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에서 좋은 전원의 조건은?(1)
[iFi audio Pro iDSD 내부 이미지]
오디오는 전기 에너지로 작동하므로 전원의 질이 음질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그렇기에 오디오 전원에 대한 얘기는 너무 방대하지만, 과감하게 단순화 시키고 포인트가 될만한 좋은 전원의 조건을 몇가지 나열해 봤습니다.
- 노이즈 레벨이 낮은 전원
- 방전량이 뛰어난 전원
- 전압의 흔들림이 적은 전원
- 왜곡이 적은 전원
- 각각의 회로 파트에 개별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분리 전원
- 아이솔레이션된 전원
- 노이즈 레벨이 낮은 전원
노이즈가 적으면 오디오 회로가 방해받지 않고 온전히 작동해서 순도 높은 음을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사용하는 전기들은 노이즈들이 항상 섞여있습니다.
예를 들어 벽체 전기는 온 집안의 기기들과 연결되어 있고 옆집, 윗집, 한 건물의 모든 것들과 연결되어 있기에 영향을 받습니다.
그래서 몇몇 환자들은 전봇대를 구매하거나 거대한 오디오 기기 전용 접지봉을 땅에 매설하기도 하죠.
이런 전도성 노이즈 외에도 복사성 노이즈인 EMI 노이즈도 있습니다.
그 외에도 전선의 도체 속성에 따른 노이즈도 있고, 어댑터의 스위칭 노이즈 공통모드 노이즈 차동모드 노이즈 등등... 암튼 졸라 많죠.
그래서 오디오 기기들의 등급이 올라갈 수록 이러한 전기 노이즈를 줄이기 위해 전원부에 물량투입을 많이 합니다.
- 방전량이 뛰어난 전원
오디오 기기에서 큰 음을 재생해야 할때 헤드폰이나 스피커의 진동판을 강하게 흔들기 위해 순간적으로 많은 전원을 소모합니다.
순간적으로 전원을 제대로 공급을 못해주면 소리가 약간 밀리게 되어 뭉개지듯이 들리게 됩니다.
순간방전량은 앰프에서 드라마틱한 차이를 체험하기 좋은 파트입니다.
출력이 높은 앰프는 순간출력을 내는데 여유로운 가용성을 가지고 있기에 피크전류값이 큰 구간에서도 왜곡 없는 정확한 신호 증폭이 이루어져 출력이 작은 앰프 대비 소리가 맑고 또렷하게 들립니다.
출력이 높은 엔진을 가진 자동차는 저속에서도 뛰어난 운동성을 가질 수 있는 것과 비슷합니다.
그런데 디지털 파트에서도 순간방전량의 차이가 많이 납니다. (사실 모든 파츠에 영향이 큼^^)
소스기기 파트는 사용하는 전압이 앰프 대비 낮아 W로 환산시 그리 큰 전기를 소모하지 않은 것처럼 보이지만,
디지털 칩셋은 아날로그보다 고속신호를 다루는 영역이라 순간 피크 전류가 앰프 못지 않게 변화무쌍하고 진폭이 큽니다.
너무 길게 쓰면 지루하니 다음번 글에 나머지 조건들을 설명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