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ist
  • Down
  • Up
  • Write
  • Search
잡담

싫어하는 장르 이야기…

ddd4500 ddd4500
172 9 19

1. 한국식 발라드 

 

유재하 이후로 몇십년간 발전없는 장르. 사실상 모든게 보컬의 역량에 달렸는데 실용음악학원에서 배운듯한 오리지널리티 없는 보컬의 난립으로 질림. 

(엑스재팬식 한국 락발라드 포함) 

 

2. 한국 인디 여성 포크

 

한국식 발라드의 인디버전. 

10중 8은 가사가 똑같음. 차라리 멈블랩처럼 아무런 의미없는 가사가 나을 정도. 악기구성 편곡 뭐 하나 특별한거 없이 2000년대 요조의 리메이크 판. 예쁜 멜로디와 이지리스닝으로 승부보려는 노래가 대부분. 

 

 

 

ReportShareScrap
fadong fadong님 포함 9명이 추천

Comment 19

Comment Write
profile image

가끔 외출해서 밥먹을 때 양산형 성대 차력 발라드 알앤비를 듣게 되면 밥 맛이 뚝 떨어지는...

14:22
25.02.21.
profile image
ddd4500 Developer
SunRise
힙합 좋아하고 전자음악이 두 번째고 나머지는 안가립니다. 어려워서 못 듣는건 프로그레시브 락, 재즈, 클래식정도 될거같네요 ㅎㅎ
13:37
25.02.21.
profile image 2등
음 전 그리 생각 안하는데 ㄷㄷㄷ
13:41
25.02.21.
profile image
ddd4500 Developer
쏘핫

어디까지나 개인 취향, 생각이니까요. 제가 평론가도 아니니까 가볍게 봐주세요 ㅎㅎ

13:45
25.02.21.
profile image
ddd4500
ㅎㅎ 의견존중입니다
14:09
25.02.21.
3등

발라드 가사 내용은 보통 헤어지고 징징대는 내용이거니, 제발 나랑 사귀자면서 매달리는 내용이죠....

13:48
25.02.21.
profile image
ddd4500 Developer
eoeoe
몇 년 전부터 가끔 차트에서 보이는 술 발라드들 좀 지겹더라구요..
13:51
25.02.21.
profile image
eoeoe
이건ㅋㅋㅋㅋ저도 공감하는 부분
14:55
25.02.21.
profile image
eoeoe
90년대까지는 오락거리가 그거뿐이라
이성을 만나서 사귀었다 헤어졌다. ㅎㅎ
15:05
25.02.21.
profile image
Gprofile
사랑은 결국 모든 매체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주제이긴 하죠.
근데 전 요즘 발라드가 표현하는 사랑은 자꾸 지겹더라고요 똑같고.
15:08
25.02.21.
Gprofile

90년대면 그렇다 쳐도, 요즘 발라드도 그러는건 좀....ㅠ


그리고 사랑 소재 자체는 뭐 음악 이외에도 드라마 영화 등등 온갖 콘텐츠에서 가장 흔한 소재니까 음악에서도 당연히 쓸수 있는거지만, 다 내잘못이야 내가 더 노력할게라던지, 절대로 마음아프게 하지 않을게 요런식의 호구력 넘치는 가사는 도저히 못견디겠더라고요.....

15:18
25.02.21.
profile image

가끔 외출해서 밥먹을 때 양산형 성대 차력 발라드 알앤비를 듣게 되면 밥 맛이 뚝 떨어지는...

14:22
25.02.21.
profile image

전 개인적으로 예쁜 멜로디와 이지 리스닝 곡들을 좋아해서...
김사월, 스웨덴세탁소, 이민휘 같은 가수들 보면 한국 인디 여성 포크 씬이 죽지 않았다고 생각해요. 의미 없지도 않고요.
결국 멜로디와 이지 리스닝 조차 좋은 음악을 만드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될 겁니다.
아무리 좋은 가사, 수준 높은 프로듀싱이 들어가도 듣는 재미가 없으면 안되니깐요..

+

저도 힙합 좋아하는 리스너 입니다.

15:05
25.02.21.
profile image

전 둘다 좋아하지만 취향 존중합니다. ^~^*

15:07
25.02.21.
profile image

좋아하는 장르는 다르지만 싫어하는 장르는 저와 같네요!!

특히 한국식 발라드...

 

18:03
25.02.21.

한국식 발라드는 유재하,안전지대 이 두 뮤지션이면 사실상 장르적인 원류라는 측면에서 70~80%는 설명가능 하다고 보이며 나머지 부분에서 토이 김동률 윤상 이적 성시경등의 아티스트가 보이긴하는데 이들의 음악들도 일본 음악의 영향이 어느정도 묻어 있긴 한 것 같긴 합니다.

요즘 발라드는 오히려 90년대보다 나은가라고하면 테크닉은 늘어났지만 감성이라는 측면에서는 80~90이 더 마음을 울리는것 같기도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둘 다 듣긴하지만 요즘 발라드는 가창력이 있는 보컬만 듣는것 같긴하네요. 

그 말고는 다른 장르와 융합한 발라드인지라 한국식인지는 모르겠습니다.

록발라드도 엑스재팬식 록발라드 특히 endless love식 록발라드 Mc the max 더 크로스 등은 이젠 장르적 분별성이 애매하죠 그노래가 그노래같은... 아니면 스트라토바리우스 느낌의 록발라드 천년의 사랑 어디에도 등등도 좀 그런측면이 있는것 같습니다.

오히려 한국 록발라드 보단 90시절 엑스재팬 자드 스트라토바리우스 등의 노래가 더 요즘엔 와닿는것 같습니다. 그 시절 감성은 확실히 좀 다른것 같긴하더군요. 요즘엔 듣는 노래중에 귀를 사로잡는 노래는 록발라드에선 qwer이고 발라드는 hynn 노래가 개인적으론 좋은것 같습니다.

오히려 이런 전통의 장르들은 요즘 나오는 음악보단 옛날 에 나오던 음악이 더 개인적으론 좋아서 여러가지 생각이 들긴합니다.

16:28
25.02.22.
profile image
ddd4500 Developer
종결포기합니다
상기하신 노래들을 다 알지는 못하지만 발라드는 확실히 저도 옛날께 차라리 좋긴 하더라구요. 유재하 이후로 미학적 발전이 보이질 않는 느낌입니다.
17:19
25.02.22.
You do not have permission to access. Login
WYSIWYG

Report

"님의 댓글"

Are you sure you want to report this comment?

Comment Delete

"님의 댓글"

I want to Are you sure you want to delete?

Share

Permalink
Category Subject Author Date Views
영디비 이용 가이드 (2024년 개정판) 6 Gprofile 24.07.29.19:00 4539 +7
잡담
image
COCT 27분 전10:03 10 +1
잡담
image
시미즈 2시간 전07:59 35 +7
잡담
image
숙지니 4시간 전06:12 128 +6
잡담
image
레오와반이 8시간 전02:08 89 +6
잡담
image
COCT 8시간 전01:43 123 +11
잡담
normal
노린재와이어폼팁 8시간 전01:42 76 +5
잡담
normal
inha 8시간 전01:35 65 +6
잡담
image
tk56 9시간 전01:29 106 +9
음향
image
COCT 9시간 전01:03 52 +5
잡담
image
Gprofile 10시간 전00:15 158 +10
잡담
normal
김야옹이 11시간 전23:16 78 +7
음향
normal
세ㅁ 11시간 전23:10 73 +5
잡담
image
AlpineSnow 12시간 전22:05 108 +6
잡담
normal
eoeoe 12시간 전22:02 71 +3
잡담
image
토레타최고 12시간 전21:58 29 +5
잡담
image
이노시톨 13시간 전20:56 110 +4
잡담
image
엘릭스 15시간 전19:21 142 +8
잡담
image
노린재와이어폼팁 15시간 전19:16 148 +10
잡담
image
inha 16시간 전17:35 214 +13
잡담
image
삼중부정 16시간 전17:35 131 +11
잡담
image
-답이님 16시간 전17:31 129 +4
잡담
image
JNK 17시간 전17:12 220 +14
잡담
image
숙지니 17시간 전17:11 72 +12
잡담
image
숙지니 17시간 전16:59 109 +5
잡담
image
AlieNaTiZ 17시간 전16:58 93 +9
잡담
normal
디자인합니다 18시간 전15:54 338 +21
잡담
image
시미즈 19시간 전15:21 93 +6
음향
image
찐초코 20시간 전13:40 170 +9
잡담
image
COCT 21시간 전12:41 114 +7
잡담
image
AlieNaTiZ 1일 전10:20 164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