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잡담

출력 볼때 채널별인지도 잘 봐야겠네요 (btr7, 큐델릭스)

kalstein
6242 0 26

 글들보다가 btr7출력이 좀 약하다고 그래서...자세히 살펴보니 ㅡㅡ;; 
  
 fiio btr7의 경우 thx aaa-28 모듈을 사용하고 이는 스펙상 32옴에서 90 / 169 mW per channel 입니다. 
 아마 뒤에 169는 high gain으로써 동작가능한듯... 
 그리고 btr7스펙에는 32옴에서 320mW 라고 표기되어있네요. 스테레오 출력 합해서 써놓은듯합니다.
  
 그리고 큐델릭스의 경우, 매뉴얼에 채널당 80/240 (se/bal) mW per channel 입니다. 
 이러면... 가격이 더 고급기종으로 설정된게 btr7 아닌가 싶은데요. 
 출력으로 따지면 훨씬 떨어지네요 ㅡㅡ;;; 
 fiio q5s-tc 정도 모델 되어야 thx aaa-78 모듈을 사용하고, 32옴에서 350mW per ch 출력이네요... 
 근데 저거 가격이 어마어마할텐데 ㅋㅋㅋ 
  
  
 다시한번 블투지원 기기는 큐델릭스가 건재함을 알게되었네요;;; 
 스펙 살펴볼때 채널별인지 총합인지 잘 구분해서 봐야겠습니다.

신고공유스크랩

댓글 26

댓글 쓰기
profile image 1등

제가 사실 그동안 출력, 감도, 저항을 대충 대충 봤는데, 
이제는 슬슬 공부를 해서 따져보면서 스펙을 다시 볼려고 합니다.

14:00
22.10.11.
profile image 2등
큐델에서 추가로 앰프를 걸때 큐델 출력이 너무 높아도 소리가 안좋더라구요

소스볼륨이라기 보단 큐델 앰프 볼륨을 올리는 셈이되서 그런지

볼륨을 올려서 1000mVrms 까지 올리면 아주 소리가 안좋습니다.

소스기기 최대란 PC에서만 인거 같음
14:07
22.10.11.
kalstein 작성자
Imfinzi
아 큐델출력을 다시 앰핑한다면... 굳이 볼륨 엄청높이지않아도 되지않나요 ㅎㅎ
적당히 높은거야 좋긴하겠지만요.
14:18
22.10.11.
profile image
kalstein
큐델 단독으로 들을때는 볼륨을 별로 안높히니까 300mVrms 이상 전압이 오를일이 없었는데 다시 젠에어 같은애로 두번 증폭할때 무지성으로 큐델 볼륨을 올렸더니 아주 소리가 지저분해지네요

예상할수 있는 부분인데 경험을 하고나서야 알게 됬네요

OPAMP는 큐델을 안거치고 큐델의 DAC 기능만 쓸수 있게 바이패스가 된다면 더 좋을수도 있를거 같은데 그런 기능은 없겠죠...

개발자 블로그에 이미 저같은 전기공학 무지렁이들을 위해 글을 써놨었네요

이해가 다 되는건 아니지만 도움은 되네요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28981038&memberNo=49910556

14:31
22.10.11.
profile image 3등

btr7 출력이 약하다구요? 
제가 HD820을 아웃도어용으로 쓸 때 가끔 btr7을 사용하는데,  

음악을 크게 듣는 편인 제가 최대한 빵빵하게 들을 때도 풀볼륨 근처까지 가본 적이 없는데요. 

도대체 얼마나 무시무시한 리시버들을 연결해서 들으시길래 출력이 약하다고 하시는 걸까요? 
 

15:09
22.10.11.
profile image
ilvin
빵빵하다는 기준이 사람마다 다른데...

어쨌든 거치형은 32ohm에서 대부분 1000~2000mW는 가뿐히 넘기는데

320mW면 부족한 기기는 꽤나 많을거 같습니다.

이런류의 대화는 보통 평소 음압을 얼마로 듣는지 정해놔야 되기도 하고..
15:13
22.10.11.
profile image
ilvin
풀볼륨은 대부분 가지 않지만, 리시버에 따라서 감도가 낮거나 임피던스가 높은 경우가 있어서 어쨌든 출력은 확보하는게 좋습니다.
마티즈로 시속100km 가는 것과 페라리가 시속 100km로 가는건 완전 다른거니까요.
15:59
22.10.11.
kalstein 작성자
ilvin
음...본문을 다 읽으신거 맞으신건가요.
큐델릭스 대비해서 생각보다 많이 떨어진다는 내용입니다.
가격대를 봤을땐 더 높은 출력이 나와야 될꺼 같았거든요.

출력이라는게 넉넉할수록 좋긴하니까요.
물론 저도 큐델릭스를 50%이상 높여서는 거의 안듣긴합니다만...
넉넉한 출력을 가지는 경우 순간피크로 요구될때 잘 대응되는거 같습니다.
16:12
22.10.11.
profile image
ilvin

거치형 앰프 출력을 끌어다 붙이는 건 의미 없을 것 같습니다.
 BRT7 출력이 약하다고 하는 사람들이 설마하니
거치형 앰프와 비교해서 하는 말일까요?
그리고 큐델릭스와 UP5, BTR7을 모두 갖고 사용하고 있는 입장에서
밸런스드 부스트 기준으로 BTR7이 저 중에서는 가장 출력이 셉니다.

16:19
22.10.11.
kalstein 작성자
ilvin

음... 전 실제로 가지고 있는건 아니고 스펙표기 된것만 가지고 말씀드리는겁니다.
다른분들도 btr7에서 표기된 수치를 보고 좀 낮지않나? 라고들 할꺼 같아요.
큐델릭스가 표기된 mW는 가장 높습니니다. 
  
 설마 거치형하고 비교하겠어요... ㅎㅎ 거치형들은 W 단위로 올라가는 애들이 있어서요.

16:37
22.10.11.
profile image
kalstein

거치형 얘기는 다른 분 댓글에 대한 겁니다. 
  
그리고 그 전의 댓글도 'kalstein'님께 드리는 말씀이 아니라  
 글에 언급하신 'BTR7출력이 좀 약하다'고 하는 분들께 가볍게 던진 말이었습니다. 
 오해가 있었다면 죄송합니다.

16:40
22.10.11.
profile image

큐델도 2vrms모드는 hpamp를 활성화하면서 "배경 노이즈가 들어갈 수 있다"라고 앱에서 언급하고 있습니다. 저는 출력이 크냐 아니냐보단 이런 앰프 설정을 바꿀 수 있다는게 더 매력적인 거 같습니다. 다만 웬만한 리시버는 이런 노이즈 체감은 어렵겠지요.
 
thx는 원래 노이즈 없기로 유명했던 앰프인데 모바일 thx28도 같은 특성을 공유한다면 이쪽이 더 낫지 않을까 생각도 드네요. 
한편으론.. btr7은 제 기준 너무 크고 무겁습니다. ㅠㅠ 전 큐델 배터리용량 설문조사 할때도 무조건 작은거! 작은거! 를 외쳤던 사람입니다.

16:03
22.10.11.
kalstein 작성자
아마티
thx쪽이 노이즈 성분 같은건 더 좋을꺼 같긴합니다.
다만...음. 그게 체감되는 영역은 아닐꺼 같긴해서;;; 소수점으로 몇자리 밑으로 가는수준이니까요.
16:13
22.10.11.
kalstein 작성자
아마티
근데 btr7이 많이 큰가요? 작아뵈던데... 물론 큐델릭스가 더 작아보이긴합니다만 ㅎㅎ
16:39
22.10.11.
profile image
kalstein
큽니다. 형상 차이도 있고.. 무게는 제조사 스펙으로 찾아보면 67 vs 25 입니다. ㅠㅠ
16:42
22.10.11.
profile image
kalstein

큐델릭스는 누가 봐도 포터블로 부담없는 크기이지만
BTR7은 사람에 따라 부담스러움의 경계에 걸치는 크기이기 때문에
심리적으로 실제 차이보다 더 크게 느껴집니다.

16:46
22.10.11.
보통은 한쪽 채널 출력만 표기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16:57
22.10.11.
profile image

BTR7 출력 320mW/채널이 맞는 것 같습니다. 
https://fiio.com/btr7 의 개념도를 보면 THX AAA-28 이 4개가 채널별로 2개씩 push-pull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그러니까 160mW 가 하나는 + 하나는 - 쪽으로 작동해서 총 320mW 가 되는 것이죠. 
 
수정: THX AAA-28 이 1개당 2채널을 맡을 수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러니까 2개 4채널을 하나는 + 하나는 - 로 작동하는 것이겠지요.

17:08
22.10.11.
kalstein 작성자
누구게
음 그림에는 4개로 그려졌지만, 28 앰프 자체는 2개 쓴거 같네요. 그럼 채널달 320이 맞긴하겠습니다.
그럼 큐델릭스보다는 확실히 우위네요. ㅎㅎ
17:55
22.10.11.
profile image
kalstein
회로도에서 aaa28 박스가 4개가 있는데, 28이라는 부품이 4개 박혀있다는 것인지, 그게 아니라 28의 구성이 병렬로 2알 들어간 세트에서 2개만 썼다는 것인지 판단이 어렵습니다
저는 박스가 더 큰 박스로 두개두개씩 묶어서 그려놓지 않았기 때문에 4개인 것 같습니다
즉, 4.4 밸런스드 단자 기준으로 접점 하나마다 28이 한놈씩 대응하는 것이고, 또는 왼쪽에 둘 오른쪽에 둘 이렇게 배치된 것이기도 하겠지요
물론 언밸일 때에는 왼쪽오른쪽 하나씩만 붙습니다
궁금해서 thx 비교표도 찾아봤습니다
28 출력이 90/169라고 되어있네요
더 헷갈려 하다가 윗칸의 테스트 컨디션이 3.6볼트랑 5볼트 두가지인게 힌트일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5볼트로 구동하면 32옴에서 169mW이고 3.6볼트로 구동하면 90mW의 파워가 나온다는 말인가보다 하고 넘어갑니다
그렇다면 btr7에서는 28에 5볼트를 줘서 구동시켜야 하겠지요
btr7이 PO(Phone Out, 언밸)에서 채널당 160이라 하는데, 언밸런스드에서는 왼쪽오른쪽 하나씩만 붙어서 드라이빙을 하니까요
또는 그게 아니라 그저 보통상태랑 부스트랑 구분하는 것일 수도 있겠는데 이건 안 중요합니다
아무튼 3.5단자 꽂고 160mW면 현존 꼬다리들보다는 확실히 한끗발 높은 파워에요
꼬다리판 양대 디펜딩챔피언 겸 스펙의 상한 스탠다드인 ru6가 32옴 언밸이 138인가 하고 w2131은 124인가 125입니다
큐델 언밸은 80이구요
밸런스드는 역위상 담당하는 나머지 둘이 더 붙어서 파워가 딱 두배로 늘어 320이 됩니다
이보다 강력한 파워를 낸다고 자랑하는 꼬다리가 두갠가 세갠가 시판중이기는 합니다만은.. 퀄리티가 입증된 물건들의 밸런스드 출력이 200 내외에 다 모여있어서 역시 btr7이 명목상으로 한 수 위의 자리는 yuji한다고 쳐주고 싶습니다
하지만 저는 이번 턴도 지나갑니다
안 사요 :)
20:59
22.10.11.
kalstein 작성자
정우철
회로도엔 4갠데 광고 문구를 보면 2개를 썼다고 되어있습니다. 그냥 2채널 2개를 그리다보니 4개가 된거같아요.
22:23
22.10.11.
kalstein 작성자
정우철
블투 댁이 하나더 있어서 사무실 하나 집 하나 쓰고싶다보니... ㅎㅎ 더 상위는 가격이 워낙 안드로메다로 가니 btr7에 좀 관심이 있네요.
22:35
22.10.11.
profile image
누구게
개념도 찬찬히 보니까 좀 신박하네요
dac출력부터 양전압인데 그걸 1번 앰프에는 앞으로 넣어서 2배 증폭하고 2번 앰프에는 뒤로 넣어서 또 2배 증폭, 3.5에는 1번신호만 연결하고 4.4에는 1번+랑 2번-를 같이 보내서 밸런스드,
이러면 이론적으로 밸런스드가 2라인이 아니라 4라인으로 구성이 되는....
병렬로 돌리는게 snr 높이는 효과가 있다는건 이해하고 있는데 이게 이렇게까지 해야 되는건가 싶기도 하고, 실은 원래 이렇게 만드는거고 다들 해오던 기법인것 같기도 하고..
18:25
22.10.11.
profile image
정우철
김교수님 유튜브 채널 보면 push-pull 방식은 꽤 예전부터 쓰던 방식이긴 한데 단점때매 요즘은 잘 안 쓰인다는 듯 합니다. 뭐 btr7정도의 작은 기기에서는 타이밍 맞추기가 쉬워서 사용되는 것일 수도 있고요.
20:18
22.10.11.
profile image

  THX앰프의 특성상 프시풀이라서  
 체널당 160이라고 해도 2개면 4체널이니까 640이 나오는게 아닌 
 320이라는 설명이 있는데 일반 방식 320보다 쎄다는 말도 있고요. 
 정확한건 잘 모르겠네요.  
 숫자의 크게 연연하는 차이파이 특히 스펙을 추구하는 브랜드가 
 더 비싼 비용이 들어갈 THX를 쓰고 더 선전하는거 보면  
 THX가 파워뿐 아니라 뭔가 더 좋은 점이 있는듯 하긴 합니다.
  

23:29
22.10.11.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월 활동 이벤트 상품 안내! 32 영디비 24.05.16.16:29 1286 +13
잡담
normal
아빠안잔다 20.08.10.23:31 9.3만 +1
잡담
image
goldenboy2 20.03.24.03:25 6.2만 0
잡담
image
nerin 23.07.16.12:16 5.7만 +6
잡담
image
청년 23.09.28.10:26 5.7만 +8
잡담
image
트리거왕 23.05.28.13:59 4.7만 +3
잡담
normal
플라스틱걸 20.03.21.15:19 4만 0
잡담
image
Stellist 23.05.08.16:21 4만 +1
잡담
image
alpine-snow 23.06.11.22:28 3.7만 +6
잡담
image
포미더블 20.04.12.18:56 3.6만 0
잡담
image
Stellist 22.01.03.17:34 3.5만 +4
잡담
normal
awergyv1 20.05.26.19:25 3.4만 0
잡담
image
굳지 22.03.26.04:58 3.4만 +3
잡담
image
소닉유스 23.06.28.22:46 3.4만 +16
잡담
normal
noname 19.09.15.01:38 3.2만 +2
잡담
image
굳지 22.09.24.06:45 3.2만 +2
잡담
image
청년 23.06.17.07:56 3.2만 +6
잡담
image
연월마호 22.03.24.01:09 3.2만 +2
잡담
image
청년 23.05.16.13:26 3.1만 +2
잡담
image
goldenboy2 20.03.18.19:31 3.1만 0
잡담
image
mnmnmn 18.03.20.23:04 3만 +1
잡담
image
카르벤 20.04.07.07:58 3만 0
잡담
image
iHSYi 23.05.26.03:12 2.9만 +5
잡담
image
EX이헤갤러 22.06.20.21:18 2.8만 +19
잡담
image
カードキャプターチェリー 23.05.29.01:59 2.8만 +5
잡담
image
추파춥쓰 19.11.29.05:38 2.7만 +2
잡담
image
예림이아빠 19.02.12.06:37 2.7만 +3
잡담
normal
iHSYi 22.05.13.06:43 2.7만 +6
잡담
image
청년 23.05.17.17:55 2.4만 +4
잡담
normal
TWS 19.11.10.11:47 2.4만 0
잡담
image
COCT 20.05.04.11:10 2.4만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