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음향

64 Audio Volür.

연월마호 연월마호
709 7 19

https://www.64audio.com/products/volur/


64오디오의 Nio를 계승하는 2DD+8BA 이어폰 Volür의 정보가 풀렸었군요.
알려진 대로 isobaric 2DD를 사용했는데 설계 방향이 차이파이에서 유행하는 형태와는 다르고,
tia 드라이버에 waveguide를 추가한 부분도 기존 64오디오 이어폰들과 차이를 보입니다.
가격은 역시 64 답게 2499달러로 매우 비싼 편이고,
특이하게 U4s에서는 기본으로 포함되어 있는 m12 모듈을 한시적으로 구매시 제공한다고 합니다..;;
(아니 그냥 따로 구매할 수 있게 풀라니까..)
일단 설계 방향에서 기존과 차이가 나는 부분이 좀 보여서 청음은 한 번 해 보고 싶긴 합니다.
<다만 평가들을 보니 죄다 저음역대 쪽에만 점수를 주는 게 영 거슬리지만..>

연월마호 연월마호
64 Lv. 82290/84500EXP

Smartphone
Samsung Galaxy S24 Ultra

DAC/AMP

TOPPING E30 II+L30 II
iFi audio GO bar KENSEI
 Earmen Angel
iBasso DC-Elite

MOONDROP MOONRIVER 2:TI

Headphones
[Open]
ZMF Auteur Classic LTD
SONY MDR-MV1
AKG K501
Sennheiser HD600
beyerdynamic DT880 (Flat)
[Closed]

Focal Celestee
SONY MDR-CD900
YAMAHA HP-1
ASHIDAVOX ST-31

Earphones
[Earbuds]
UCOTECH ES-P2
SONY MDR-E931SP

[IEMs]
ORIVETI OH700VB
MOONDROP Solis
HiditionGaming T-100
final VR3000
AZLA ASE-500 ASMR
[TWS]
Samsung Galaxy Buds FE
BOSE Ultra Open Earbuds
Anker Liberty 4 NC
Samsung Galaxy Buds2 Pro
신고공유스크랩
박지훈 박지훈님 포함 7명이 추천

댓글 19

댓글 쓰기
profile image 1등

측정치론 그 자극적이라던 u18t보다 고음은 더 솟아있던데...  좀 궁금하긴 하네요

11:44
23.09.30.
profile image 2등

64오디오라면 항상 관심이 갑니다. 트리오랑 비슷하다는 평을 본 적이 있습니다. 가격 생각한다면 그냥 트리오를 사겠다고 하더군요. -_-;;

11:58
23.09.30.
profile image 3등

Isobaric 2dd는 무슨 목적으로 만드는지 찾아봤습니다. 홈페이지 가보니 한쪽은 로우패스필터를 거쳐서 음파가 나오고 한쪽은 배플로 막힌채로 두개의 dd가 관으로 연결되어있는 것이 보입니다. 홈페이지에서는 왜곡을 줄여주고 디테일을 더 강화시키는 것으로 설명합니다. (lowering the noise floor to a darker background between notes and beats, allowing details to shine.)

반면, 차이파이에서는 예를 들어 블레싱3, 모나크 마크 3가 2dd인데, 블레싱3는 푸시풀드라이버 방식이고, 모나크 마크3는 아이소베릭이라 설명하고 있으나, 푸시풀에 가깝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그리고 두 이어폰 모두 왜곡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고 본 기억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방향성은 64오디오와 차이파이는 2dd의 방향성이 같은게 아닐까요? 물론, 실제로 어떻게 작동하고 무슨 역할을 하는지는 광고나 설명문구가 아닌 측정을 통해서 확인하는 것이 맞겠습니다. 다만, 그렇게 하기에는 어려워서 광고 혹은 설명 문구로만 비교해본 점을 양해부탁드립니다. 모르는 점이 많으니 양해부탁드립니다.


P.s. 모나크 마크3가 푸시풀에 가깝다는 의견은 청년님 블로그를 참고하였습니다. (https://m.blog.naver.com/takeitslow7/223190732065)

15:53
23.09.30.
알린

참고로 제가 리뷰에 기재한 내용은 공식적으로 확인된 내용은 아닙니다. 그리고 푸시-풀과 등압은 같은 개념인데 알고있습니다. 푸시-풀이나 아이소배릭이나 둘다 역상으로 연결하는 걸로 압니다. 다만 그 구조의 차이가 cone to cone / cone to magnet 등으로 있는걸로 알고있어요. 아이소베릭은 특히 fr처럼 선형왜곡이 아니라 배음왜곡과 같은 비선형 왜곡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고있고요.. 등압구조나 푸시-풀 구조나 어차피 두개의 dd가 상호간의 작용에 의해서 소리가 나는 걸로 알고 있는데, 잘못된 정보라면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차이파이나 64오디오나 방식의 차이이지 어느 브랜드가 더 좋은 방식이다라고는 하기 어렵다고 봅니다.

그리고 원래 스피커에서 쓰던 2dd 푸시-풀 방식의 진짜 근본은 일본의 오디오 테크니카에서 사용하던 방식이 찐 근본입니다.

17:12
23.09.30.
profile image
청년

푸시풀이랑 아이소배릭 둘을 구분할 때 배선구조나 다이어프램 바라보는 방향(ctc, ctm, mtm)까지 따질 필요는 없습니다

생긴게 비슷할 수 있지만 구동방식으로서의 원리는 전혀 다른거에요

뭐에 가깝다 그런거 아니고 그냥 다릅니다

푸시풀은 드라이버를 두알 동원해서 두배의 파워를 내고자 할 때 취할 수 있는 여러 구조 중 하나로, 따로 명칭까지 붙일만큼 특별한건가 싶기도 한데 아무튼 여러가지 형태 중에서 어셈블리 부피가 가장 작은 유형으로 꼽을 수 있을 것 같네요

그냥 마주보게 대놓은 것일 뿐입니다

둘의 합친 출력은 대개 마주보는 가운데를 통해서 옆으로 나갑니다

여기서 뇌절하면 트라이펙타가 나옵니다

하여튼 이어폰 설계할 때 이점이 굉장히 많은 구조인 것 같아요

공간이 굉장히 절약된다는 말이죠

모나크mk3의 dd어셈블리가 어떻게 생겼는지는 제가 못 봤는데 블레싱3에 있는건 걍 푸시풀 내지는 동축듀얼드라이버일 뿐 절대로 아이소배릭이 아닙니다

반면 아이소배릭은 드라이버를 늘려서 파워를 늘리는 개념이 아니라 raid1처럼 똑같이 백업하는 애를 바로 옆에 놔둔거에요

이러면 퀄리티를 제고할 수 있다고 합니다

저음역에서 퀄리티가 높아지면 사람 귀는 보통 더 강력하고 더 묵직하고 더 딴딴하고 더 낮게 인식하죠

실제로 음량(변환효율)이 더 커지거나 대역이 (아래로) 더 넓어지는건 아니지만 듣기에는 우퍼가 더 쎄고 더 좋아졌다는 느낌을 받는다는거겠죠

17:50
23.09.30.
정우철
네 저도 인클로저 늘리지않으면서 저음 확보할 수 있어서 좋은 방식이라고 생각합니다. 아하 그러면 실제 요즘 2dd 아이소배릭 구조를 사용했다는 이어폰에서 잔향이 없다라는 듯하게 느끼는 것은 선입견일 수도 있겠군요. 저는 블레싱3은 그런느낌을 받았어서 리뷰를 안 했는데, 모나크3이나 하입2는 그런게 없었습니다.
17:53
23.09.30.
정우철
ㄴㅔ 저도 블3의 구조는 그냥 2dd 넣고 도관 뺀 거라고 생각합니다. 오테랑은 전혀 다른 방식..
17:54
23.09.30.
정우철
트라이펙타는 개인적으로 그게 구조 상 따로 챔버를 쓴 것도 아니고 노즐로 도관을 뺀것도 아니고 좀 이상하긴하더라고요.
17:54
23.09.30.
profile image
정우철
답변주셔서 감사합니다~ 질문이 있습니다. 푸시풀이 아이소배릭의 일종인줄 알았는데, 둘이 전혀 다른건가요?
20:11
23.09.30.
profile image
알린

대충 보면 비슷하지만 목적이 전혀 달라요

뭐가 뭐의 일종이다 이런 식으로 이해하면 안됩니다

푸시풀은 본래 리본스피커나 (진공관)앰프 메카니즘 설명할 때 쓰이는 용어에요

블레싱3같이 두개의 드라이버가 서로 마주보게 붙여놓은 구조면 그냥 동축이라고 불러도 될 것 같은데 이어폰 얘기하는 사람들이 애매하게 그걸 푸시풀이라고 부르고들 있더라구요

근데 그렇게 퉁치자니 갤버즈2도 동축이고 갤버즈프로도 동축인데 얘네들 드라이버 구조가 아무래도 완전 똑같은 거라고 하기는 또 그렇죠

일단 여기서는 푸시풀이라 치고,

블레싱3의 경우 dd 두개 마주보게 해놓고 옆으로 구멍내서 출력을 돌려빼는 형태잖아요?

이렇게 하는 목적은 파워 두배입니다

마주보면서 같은 소리를 내도록 하고 합쳐서 두배가 된 오디오를 고막으로 전송하는거에요

두배 많은 전력이 필요하지만 어쨌든 소리도 두배 크겠죠

또는 드라이버 둘이 백짓장을 맞들어서 부담을 반반씩 나눠 짊어짐에 따라 왜곡을 줄일 수 있게 되기도 하고, 파워핸들링도 두배 커집니다

간단하고 이해하기 쉽지요

중요한건 같은거 여러개 줄줄이 달아놓는 경우에 비해 공간이 많이 줄어든다는 거에요

네모블록 옆에 소리나오는 구멍 뽕 뚫려있는 ba에 비해서 dd가 넓직한 형태 때문에 여러개 쓰기에 불리한데, 이렇게 마주보는 동축으로 딱 붙여버리면 두개를 한개처럼 컴팩트하게 박아놓을 수 있습니다


그 다음 아이소배릭

이건 물리적인 출력을 강화하려는게 아니라 오디오의 품질을 높이기 위한 형태에요

품질을 어떻게 높이냐, 뒤에 숨어있는 애의 자기희생입니다

한놈이 앞에서 소리내는 동안 다른애가 똑같이 움직이면서 뒷바라지를 해준다는 개념이에요

드라이버 두개 써서 소리를 두배 더 키울 수 있다는게 아니구요

이쪽저쪽 변수가 몇가지 있어서 상황이 몇가지로 나뉜다고는 하는데 그렇게까지는 제가 이해하고 있지 못 하고, 아무튼 최적화된 구성에서 같은 전압을 먹였을 때 드라이버 하나뿐일 때보다 소리가...작습니다

입이 두개니까 합쳐서 두그릇을 줘야 같은 음압이 나오겠지요

근데 뒤에있는 애가 안보이는데서 티안나게 열심히 궂은 일 하면서 밥값을 해주는 덕분에 앞에 있는 애가 좀 더 원활하고 폼나게 작동할 수 있게 되고, 그게 음질향상으로 귀결돼요

제 생각엔 자석이든 다이어프램이든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제일 좋은것들로 잘 조합해서 쓰기만 하면 굳이 이어폰에다 이런 짓까지 할 필요가 없을 것 같은데, 들어봤다는 사람들 얘기 대충 보니까 효과가 있기는 있다나보네요

23:09
23.09.30.
정우철
이야 대단하십니다. 정우철님 덕분에 많이 배웠습니다
23:58
23.09.30.
profile image
정우철
이글을 보니 스피릿토리노 헤드폰이 왜 정확한 소리다 하는게 좀 납득이 가는 구조 이군요..
00:56
23.10.01.
profile image
정우철
드디어 이해가 되네요. 이어폰 제품 설명시에 스피커 용어들을 가져와서 설명이나 홍보할 때, 무분별하게 사용하다보니, 헷갈렸습니다. 덕분에 이해가 됩니다. 감사합니다 !
08:23
23.10.01.
알린

아참 그리고 블3은 자세히보면 도관으로 연결해서 노즐까지 빼는 방식이라.. 2dd를 마주보게하고 역상으로 연결하다보니 푸시-풀 구조는 맞는데 전통적인 아이소배릭이라고 할 수 없죠.... 이게 블3 방식이랑 정말 완전히 다른가?에 대해서는 타이오디오 모나크3이나 하입2나 드라이버 자체를 까봐야 알 수 있지않을까요....? 아니면 제조사에서 공개를 해주거나..^^; 안그럼 알기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정리해보면.. 제 의견은 블3의 방식은 공개된 구조를 보았을 때 아주 예전의 오테나 타이오디오 브랜드가 사용하는 [아이소배릭]이랑 분명히 다르다. 다만 [아이소배릭=isobaric] 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으니, 오테와 비슷한 방식의 스피커에서 가져온 전통적인 아이소배릭 구조를 사용했을것이라 기대해볼 수 있다..


정도로 생각합니다.

17:33
23.09.30.
Magnesium
아하 네 알겠습니다. 부정확한 댓글을 달아 죄송합니다.
17:48
23.10.02.
profile image
Magnesium
그러니까 제말이.......블레싱3 얘기하면서 누군가 푸시풀도 갖다 붙이고 아이소배릭도 갖다 붙였는데 그걸 보게 된 사람들이 알지도 못하면서and/or모르니까 그대로 전파하는 바람에 부정확한 소문이 퍼져버리게 된 것 같아요
17:42
23.10.02.
알린

그리고 제 생각에는 현재 2dd [아이소배릭]을 제대로 사용했다고 하는 브랜드는 64오디오, 오디오테크니카, 타이오디오(추정. 드라이버를 까보지않아서 모름) 정도로 생각됩니다. 64오디오는 특히 cone to magnet 방식이고, 완전히 밀폐된 방식을 사용합니다. 그리고 아이소배릭은 밀폐형으로 구성된 경우가 많지만, 저음반사형(bass reflex) 방식으로 제작하기도해요. 짤막히 결론을 내보자면 제가보기엔 수월우가 공개한 정보에 따르면 블레싱3은 저음반사형(인클로저 내부의 반사되는 저음을 인클로저의 구멍을 통해 다시 이용하고 노즐로 이어지는 도관으로 출력하는 방식)으로 보이고, 전통적인 밀폐형 아이소배릭 방식은 64오디오, 오디오테크니카, 타이오디오(추정) 정도로 생각됩니다.

17:47
23.09.30.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부운영자 모집 공고! 28 영디비 24.06.04.15:37 3316 +16
6월 활동 이벤트 공지 및 상품 안내! 54 영디비 24.06.03.15:27 3243 +15
5월 이벤트 당첨자 안내! 30 영디비 24.06.03.12:52 2819 +13
음향
normal
SunRise 21.02.11.23:04 8.2만 +25
음향
image
영디비 24.04.22.15:02 596 +24
음향
image
SunRise 24.05.22.00:24 341 +22
음향
image
SunRise 24.01.20.03:34 743 +21
음향
image
SunRise 24.05.05.16:07 733 +21
음향
normal
SunRise 24.05.03.09:38 343 +20
음향
image
SunRise 24.03.08.13:16 1745 +20
음향
normal
moaisoo 23.12.29.02:29 1218 +19
음향
image
호루겔 24.05.30.01:20 342 +19
음향
image
nerin 23.09.05.16:01 2740 +19
음향
image
로우파이맨최노인 24.05.25.19:36 533 +19
음향
normal
SunRise 23.12.03.12:46 736 +19
음향
image
Heskeybi 21.10.03.22:00 1.6만 +19
음향
image
Hibiki 24.04.06.16:20 1091 +19
음향
image
nerin 24.02.28.00:32 1164 +19
음향
image
SunRise 24.05.23.19:38 167 +18
음향
image
SunRise 24.04.30.18:51 880 +18
음향
image
SunRise 21.09.13.14:48 8429 +18
음향
normal
플랫러버 24.04.13.01:37 359 +18
음향
image
idletalk 24.03.05.05:30 737 +18
음향
image
베랑 22.01.10.18:24 2373 +18
음향
image
불량 23.04.28.05:03 2668 +18
음향
image
SunRise 24.05.03.19:28 428 +18
음향
image
로우파이맨최노인 23.11.22.17:50 510 +18
음향
normal
SunRise 23.10.21.01:38 682 +18
음향
image
문아리 22.01.26.23:01 5505 +17
음향
normal
SunRise 24.05.27.19:32 381 +17
음향
image
로우파이맨최노인 24.05.13.01:23 688 +17
음향
image
로우파이맨최노인 24.06.03.01:02 970 +17
음향
image
SunRise 23.09.07.12:12 1664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