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T 1990 PRO MKII 측정치 (+DT 1770 PRO MKII)
출처
https://diyaudioheaven.wordpress.com/headphones/measurements/brands-a-i/dt-1990-pro-mkii/
그간 검색엔진에 뜨지 않아서 몰랐다가
요번에 해외포럼에서 나온 링크를 타고 들어가보니 DIY AUDIO HEAVEN(이하 오디오헤븐)에서
DT1990PRO MK2을 측정한 자료가 있었네요.
아래 내용은 원본출처 중 일부 볼만한 부분들 발췌하였습니다.
그래프의 인식 보정 자료 (사전정보)
대부분 최대한 오차를 줄이기 위해 표준화된 장비로 측정하겠지만
그러더라도 여전히 측정 오차와 기준치 오차는 발생할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영디비와 오디오헤븐이 같은 제품을 측정한 그래프들 몇가지를 보시면서
우리가 익숙한 사이트 측의 그래프로 변환하면 대략 이런 느낌이겠거니 하고
머릿속에서 그릴 수 있도록 사전 데이터를 준비하였습니다.
각 제품 별 그래프는 위 영디비, 아래 오디오헤븐 측정치입니다.
참고로 영디비는 20~20KHz, 오디오헤븐은 10~30KHz까지 범위이고,
dB는 영디비가 60~120dB, 오디오헤븐은 35~105dB 범위입니다.
DT770PRO 250옴
HD600
HD800S
일부발췌 본문
위 사전자료를 토대로 머릿속에서 그래프를 보정할 수 있게 되셨다면
이제 본문으로 넘어오셔도 됩니다 ㅎㅎ
DT1990PRO MKII의 측정치들입니다.
프로듀서 패드(기본장착패드) 기준 측정치 (left, right)
번들로 제공되는 프로듀서 패드와 믹서(마스터링) 패드 간의 차이
DT1990PRO(분석용 패드-4홀패드)와 DT1990PRO MKII(프로듀서 패드) 간의 차이
참고
DT1990PRO의 분석용 패드-4홀패드와 밸런스드 패드-20홀패드 간의 차이
DT1990PRO MKII(프로듀서 패드)와 DT1770PRO MKII(벨루어 패드) 간의 차이
DT1990 PRO MKII(프로듀서 패드)와 젠하이저 헤드폰들간의 차이
DT1990 PRO MKII(믹서 패드)와 젠하이저 헤드폰들간의 차이
앰프 출력단 임피던스에 따른 주파수응답 변화(0.2옴, 10옴, 32옴, 120옴)
DT1990PRO MKII의 CSD 그래프
프로듀서 패드 상에서의 40Hz, 440Hz 사각파 및 100마이크로초 니들펄스(임펄스) 그래프
총평 요약
전작에 비해 왜곡이 개선됨.
전작이 250옴이었던 것에 비하여 30옴으로 줄었기에 볼륨확보가 아주 편리함.
고음특성 때문에 스튜디오 모니터링에는 좋지만 감상용으로는 꽤 날카로움(실키하거나 버터같은 부드러움이 전혀 아님).
믹서(믹싱&마스터링) 패드를 사용한 DT1990PRO MKII와 젠하이저 헤드폰들간의 주파수응답 차이가 인상깊네요.
이 패드를 쓰면 주파수응답이 HD600, HD800S같은 젠하이저 사운드에 베이어 고음만 첨가된 된 듯한 모양새..
실제로는 약간 차이가 있겠지만 아무튼 신기하네요 ㅋㅋ
Comment 21
Comment Write역으로 궁금하군요...
HD471도 그렇고 저는 밀폐형 헤드폰에서 나타나는 공진이 원인이라 생각합니다.
근데 요거 sys38드라이버로 알고 있는데... 다른 sys38은 안그러죠?
다른 제품의 그래프들과 동시비교하여 보완하도록 자료를 구성해봤습니다.
이걸론 안될까요?
미리지름 축하드립니다?
ㅋㅋㅋㅋㅋㅋㅋ 끝나지 않는 할부의 노예 예정입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