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음향

[불편주의] 보유 중인 헤드폰들의 단점'만' 적어보았습니다

로우파이맨최노인 로우파이맨최노인
1750 14 23


  그동안 보유했던, 혹은 보유 중인 헤드폰들에 대한 단점'만' 적어보도록 하려 합니다. 의도는 재미 반 진담 반이지만 의도치 않게 해당 헤드폰 유저분들에게는 불편한 부분일 수도 있습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자신이 보유한 헤드폰들에 대한 단점만 리뷰하는 글을 여태껏 없었던 것 같아 시도해 보려 합니다.


  좀 더 의미를 부여하자면 단점만 기술하는 이유는 이 세상에는 완벽한 헤드폰은 없다는 것을 반증 하기 위함이기도 하고, 그동안 헤드폰 리뷰하면서 장점만 표현했기 때문에 이제는 보다 객관적인 시각에서 바라보아야 할 필요성도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단점만 기술했다고 해서 아래 열거한 헤드폰들이 몹쓸(?) 헤드폰은 절대 아닌 것이니 이 점 오해 없으시길 바랍니다.  




1. 하이파이맨 서스바라

 - 보컬이 너무 멀리 있어 현대 음악 감상 시 매력이 떨어짐

 - 고음압에서의 진동 제어 부족, 특정 음원에서 다이나믹 레인지가 급등할 때에도 나타남

 - 평판형의 장점인 극저음 해상도를 살리지 못한 튜닝



2. 스탁스 SR-X9000

 - 보컬 없는 음악을 듣기엔 다소 건조하고 경질적인 톤밸런스

 - FR에서도 보여주고 있는 매우 부족한 극저음, 부족한 웅장함, '동동' 거리는 가벼운 저음

 - 중고역대의 정밀한 표현력이 가진 양날의 검, 때로는 너무 분석적이어서 뮤지컬리티 상실



3. HD660S1

 - 여전한 젠하이저 베일, 먹먹한 느낌의 톤 밸런스

 - 보컬이 너무 가까워 음원이 가지고 있는 본연의 매력을 해칠 정도

 - HD600에 비해 답답하고 막혀 있는 듯한 느낌의 고역



4. HD800S

 - 넓은 공간감 구현에 희생된 듯한 해상도, 얇은 음선

 - 보컬이 너무 멀리 있어 현대음악 감상 시 매력이 떨어짐

 - 부족한 저음, 여전히 쏘는 고역대 음색



5. 소니 MDR MV1

 - 벙벙거리며 고급감 떨어지는 저음

 - 공간음향에 최적화 되어있지만 보유한 헤드폰 중 음악감상에는 가장 덜 최적화된 음색

 - 쏘거나 지극적이지는 않지만 특별할 것 없는 톤밸런스, 좁은 좌/우 공간감



6. JVC HA MX-100Z

 - 모니터링 헤드폰은 맞는지 의심될 정도로 너무 얇고 희미한 음선

 - 기본적으로는 약간 경질적인 톤 밸런스, 모니터링이기에 아쉬운 뮤지컬리티.

 - 다이나믹형 치고 다소 부족한 다이나믹스




이상입니다. 


  

  


 

로우파이맨최노인 로우파이맨최..
47 Lv. 45030/46080EXP

HEADPHONES 

JVC HA-MX100-Z 

SENNHEISER HD800S ♡♡

HIFIMAN SUSVARA ♡☆☆

STAX SR-Ω ♡♡♡

STAX SR-X9000 ♡♡♡

STAX SR-LAMBDA PRO ♡

STAX SR-LAMBDA PRO CLASSIC

 

DAC•AMPS

iBasso Audio DC03PRO

Fosi Audio DS1

Tempotec Sonata BHD Pro

HIFIMAN EF600

STAX SRM-D50(Suitable for students)

STAX SRM-1 MK2 PRO

JDS LABS ELEMENT III MK2(Boosted)

신고공유스크랩
하얀올빼미 하얀올빼미님 포함 14명이 추천

댓글 23

댓글 쓰기
1등

왠지 자술서를 보는 느낌이 듭니다.
굳이 책임지실 필요까진 없는데 흐흐흐
농담이고요. 정말 잘 읽었습니다.
뭐가 완벽하다면 하나만 있으면 되지 왜 그렇게 많은 다른 것이 존재할까요.
서로가 어우러져서 전체적인 하나의 그림을 그리게 되지요.
그래서 하나의 헤드폰을 가지는 것은 경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15:54
24.02.11.
profile image
무직마니아
하나를 얻으면 다른 하나를 포기해야하는 물리적 특성 때문일까요. 서로 장단점이 다양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여러 개의 헤드폰을 구입하게 되는 것 같더군요
16:44
24.02.11.
profile image 2등

전부 다 가질 수는 없는 듯. 얻는게 있으면 잃어버리는게 하나라도 있는것 같습니다.

음선이 얇은건 세밀한 표현에 강점이 있을 것이고 바디감이 풍부한 기기가 세밀하기까지 하긴 힘든...

저역이 웅장하면서도 고역이 잘 나오는 기기 역시 쉽지는 않은 듯 하고... 하지만 고성능으로 갈 수록 올라운더가 어느 정도는 가능해지기는 하는 것 같습니다.

결국 저도 성향이 다른 기기들을 한두가지 씩은 따로 가지게 되더군요.

16:01
24.02.11.
profile image
플랫러버
물론, 개중에는 하나를 잃고도 다른 하나를 더 잃어버린 최악의 헤드폰도 있지만 이 상호보완이라는 매력 때문에 계속해서 헤드폰을 늘리는 것 같습니다. 고성능 제품이 좀 더 올라운더긴 하겠지만 그것도 완벽은 아니기에...
16:45
24.02.11.
profile image
벤치프레스좋아함
아마 이미 세상에 나왔는데, 오디오계에 파장을 일으킬 것이 두려운 악의 세력들이...는 농담이고 사람마다 취향도 가지각색이라 개인의 뇌랑 고막에 기계를 설치하여 어댑티브한 시스템을 갖출 그 언젠가 미래가 될 것 같습니다
16:47
24.02.11.
profile image
Audio Technica ATH-W100
- 현 시대 기준에는 협대역에 부족한 해상력.
- 드라이버 내구성이 부족하고 이미 단종되었으며 유사 타입으로도 더 이상 생산되지 않음.
- 외관이 멀쩡한 개체라도 노익장을 과시하는 것은 조심스러움.
- 농밀함이라는 특장을 한 번 인지 후 최신 헤드폰에서 대체재를 찾자면 쉽지 않음.

Sennheiser HD650
- 동 플랫폼 중 가장 무난한 대신 특출난 느낌도 없음.
- 낭창대는 하우징.
- 드라이버 전면 폼 디스크가 삭기 시작하면 메탈 메쉬 스크린 구멍 사이에 끼어서 소리가 변함.
- 출시 당시에는 저역 웅장한 녀석이었지만 현재의 하만 타겟 제품과 비교하면 가벼움.

Sony MDR-CD2000
- 장난감스러운 소재와 장난감스러운 설계.
- 장난감스러운 이어패드 구성.
- PET 대비 구겨짐이나 찢김, 습기에 취약한 바이오셀룰로오스 + 벡트란 배합 진동판.
- 길들기 전까지는 저역 부족 + 고역 과다인데, 엣지까지 동일 소재로 번인도 쉽지 않음.

AKG K501
- 너덜거리고 삐걱거리는 만듬새와 부실한 순정 케이블.
- 취약한 어드저스터블 밴드의 내구성.
- 순정 메쉬 패드는 단종되었고 K601/7**용 벨벳 패드를 쓰면 해상력 급감.
- 단순하고 빈약한 구조가 소리에서 일부분 느껴지는 느낌.

Denon AH-D1001
- 너덜거리고 삐걱거리는 만듬새와 부실한 순정 케이블.
- 순정 패드는 단종, 호환 패드는 밸런스 붕괴, 노패드가 대안이라는 점.
- 약간의 하우징 공진.

Sony MDR-CD900"ST"
- 츠노다 나오타카 튜닝의 아련하고 라이브한 사운드의 향수를 느끼기 쉽지 않음.
- 협소한 대역폭과 공간감 및 다이나믹 레인지.
- 7506 대비 일본 내수형 특유의 장점이 그리 도드라지지 않음.
- CD시리즈 시절의 50mm 미만 드라이버의 단점이 더 와닿음.

Audio Technica ATH-AVA500
- 53mm 대구경 드라이버가 무색한 공간감과 대역폭.
- 가격을 뛰어넘는 밸런스 이면의 가격만한 음의 질감.
- 머리가 큰 경우 어드저스터블 밴드가 최대한 늘어나도 좀 작음.

Beyerdynamic DT990 Pro
- 비실비실한 중역대.
- 반도체 앰프 매칭시 뮤지컬리티 격감, 뮤지컬리티를 원한다면 진공관 앰프 권장.
- 머리가 큰 경우 헤드밴드를 최대한 늘려도 좀 작음.

Audio Technica ATH-PRO5
- 낮은 해상력, 좁은 대역폭, 답답하고 부한 밸런스, 낮은 에너지.
- 순정 상태로 쓰기에는 답답하고 튜닝을 해도 한계가 명확.

...오해하시면 아니되옵니다.
모두 아끼고 사랑하는 헤드폰들인데, 무조건 두들겨 까자면 이런 악평이... ㅋ;;
19:32
24.02.11.
profile image
alpine-snow
으악...이렇게 길게 적어주시다니...글 잘 읽었습니다. 소리를 직접 들어본 것은 HD650뿐이군요. 시대가 흐르면서 바뀌는 가치와 설계문제로 인한 성능저하는 정말 어쩔 수 없는 것 같더군요
19:54
24.02.11.
profile image
alpine-snow
맞아요. 메탈 메쉬에 먼지끼면 비가역적으로 소리 변합니다 ㅋㅋ
22:08
24.02.11.
profile image

저도 제가 가지고 있는 기기들을 생각해봤는데 장점은 적기 힘든데 단점은 금방금방 생각나네요. 단점을 잘 보는 것이 인간의 본질적인 속성일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21:31
24.02.11.
profile image
숙지니
생각해보니 그런 이유로 인간은 자꾸 기추를 하는 듯 합니다. 비싼 걸 사도 자꾸 뭔가가 걸리고, 그걸 해소하려 다른 물건을 기웃거리고...
22:23
24.02.11.
profile image

예전에 적은 랭킹을 보는 듯 합니다. 생각하는 건 서로 비슷한 것 같아요 ㅎㅎ

평판형의 대구경 다이어프램은 서스바라처럼 개방형이 사실상 전부이다보니 후속 진동 제어가 아무래도 미흡한 면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을 잡으려면 무게가 1kg는 거뜬할 테니 뾰족한 수가 없어 보입니다.

22:10
24.02.11.
profile image
SunRise
아...역시 평판형의 태생 자체가 고질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군요. 근데 같은 하이파이맨 제품이라도 서스바라는 유독 심하다는 평이 많은데(ASR 평가처럼), 그 본질적인 차이점이 궁금하긴 합니다.
22:25
24.02.11.
profile image
로우파이맨최노인
서스바라와 에디션xs같은 중급기를 동시에 비청하면서 내부를 하나하나 짚어봐야 정확할 것 같습니다.
의심되는 것으로는 자석 또는 하우징의 공진현상입니다. 서스바라가 특히 나쁠 이유가 없어 보이는데 말이죠.
22:29
24.02.11.
profile image

자기 보유 기기 단점 이거 재미있네요. ㅎㅎ 저도 추가로 한번 작성해보겠습니다.


NDH30 - 양날의 초고역 감쇄, 덕분에 고역대 디테일 표현이 좋지만 오픈형인데도 개방감을 상당히 감소시켜 답답한 느낌, 모조2에서 EQ를 어느정도 걸고 듣게 만든 원흉


D9200 - 진공관 등의 매칭으로 다스릴 필요가 있는 상당히 부담스러운 초고역, 사자마자 팔게 만들수도 있을 정도의 개인차 있는 극악의 착용감(정수리 폭격)


NA70P - 70mm 구경의 드라이버 2개의 상당한 무게


MS500 - 온이어, 2010년대 초반 닥터드레가 유행하던 시절의 토널 밸런스(저음 괴물)


키위 카덴자 - 7.8k, 11.4k 등의 특정 주파수 쏨


키위 멜로디 - 음감을 해칠 정도로 지나친 성능, 부담스런 중저역


U12t - 혀를 내두를 정도로 어려운 정착용

22:13
24.02.11.
profile image
플랫러버
정수리 폭격...ㅎㄷㄷ, 정착용 문제도 있는 제품이 있군요. 역시 사람은 다양한 제품을 경험해봐야 하는 것 같습니다.
22:28
24.02.11.

아랴양인가요? 누구신진 몰라도 고우시네요

22:46
24.02.11.
Magnesium
멋진 리뷰 잘 읽었습니다
22:48
24.02.11.
profile image
Magnesium
부족한 글이지만 잘 읽어주셔서 진심으로 대단히 감사합니다. 사진의 그녀는 20년 후 제 2D여친일 것 같은 분입니다
22:50
24.02.11.
profile image

많이 공감되는 글이네요! X9K에 꼭 진공관 에너자이져를 추천드리고 싶어요. 400s 에서 팬텀을 지나 700t 로 오면서 소리가 꽤 많이 바뀌더라구요. 완벽해졌다고 할 수없지만 진공관으로 넘어오면서 위해서 말씀하신 세가지 단점들이 많이 없어졌다고 생각해요~ 800s도 저 개인적으로 진공된 엠프로 말씀하신 단점들을 어느정도 보완할수 있다고 생각해요. 진공관 엠프성해자는 아니지만 하필 적어주신 해드폰중에 저도 가지고 있는게 그 두개네요;; 참고로 포칼 같은경우는 진공관보다는 솔리드스테이트 앰프가 더 잘 어울린다고 생각합니다!

00:24
24.02.12.
profile image
하얀올빼미
공감가는 부분이 있다니 반갑네요. 진공관 매칭 의견도 매우 감사합니다. 개인적으로는 공간문제와 자금압박으로 시도하기는 당장 어려울 듯 한데요, 그래도 기회가 된다면 진공관 매칭도 한 번 고려해 보겠습니다. 제가 일전에 썼던 죽기전에 꼭 가지고 싶은 앰프 목록 중에 블루 하와이도 있었죠. 허허
00:57
24.02.12.
profile image

댓글에 보석같은 소감들이... 

저도 부족하지만 몇개 적어 볼게요.


베이어다이나믹 T1 1세대 - 가볍고 건조하고 텁텁

그라도 RS2e, MS2i - 컨텐츠 상태가 정직하게 안 들리고 지가 들려주고 싶은 요소들만 들려주는 사기꾼

하이파이맨 HE500(velpad) - 소리에는 단점이 없고 다른게 다 단점

03:19
24.02.12.
profile image

 솔찍히 고급기들에서는

오히려 장점이 단점 보다 

많은 기기를 못 봤습니다.ㅋㅋ

그런데 사실 특이점이지

단점이나 장점이 아닌듯 합니다.

그냥 개성?이죠. ㅎㅎ

03:35
24.02.12.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부운영자 모집 공고! 27 영디비 4일 전15:37 1298 +15
6월 활동 이벤트 공지 및 상품 안내! 51 영디비 5일 전15:27 1098 +15
5월 이벤트 당첨자 안내! 30 영디비 6일 전12:52 851 +13
image
영디비 20.05.20.02:32 1.2만 +48
잡담
image
영디비 22.08.31.05:08 2.4만 +45
image
영디비 20.05.15.21:24 2.6만 +39
공지
normal
영디비 4일 전00:10 819 +32
잡담
image
로우파이맨최노인 24.05.08.01:09 3969 +30
잡담
image
COCT 24.05.01.15:48 619 +30
잡담
image
SunRise 23.09.17.01:24 1680 +27
공지
normal
영디비 20.01.08.16:38 9.9만 +27
잡담
image
사진쟁이 24.05.27.19:03 1257 +26
잡담
image
영디비 23.04.12.19:44 884 +26
음향
normal
SunRise 21.02.11.23:04 8.2만 +25
음향
image
영디비 24.04.22.15:02 586 +24
잡담
image
로우파이맨최노인 24.04.10.15:55 4318 +24
공지
normal
영디비 24.01.27.11:13 390 +24
잡담
image
영디비 23.09.27.16:38 172 +24
잡담
image
영디비 22.07.27.22:35 5720 +24
잡담
normal
영디비 21.07.26.17:34 2946 +24
잡담
normal
방울이 20.05.18.02:35 2595 +24
잡담
normal
FADELART 24.05.27.01:55 691 +23
잡담
image
alpine-snow 24.05.15.01:03 1714 +23
잡담
normal
영디비 22.09.24.16:31 4037 +23
음향
image
SunRise 24.05.22.00:24 321 +22
잡담
image
사진쟁이 23.11.05.16:13 544 +22
잡담
image
연월마호 19.10.02.12:21 8272 +22
음향
image
SunRise 24.05.05.16:07 709 +21
공지
image
영디비 24.03.11.19:08 897 +21
음향
image
SunRise 24.01.20.03:34 733 +21
공지
image
영디비 24.01.01.00:01 177 +21
잡담
image
연월마호 23.06.13.23:44 1105 +21
잡담
image
영디비 23.04.03.22:12 522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