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소리란 무엇인가?

좋은 소리에 대한 여러 의견이 있을 수 있겠고 이 영상도 하이파이계 유튜버의 개인 의견이긴 하겠습니다만 한번 쯤은 볼만한 가치가 있는 것 같아서 가지고 왔습니다.
원천 음원이 제일 중요하다라는 결론은 저도 격하게 공감합니다. ^^
Comment 15
Comment Write

특히 귀로 듣는 것보다도 녹음을 해보면 귀보다 훨 소머즈인 마이크가 문제점을 정말 잘 잡아내기 때문에 좋은 소스 안좋은 소스 단박에 알아챌 수 있습니다. 경험상 진짜 좋은 소스는 전체 음원의 10프로 정도 될까 말까 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

명확하게 비교 설명해주시니 아주 좋네요.
우선 순위를 정확히 알게 되었습니다.
이래서 귀에서 가까운거부터..라고 하는군요.

좋은 소스라는것도 정교한 소스기와 좋은 시스템 위에서 빛나는 것이더군요.. 저는 막귀라서 일정이상의 소스면 구분 못할즐 알았는데 그것도 아니었던.. ㄷㄷ 제가 아직은 갈길이 멀어 그런진 모르겠는데, 시스템 완성 후 소스 선별이 순서입니다.. cd 립 장인이 한분 계셔서 그분께 의탁? 중인.. 스펙트럼 깍아 맞추시는 ㅋ

특히 귀로 듣는 것보다도 녹음을 해보면 귀보다 훨 소머즈인 마이크가 문제점을 정말 잘 잡아내기 때문에 좋은 소스 안좋은 소스 단박에 알아챌 수 있습니다. 경험상 진짜 좋은 소스는 전체 음원의 10프로 정도 될까 말까 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




갠적으로 헤드파이로 한정하면 엔트리급 이헤폰 다음은 일단 가능한한 좋은 소스와 좋은 소스기기를 첫째로 꼽긴 해요. 이헤폰 업글은 늘상 그 다음으로 두는 편이었습니다.

헤드파이는 좌우 단절이라는 태생적인 차이가 있어 좌우 스테레오 위상이 정교하지 않아서 많은 부분 소스의 결점을 감춘다고 생각합니다. 하이파이 에서의 소스 중요성 보단 직접음을 귀에 쏴주는 기기 자체의 중요성이 제법 크지 않나 생각합니다.
그리고 요즘 음원들 대부분은 대개 보컬 더블링등 헤드파이에서도 보컬이 갸냘프지 않도록 가공해서 나오기 때문에 이런건 헤드폰으로 듣는게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명확하게 비교 설명해주시니 아주 좋네요.
우선 순위를 정확히 알게 되었습니다.
이래서 귀에서 가까운거부터..라고 하는군요.


최근에 SNR 110dB을넘어선 스트리머들이 등장하고 있어서 이또한 기대되는 바입니다. 동시에 CDP가 저물고 있어요ㅠ


당연히 비유적 표현이겠지만 디스플레이쪽 취미 가지신 분들에겐 예민하게 들릴 수 있어서요 ㄷㄷ;


해상도, 음질과 함께 영원히 해답을 찾아야 하는 유니콘같은 단어...
좋은 소스라는것도 정교한 소스기와 좋은 시스템 위에서 빛나는 것이더군요.. 저는 막귀라서 일정이상의 소스면 구분 못할즐 알았는데 그것도 아니었던.. ㄷㄷ 제가 아직은 갈길이 멀어 그런진 모르겠는데, 시스템 완성 후 소스 선별이 순서입니다.. cd 립 장인이 한분 계셔서 그분께 의탁? 중인.. 스펙트럼 깍아 맞추시는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