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bble V2를 들였습니다.
공간 안 먹고 저렴한 데스크 스피커가 필요하게 되어 Pebble V2를 들였습니다.
좀 들어보니... 저음이 너무 부족합니다. ㅠㅠ
그러나 이 사이즈의 풀레인지 유닛에 더 바란다는 것 자체가 욕심이겠죠.
분명히 2-3만원대의 자칭 컴퓨터 스피커들 보다는 낫긴 합니다.
iLoud Micro Monitor도 가지고 있는데요. 비교하기가 민망할 정도의 성능 차이가 납니다.
하지만 Pebble V2와 iLoud MM은 가격 차이가 10배니까요... 가격 차를 생각하면 또 그럭저럭 납득할 수 있습니다.
스피커로 음감을 많이 하시려는 분들에게는 매우 아쉬울 것 같고요. (정 좁은 공간에서 쓰시겠다면 좀 비싸더라도 MM 가세요)
공간과 예산 제약이 있는 경우에 한해 적당한 타협점으로 추천 드릴 수 있겠습니다.
Comment 10
Comment Write
페블시리즈, 오테에서 나온 것 써봤는데 USB 전원 스피커의 한계가 있더라고요.
독서실 책상 같이 밀폐된 구조에서 사용중인데 그러면 저역이 쬐~끔 올라가더라구요.
저역 좋은 비슷한 가격대 스피커도 있는데 대신 해상도가 많이 뭉게지더라구요.
어차피 음량을 크게 들을 수가 없어서 이걸 샀기 때문에 만족하고 사용하는 중입니다.
아.. 그리고 비닐 스티커는 떼셨죠?
비닐스티커는 바로 뗐습니다. 성격상 자동차, 가전제품 등등 모두 사자마자 눈에 보이는 비닐은 다 제거합니다. ㅎㅎ
말씀대로 저가 컴퓨터 스피커들은 해상도가 엉망인데 그래도 Pebble은 그 부분에서는 훨 낫습니다. 어차피 책상에서 볼륨 올리기 어려운데 저역보다는 해상도 좋은 쪽이 더 나은 선택이라고 봅니다. 저역 듣고 싶으면 그냥 이헤폰을 이용하기로 했습니다.

페블 프로는 저음 부스팅이 되는 PD 전원 공급 모드가 있더라구요?
이 부분을 확실하게 판단해줄 수 있는 리뷰어 한 분 실험 정신을 발휘해주시면...

일반 페블(v3)보다가 저음 때문에 프로구매.
페블 프로는 확실히 저음이 덜 아쉽습니다.
가격이 두배가 넘게 차이나니까 가성비는 아쉽지만요.
후면에 페시브라디에이터와 상대적으로 높은 출력에 더해
보조전원+외부 DAC/amp까지 더해지니까
서브우퍼 유닛도없는 10만원미만 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가 맞나 싶은데...
외장 DAC/ AMP만 수십만원이긴 하군요.
지름 축하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