말 기분이 안좋습니다
근데 저도 역위상이면 소리에 악영향이 있는 걸로 알고 있었어서 이번 황금귀 대회 참가하면서 이신렬 박사님께 여쭤봤는데 트위터가 정위상이고 우퍼가 역상인 것처럼 동시에 정위상&역위상을 재생하면 문제가 되지만 제 경우처럼 역상인 스피커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역상인거 2개 갖다놓고 스테레오로 써도 이상이 없다고 하시더라고요
그래서 그냥 포기하고 쓰려고 합니다
소니랑 똑같다고 정상이라고 우기는 거 보니까 대기업 애들이 제가 말해서 들어줄 것 같지도 않고요
여기자기서 논란이 되고 일이 좀 커지면 모르겠지만 그럴 리는 없을거 같으니까요 많은 분들이 관심있는 주제가 아니니
17:55
21.02.03.
profile image
길모어

헐~ 포기하시다니,
문제의 본질은 LG가 우기는 대로 그냥두면 불량제품도 문제없을 거라고 여기고
하자가 있는 것을 소비자에게 비싼값에 팔게 된다는 문제가 생깁니다. 
 

역상의 본질은 단순한 조립의 문제로 끝나는게 아니라서요. 
 

단순히 음극양극을 실수로 조립할 수도 있지만 그것도 여의치 않은게 
일반적으로 음과 양의 핀 크기가 다릅니다. 
 

즉 핀은 정상적으로 연결 했는데 연결 와이어가 애초에 불량 부품 일 수도 있구요.

정상 연결 했어도 스피커 유닛 자체가 불량일 수 있습니다. 
 

게다가 위의 스피커가 블루투스 스피커면 앰핑되는 모듈 내부에서

잘못 조립되었을 수 있는 것이구요. 
  
단순히 역상 하나만 보더라도 문제 삼을 수 있는 불량이 한두가지가 아닙니다. 
   
문제되는 스피커의 생산일자에 해당하는 스피커는 모두 뒤집어 까야 되는 문제입니다. 
  
PS) ....가만..... 이거 이미 LG가 알고 있는 문제 아닌가? 
그 스피커 생산일자의 제품 모조리 역상 문제가 있는 것 아냐? 
.... 어라?

18:07
21.02.03.
profile image
길모어 작성자
청년이여
제조사에서 문제없다고 우기면 소비자는 어떻게 보상받기가 매우 힘들어서요
당장 애플만 봐도 답 나오죠
사실 이번에 보내고 받는 데만도 한달 걸렸습니다
18:43
21.02.03.
profile image
길모어
나쁜놈들이네요.
엄연히 정위상과 역위상이
존재하는 것을 궤변으로
호도하다니!

이러니 폰 말아먹고
삼성에 가전을 잡아 먹힌다는
말이 나오지.

괘씸한것들!
지들 컴퓨터 부품에 역위상으로
파워 꽂아버려라!
19:47
21.02.03.
profile image
길모어 작성자
윤석빈
저도 v40 이후로는 이제 손절하려고요
17:37
21.02.03.

으잉? 자세히보니까 이 제품 트위터까지 따로 들어간 제품이네요. 트위터도 같이 역상으로 해뒀으려나요?ㄷㄷ 
정 거슬리시면 as 만료시점 즈음 직접 결선을 바꾸시는 수밖에는 없을것 같습니다. 소리에 큰 문제가 없다고 해도 기분이 찝찝하면 못쓰죠. 처분하고 다른 제품으로 갈아타시죠ㅎㅎ

19:03
21.02.03.
profile image
길모어 작성자
nalsse
음 트위터만 따로 떼서 측정하지 않는 이상은 저 임펄스 응답만 가지고 전체가 역상인지는 알 수 없는 걸까요?
근데 블루투스 스피커 중에서 트위터까지 들어간 놈들중에 aptx-hd같은 고음질 코덱까지 지원하는게 딱히 선택지가 없습니다 ㅠㅠ 애초에 저걸 산 이유도 그거라서요
뭐 소리 자체는 측정 결과도 플랫하고 만족하고 쓰고는 있는데..
+방수때문에 패킹&본드로 패시브 라디에이터를 붙여놓은 구조라 분해가 안됩니다 ㅋㅋ 서비스센터에서 하지 않는 이상은요
20:23
21.02.03.
길모어
저걸 주파수응답특성으로 변환해서 보면 이상여부를 좀 더 관찰 가능할 것 같긴한데, 임펄스만 가지고 쉽게 판단하기는 어려울 듯 합니다. 큰 이상은 없을것 같긴한데, 영 찝찝하시겠어요ㅠㅠ
20만원 이상 소니것들은 aptx-hd 지원은 안되어도 ldac이 지원되는것이 있는것 같던데, 그런것들로 갈아타는것도 방법이지 싶습니다.
21:03
21.02.03.
profile image
길모어 작성자
nalsse
이거 말하시는 건 아닌 것 같긴 한데 본문에 fr도 추가했습니다
혹시 저걸로 이상 봐주시는 건 어렵겠죠?
22:37
21.02.03.
길모어
약간 의심은 들어도 설마 반대로 썼겠습니까ㅎㅎ
방출하고 다른제품 영입하시는 쪽을 추천드립니다.
00:25
21.02.04.
profile image
길모어 작성자
nalsse
감사합니다
근데 이번에 거치형 입문하느라(L30때문에 듣지도 못하고 있지만) 거지되서 방출해도 쓸만한 놈으로 갈아탈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혹시 그래프상으로 봤을때 어떤 부분이 문제인지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00:36
21.02.04.
길모어

스피커 크로스오버 네트웍을 어떤걸로 구성하느냐에따라 역상으로 드라이버를 연결하는 경우도 있고해서 무조건 역위상이 잘못되었다 말하기는 쉽지않습니다. 케이스바이케이스라.
http://www.goclassic.co.kr/club/board/viewbody.html?code=audio&number=2273
이런 경우도 있거든요.

결국 최종 소리가 제대로 나고 있는가를 귀로 듣고 체크해야하는데 이부분이 별 문제없다면 그냥 쓰시면 될 것 같아요. 주파수응답특성 상으로도 크로스오버대역에 확실하게 문제가 있다고 단정할 정도의 큰 문제는 없어보입니다. 응답특성이 니어필드보다는 공간에 소리를 흩뜨려서 섞였을때 소리가 괜찮게 들리는 파티용 스피커 컨셉인것 같습니다. 제품 자체는 나쁘지 않은것 같아요.

하지만, 찝찝함이 발생한 제품은 끝까지 발목을 붙잡게 마련이니 적당한 놈으로 기변을 추천드립니다. 저는 저런 컨셉의 제품들 중 저렴한 제품인 하만 오닉스 스튜디오 2 이거 잘 썼었어요. 성능에 비해 아주 저렴한 편이기도 하고요. 신품가 14만원이었나 그럴때 샀었어서 아주 만족했었습니다ㅎㅎ

12:32
21.02.04.
profile image
길모어 작성자
nalsse
장문의 댓글 감사드립니다
일단 청감상에 별 문제는 없는 것 같긴 합니다
트위터까지 달려있고 고음질 코덱 지원하는 제품이 저 가격대에서는 딱히 대안이 없어서 아마 그대로 사용하게 될 것 같아요
음질에는 별 불만없이 만족하고 사용하고 있었거든요

오닉스 스튜디오도 예전에 찾아본 적이 있었는데 지원 코덱이 sbc 하나뿐이어서 끌리지는 않더라고요 ㅋㅋ
15:15
21.02.04.
profile image

위추드립니다. pk7 모델이 원래 역상인건가요?

22:16
21.02.03.
profile image
길모어 작성자
Blank
네 아마 그런 듯 보입니다
22:30
21.02.03.
profile image

안 되는 집은 죽어라고 안 되는 법

22:47
21.02.03.
profile image
길모어 작성자
정우철
맞습니다
제가 지금까지 쓴 lg 제품들 전부 문제가 있었네요
이제 손절할까 봐요
2020년 한해동안 lg 서비스센터 적어도 10번은 간 것 같습니다
솔직히 as를 잘 해준다고 해도 한두번이 아니다 보니 그 과정 자체가 너무 지치고요
이번처럼 우기면 답도 없죠
00:14
21.02.04.

저도 LG A/S 정책에 크게 실망했었죠 ㅠㅠ 그래서 요즘은 삼성 제품을 자주 써요!!!
 그리고 엘지는 부품 보유 기간도 아주 짧아서 논란이 많았었죠…….

00:05
21.02.04.
profile image
길모어 작성자
최소버클리음대
아까 서비스센터 가서 보니까 v40&50 디플 재고가 또 없는지 입고일이 2월 22일 이후라고 써있더라고요 ㅋㅋ
사실 as는 좋긴 한데 제품 자체가 문젭니다 lg는
아 윗대가리들도 포함이고요

저도 다음부터는 삼성 쓰려고 합니다
00:11
21.02.04.
길모어
저도 이 말에 동의합니다. 항상 위쪽이 문제가 많은 것 같아요 LG는
그래서 개인적으로 많이 아쉽네요ㅠㅠ
00:19
21.02.04.
profile image

우리들이 평소에 업무에 임할 때 어떻게 해야 하겠다는 걸 여실히 보여주네요.

00:45
21.02.04.
profile image
길모어 작성자
alpine-snow

메리디안이 튜닝했다고 광고하면서 위상체크도 안하고 생산한게 좀 어이가 없긴 하더라고요  
연구원 분들 업무태도가 개탄스럽기도 하고요

00:50
21.02.04.
profile image
길모어
걔넨 어떻게 해야 삼성으로 환승이 될까 한가지 고뇌만으로 24/7을 꽉 채우는 애들이라 일반적인 것도 기대하면 안됨
08:11
21.02.04.
profile image

윗선에서 내가 피쳐폰 시절에 말이야하는 이야기만 계속...읍읍...

16:12
21.02.04.
profile image
길모어 작성자
정훈_
괜히 망한게 아니죠 ㅋㅋ
이지경이 되도록 지들 고집대로만 하는 윗선도 참 대단한 것 같네요
16:16
21.02.04.
profile image

엘지는 가전 아니면 안사는게 속편한거같네요

16:16
21.02.04.
profile image

TW+WF 조합인 경우에는 일부러 TW와 WF를 역위상으로 설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3~4khz 부분 크로스오버 대역에서 정상으로 붙이면 딥이 더 심해지는 경우가 있어 역상으로 많이 설계 합니다.  그림과 같이 WF+TW 조합에서 검정은 정극이고 빨강은 역극입니다. 
 정극에서 딥이 생기면 일부러 역극으로 만들어서 튜닝 합니다.
 

극성.png

16:31
21.02.04.
profile image
길모어 작성자
HoilJeong
네 아까 nalsse 님이 걸어주신 링크에서도 비슷한 내용 봤습니다
근데 얘들 대답 보면 아마 그건 아닌 듯 싶은게 만약 일부러 그렇게 설계한거라면 그렇게 설명하면 되지 굳이 소니 스피커랑 임펄스가 동일하고 청감상 이상이 없다 라고 답변할 이유가 없기때문에 의도한 역상은 아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17:00
21.02.04.
profile image

양쪽 다 역위상일 경우 어째서 문제되지 않는지 미묘하게 납득이 힘드신것 같은데..  
예전에 저도 고민했던 주제네요. 정위상과 역위상을 섞어쓰면 어떤 문제가 생기는지 생각해보시면 이해가 빠를겁니다. 
  
 다들 아는 부분부터 차근차근 이야기해보면
 주파수라는건 1초에 몇번 사이클이 반복되는가?라는 수치입니다.
 예를 들어서, 100hz라면 1초에 100번 진동 사이클이 일어난다는 의미죠. 
 1초에 100번이라면 0.01초에 1번씩 소리의 한번 흔들림이 진행되고, 이게 반복된다는 말입니다.   
 
역위상이라는건, 파장 사이클이 반사이클 어긋나있다는 말과 같습니다. 
좌우 유닛의 한쪽이 정위상이고, 한쪽이 역위상인 경우를 예로 들자면 100hz의 경우 0.01초의 절반인 0.005초 가량 더 빨리들리거나, 늦게 들리는 셈입니다. 
  
 소리를 헤르츠라는 주파수와, 파장의 위상이라는 어려운 개념으로 생각하면 체감이 안되는데, 우리에게 익숙한 시간인 초라는 단위로 바꾸어서 접근하면 체감이 쉽게 됩니다. 100hz의 경우엔 1초에 100번 흔들리는거고, 역위상은 100hz에선 이게 0.005초 빠르거나 늦게 흔들리는 거라고 생각하고 읽어보세요.
  
 좌우가 다른 위상으로 들린다면 동시에 들려야할 소리가 동시에 안들리고, 모여들려야할게 분산되어 들리니 이 차이를 인식하실수 있다면 당연히 소리가 흐리게 들리겠지요. 과장좀 해서 딱! 하고 들릴 소리가 볼륨은 그대로인데 따악! 하고 길게 늘리고 이게 모든 소리에서 반복되면 당연히 명료도가 떨어지는게 결정적인 문제일겁니다.
 
그럼 이 차이를 인식할수 있냐 없냐의 문제겠죠?  
  
 근데 사람의 반응속도는 사실 0.005초의 차이는 인지를 잘 못합니다.  보통 사람이라면 해봐야 0.1초단위에서 인지합니다. 0.1초 단위의 차이를 인지하신다면 인지속도가 빠른겁니다.  동영상 볼때도 싱크가 0.2~0.3초이상 어긋나면 뭔가 어색하게 느껴지지만, 0.1초의 무려 20분지 1에 해당하는 0.005초 싱크 차이는 느끼는사람이 없다시피합니다. 블루투스 이어폰의 딜레이 이야기할때도 0.2초 이하는 큰 문제가 없죠.
 
그나마도 제가 예시로든 100hz라면 저역이죠. 고역으로 갈수록 더더욱 짧은 싱크차이가 됩니다.
   
 하지만 사람이 신기한게..., 아예 소리가 안들리거나, 좌우에 동시에 어긋나게 들리거나, 아예 근본적으로 다른소리가 좌우에 들릴때는 0.1초 단위에서나 차이를 인지하지만,  이렇게 양쪽 귀에 같은소리가 들려올 때 한쪽 소리가 타이밍 어긋나는건 또 귀신같이 잡아냅니다. 0.1초 단위의 20분지 1인 0.005초는 물론이고 그 10분지 1의 차이도 느낍니다. 그래서 좌우에서 위상 어긋난걸 인지할수 있냐 없냐를 보면 대부분 다 인지할수 있습니다. 
  
 사실 이 차이를 인지할수 있는 덕분에 우리는 소리가 어느 방향에서 들리는지 인지할수 있는것이기도 합니다. 들리는 소리의 볼륨 차이도 있지만, 왼쪽귀와 오른쪽 귀의 그 위상편차(타이밍)의 어긋남을 기반으로 뇌가 소리의 방향을 인지하거든요. 당장 바이노럴 음원이 공간감이 빼어난 이유는 바로 이 위치에 따른 위상편차를 구현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니까 양쪽이 둘다 역위상이면 문제가 없게 느껴지는데 한쪽만 어긋나면 이상한것 같은건 이래서이죠.  타이밍이 달라지면 모여서 들려야할 소리가 타이밍이 분산되어 들리니 당연히 명료하지 않을것입니다. 소리가 들리는 방향이 좌우전후 어느방향인지 파악할수 있는 기본적인 능력을 갖춘 사람이라면 충분히 인지 가능한 변화가 일어난다는 말이 됩니다. 
  
자, 역위상이 왜 문제가 되는지 알았으면 조금 심화 단계로, 같은 주파수가 아니라, 다른 주파수에서 위상차이가 어떤 영향을 줄지 생각하게됩니다. 일단, 크로스오버 영역에서 재생주파수가 미묘히 겹치는 경우에 한정하자면 소리의 증폭과 상쇄시키는 영향이 생길수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댓글에서도 설명하셨듯, 다른 주파수에서의 위상차이는 오히려 트위터와 우퍼간의 크로스오버 영역에선 오히려 소리라는 이름의 진동의 증폭과 상쇄영향을 반대로 이용할정도로 튜닝에 이용될만한 요소로 돌변합니다. 
  
역위상 튜닝을 하는 사람들이 바보가 아닌 이상, 여기서 나오는 결론은 결국 같은 주파수 내에서의 비교에선 그 타이밍이 뒤틀리는게 의미가 있지만, 재생속도 자체가 완전히 다른, 다른 주파수간의 소리에선 파장이 겹치다보니 생기는 증폭이나 감쇄등, 특정 주파수의 볼륨에서의 변화는 의미가 있지만, 다른 주파수와 타이밍이 맞지 않는다는 변화에는 의미가 없다는 결론이 됩니다.  
  
왜 이런 결론이 나올까? 차근차근 생각해보면 역시 납득이 가능한 말이 됩니다.  
  
 주파수랑 위상이라는 두가지 다른 단어를 써서 다른것처럼 설명했지만, 결국 진동이 얼마나 자주 일어나는지라는 '시간' 개념으로 주파수를 생각하면서, 위상은 그 진동이 콤마 몇초 어긋난것과도 같은 '시간' 이라고 생각하시면 두가지가 시간이란 핵심적 요소에서 공통점을 공유하고 있는 특징이기 때문입니다.
  
했던 말의 반복입니다만, 사람이 같은 소리의 타이밍이 어긋나는건 귀신같이 인지합니다. 좌우의 소리를 구분하는 능력의 태반은 이 인지능력에서 온거입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엔 0.1초단위로 온다면 모를까, 그 10분지 1 이하의 세계에선 인지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근데 주파수가 다른 소리라는건 애초에 진동 재생속도가 다르다는 말이니 아예 타이밍이 처음부터 다른 소리라는겁니다.  
  
그래서 "다른 타이밍에 들려오는 게 당연한 소리(다른 주파수 소리)"를 "동시에 소리가 미묘하게 다른 타이밍에 들려올때 만큼은 귀신 같이 잡아내는 인지능력"으로 잡아내긴 힘드니까 그 괴리를 인지 못한다는 것이겠죠. 소리가 겹치고 상쇄되는 볼륨의 차이를 제외한다면요. 
  
 결국 위상반전의 문제는 같은 주파수에서, 좌우 유닛간에 재생 타이밍이 차이가 발생하면 사람 귀가 귀신같이 그걸 잡아내서 명료하지 못하다고 느끼는게 가장 크다고 볼수 있겠지요.. 
  
 그것과는 별개로 제품 상태 악화시켜서 보내는 서비스를 호평할순 없겠지만... 찝찝하다 뿐이지, 역위상 걱정은 안하셔도 될겁니다.

20:01
21.02.04.
profile image
길모어 작성자
청염
같은 주파수를 재생하는 양쪽 유닛의 위상이 반대라면 문제가 되지만 크로스오버 영역에서 튜닝을 위해 미드레인지랑 트위터의 위상을 다르게 하는 등의 튜닝은 문제가 없다는 말이군요
사실 위상 문제는 이번에 측정해보기 전까지는 크게 신경쓸 일이 없기도 해서 별로 관심을 두지 않은지라 그냥 대충만 이해하고 있었는데 명확하게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결국 같은 대역을 재생하는 두개의 유닛의 위상이 각각 반전되어 있다면 청감상의 차이가 느껴진다는 말인데 스피커를 재생해봤을 때 이상을 느끼지 못했다면 같은 대역을 재생하는 유닛끼리의 위상반전은 없다고 봐도 되는 건가요?
21:28
21.02.04.
profile image
길모어

네, 적어도 저는 그렇게 이해합니다.  
  
좌우 위상이 어긋난다면 눈에띄는 음질 변화가 있을겁니다.  
명료함이 떨어지는 것도 느끼실테지만, 
무엇보다 소리가 들리는 위치가 좌측이나 우측으로 쏠린거 같다는 느낌,   
 
혹은 적어도 중앙은 아닌거 같다는 느낌을 받으실겁니다. 
표현하기 힘들어도 정상과는 다른 소리라는 것은 음향 입문자도 알수 있는 변화가 있을거라고 봅니다. 
단순히 살짝 덜 명료해지는 호불호의 영역이 아니라,  
 뭔가 완전 무선 이어폰에서 좌우 싱크가 어긋난것에 근접한 뭔가 이상한 소리가 들릴겁니다.

12:38
21.02.05.
profile image
길모어 작성자
청염
덕분에 개념 하나 잡고 가는 것 같네요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14:00
21.02.05.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월 활동 이벤트 상품 안내! 32 영디비 24.05.16.16:29 1236 +13
잡담
normal
아빠안잔다 20.08.10.23:31 9.3만 +1
잡담
image
goldenboy2 20.03.24.03:25 6.2만 0
잡담
image
nerin 23.07.16.12:16 5.7만 +6
잡담
image
청년 23.09.28.10:26 5.7만 +8
잡담
image
트리거왕 23.05.28.13:59 4.7만 +3
잡담
normal
플라스틱걸 20.03.21.15:19 4만 0
잡담
image
Stellist 23.05.08.16:21 4만 +1
잡담
image
alpine-snow 23.06.11.22:28 3.7만 +6
잡담
image
포미더블 20.04.12.18:56 3.6만 0
잡담
image
Stellist 22.01.03.17:34 3.5만 +4
잡담
normal
awergyv1 20.05.26.19:25 3.4만 0
잡담
image
굳지 22.03.26.04:58 3.4만 +3
잡담
image
소닉유스 23.06.28.22:46 3.4만 +16
잡담
normal
noname 19.09.15.01:38 3.2만 +2
잡담
image
굳지 22.09.24.06:45 3.2만 +2
잡담
image
청년 23.06.17.07:56 3.2만 +6
잡담
image
연월마호 22.03.24.01:09 3.2만 +2
잡담
image
청년 23.05.16.13:26 3.1만 +2
잡담
image
goldenboy2 20.03.18.19:31 3.1만 0
잡담
image
mnmnmn 18.03.20.23:04 3만 +1
잡담
image
카르벤 20.04.07.07:58 3만 0
잡담
image
iHSYi 23.05.26.03:12 2.9만 +5
잡담
image
EX이헤갤러 22.06.20.21:18 2.8만 +19
잡담
image
カードキャプターチェリー 23.05.29.01:59 2.8만 +5
잡담
image
추파춥쓰 19.11.29.05:38 2.7만 +2
잡담
image
예림이아빠 19.02.12.06:37 2.7만 +3
잡담
normal
iHSYi 22.05.13.06:43 2.7만 +6
잡담
image
청년 23.05.17.17:55 2.4만 +4
잡담
normal
TWS 19.11.10.11:47 2.4만 0
잡담
image
COCT 20.05.04.11:10 2.4만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