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디비 빌런) 덱앰매칭의 모범 답안. (덱<엠->덱>엠)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결론 제 덱엠 매칭 모범 답안은 원박스입니다.
쉽게 생각하면 쉽지만
찐? 환자의 영역에서 덱엠매칭은 생각보다 꽤 힘듭니다.
세트셋?이라도 유닛 베레언트가 있을 수 있고
외부 와이어링에 따른 매칭이나
각각 유닛 배치의 까지도 고래해야 합니다.
덱엠의 거리나 스텍시에 위아래...
실제로 소리와 성능에 영향을 미칩니다.
(미친 소리 같지만 진짜 미칩니다.)
작은 변화에도 차이 납니다.
시간이 지나면 또 세팅을 변화 해야 합니다.
모든걸 맞춰서 생각해야 합니다. 환자의 영역이죠.
그냥 제조사가 프리매칭 시킨
원 박스... 가장 심플한게 최고입니다.
그리고 덱과 엠의 상대적인 중요도에 대해
여러 고수분들과 조금은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는 빌런입니다.
많은 분들과 다르게 시간이 지날수록 앰프보다는
덱의 영향력이 점점 더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일단 볼륨 확보가 충분히 되고
기본적인 결함이 없는
어느정도 급이 있는 엠프 이상은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출발점과 기본적인 생각은 대세?와 같있습니다.
엠프를 교체하면 더 큰 변화를 쉽게 느낄 수 있고
투자대비 가성비도 좋습니다.
허지만 이상 하게도
동급의 세트로 나온 동사의 덱과 엠프들을
가격상으로 단순 비교하면 늘 덱이 더 비쌉니다.??
업그레이드시에는 엠프가 더 확실한 차이를
느끼는데 왜 덱을 더 비싸게 파는 건지...
왜 인지 고민 하다 보니 고가의 엠프들은
차별성을 가지기 위해 하는 것이 부가 기능이나
고유의 착색을 입히는 것이죠.
어느 수준 이상의 기본기(앰핑 성능)을
가진 수준 부터 이론적으로 신호를 그대로 증폭하는데
소리에서 차이가 날 수 없죠.
앰핑시에 차이가 나면 그냥 왜곡입니다.
요즘은 대부분 디지탈 음원을 듣습니다.
디지탈 음원이 아니면 DAC가 필요 없죠....
덱은 디지탈과 아날로그의 한다리씩 걸친 기기이고
순수 앰프는 완전 아날로그입니다...
적어도 앰프의 주요기능은 아날로그 신호를
더 큰 아날로그 신호로 증폭하는 단순 아날로그입니다.
이날 로그 방식에서는 편의성 부가기능을
추가할 여지가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사실 효율적으로 소스기기나 덱에서
디지탈로 조정 하는게 더 뛰어 나다고 생각하기에
필요도 없을듯 합니다.
그러면 엠프로 차별성을 내기 위해
남는건 착색뿐입니다...
물론 앰프엔 일정 이상 투자할 가치가 없다라던가
그게 잘 못 되었다는게 아닙니다.
개인의 취향이죠. 하지만 덱에서 더러운?신호를 주면
앰프는 그걸 더 더럽게 증폭합니다.
솔직한 이야기로 노이즈가 자글 자글한 저렴한데
앰핑 스펙만 높은 몇몇 제품만 아니라면
전 20만원도 앰프들도 하이엔드급이랑
비교시 기본 성능으로는 큰 차이를 모르겠습니다.
(부가기능이나 갬성, 만듬세는 큰 차이가 있죠. ㅎㅎ)
쌩 초보때는 덱 보다 앰프가 훨씬 차이가 크고
느끼기 쉬우니까 더 중요하다고 했었는데
지금은 균형이 중요하고 (원박스가 최고 ㅋㅋ)
예산이 충분한 상황에서는
(대충 50이상 예산이 그 이하면 앰프에 더 투자... )
덱과 앰프를 따로 구매해야 하고
둘중 꼭 꼽아야 한다면 덱쪽에 좀 더 투자 할 듯 합니다.
Comment 4
Comment Write

대부분.... 아니 거의 모든 덱에는
앰프단이 존재하는 하는듯 합니다.
아닌 제품은 아직 못본 ㅎㅎㅎ
덱앰프단에 의한 차이도 꽤 크죠.
특히 출력이나 단자 임피던스는
음색도 음색이고 성능에도 치명적으로
작용할때가 종종 있더라구요.
매칭의 중요성... 프리앰프의 필요성...
복잡합니다...ㅠ.ㅠ


외근중에 시간 때우는 빌런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