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ist
  • Down
  • Up
  • Write
  • Search
잡담

R70xa hd600과 ndh30보다 개인적으로 나은것 같습니다.

종결포기합니다
702 16 17

처음 번개에서 들었을 때 뭐지 이 개방감은 토널밸런스는 저음 느낌은 하면서 이거 물건 같은데 나중에 사야겠다고 생각했던 헤드폰이었는데 사고나서 들어보니 판단이 맞았단 생각이듭니다.

 

ndh30보다 나은것 같다는 느낌도 듭니다. Ndh30 물론 토널리티 좋고 섬세한 부분은 참좋지만 개방감이라는 부분에선 아쉬움이 남고 초고역대 양감에선 아쉽지만 이 녀석은 ndh30가 가졌던 약점은 거진 다 해결하고 대신 극저음 양감과 토널리티만 조금 희생한 소리가 나오네요.

 

Ndh30과 전체적으론 비견되는 완성도인데 초고역대의 완성도와 개방감 덕분에 개인적으로는 r70xa를 좀 더 높게 칠것 같습니다.

 

Hd600보단 확실히 구조적으로도 소리로도 업그레이드라고 보이며 그 완성도는 ndh30보다도 소리적인 부분까지 따졌을 때 개인적으로는 더 높다고 봅니다. 토널밸런스에서 저 둘보다 부족하지만 나머지 부분 개방감 스테이징 이미지 착용감 무게등이 더 좋습니다. 드라이버 성능은 ndh30과 동급으로 보이고 말이죠. 가격 잘 나왔네요. 

 

 

ReportShareScrap
루아후님 포함 16명이 추천

Comment 17

Comment Write
1등

 

가격표를 떼고 보더라도 굉장히 우수한데, 가격까지 착하게 나왔죠...

16:45
25.04.03.
eoeoe
오테 플래그쉽에선 이 구조는 그대로 가져가면서 이 사운드에서 토널리티하고 극저음 대역폭만 좀 더 개선시키면 진짜 dd오픈형에선 끝판왕 나온다고 봅니다.
16:47
25.04.03.
profile image 2등

오오 한번 청음해보고싶군요

17:10
25.04.03.
profile image 3등
이번 번개에서 R70xa를 들어봤을 때 용도에 따른 차이점이 있는것 같더군요.

R70xa는 가깝게 들리면서 세밀한데 저음까지 챙긴 정통 모니터링 헤드폰 계열이고 NDH30은 설계 자체가 영화음악 등의 이머시브 사운드 프로듀싱용으로 나와 약간은 먼 음상을 구현한 어찌보면 니어필드 모니터 스피커를 잘 모사한 설계 아닐까 싶습니다.

세밀하면서도 멀게 들리면 비싼 사운드라 100만원 이내에서 그런 헤드폰 찾기는 힘들더군요. ㅎㅎ
17:32
25.04.03.
플랫러버
1dd중에서는 r70xa하고 hd490pro정도가 완성형에 가깝지 않나 생각이 듭니다. 번외로 세밀하면서도 멀게 들리는 사운드 ar5000이 생각나기도 하는데 뒤의 물건은 1dd로서의 공진점을 확눌러서 만든 제품인지라 다이나믹에서 손해를 보긴 하였지요. ar5000은 세밀하면서도 멀게 들리는 사운드를 구현하려다가 완성은 시켰지만 초고역 재생능력이나 다이나믹함에서 평판형의 염가버전이라는 아쉬움이 남는 사운드였다면 hd490pro와 r70xa는 서로 성향이 다른데 ndh30에서 오히려 모니터링 적으로 개선 느낌이 나는 hd490pro는 토인 각이 들어간 느낌의 니어필드 모니터링의 느낌을 잘 살리면서 스테이징을 잘 묘사한 사운드라고 생각합니다.

r70xa는 정통 모니터링 사운드로 드라이버 하나를 믿고 설계하는 것으로 최대한 개방감과 저음의 밸런스를 잡은 느낌이었습니다. 일본음악에 딱 맞춘 초고역과 저음의 밸런스를 잘 챙긴 느낌으로 일본 오픈형 헤드폰 가운데서는 완성형이라고 보았습니다.
17:54
25.04.03.
플랫러버

ndh30같은 경우는 그래프또한 찾아보니 의도적으로 중고역대부터 초고역대까지 줄어놓았더군요. 피로를 생각하여 흡음재를 써서 드라이버를 컨트롤하는 느낌인데 그것이 토널이나 저역대를 재생하는데는 도움을 주지만 개방감 감소나 저역대의 약간 옹졸한 느낌은 흡음재를 사용한 것의 약점이 아닌가 싶었고 그부분을 hd490pro는 개선을 시켰지만 저음역대가 빠지는 느낌을 가져왔고 고역대가 조금 자극적이게 갔지요. 대신 hd490pro는 내부 구조물을 이용하여 스테이징과 정위감에 목숨을 걸었으며 ndh30에 비하여 저음이 많이 빠지지 않았기에 높은 평가를 얻은 것 같습니다.

r70xa는 이와 다르게 드라이버 뒷면이 뚤려있으며 최대한 개방감과 저역을 살리면서 뉴트럴한 토널밸런스를 맞춘 설계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중에 가장 높게 치는 측면은 저역의 자연스러움이 포트형 서브우퍼처럼 제일 자연스러운건 r70xa라는 부분인 것 같습니다. 최대한 개방지향적 설계를 한 만큼 저역의 자연스러움과 개방감은 위의 두 헤드폰을 능가합니다. 490pro도 저역이 좋았지만 댐퍼의 느낌이 없는 느낌은 아니었습니다. 대역폭도 거진 유사한데 말이죠. 대신 스테이징의 정밀함 이런 부분은 부족하지만 완성도로 따졌을 때는 ndh30과 맞먹고 비슷한 가격대의 헤드폰보다는 확실히 자연스러움과 개방감을 잘 잡았으며 다른 요소들도 잘 챙겨서 중용을 지킨 헤드폰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18:01
25.04.03.
플랫러버

종합적으로 볼 때 일본에서 독일제 1dd 다이나믹 드라이버 끝판왕 헤드폰에 맞먹는 완성도를 가진 헤드폰이 탄생하였고 개방감과 자연스러움이라는 부분에 있어선 메리트를 가져가는 사운드로 저렴한 가격에 잘 출시된 느낌이라 오테의 약진이 기대되는 부분입니다. 오테가 만약 r70xa에서 약점으로 평가받는 부분을 개선 시킬수만있다면 걸작하나 나올 것 같습니다.

18:05
25.04.03.

별개로 ndh30은 저 사이에서 어떤 위치를 가질 수 있나고 본다면 hd490pro의 고역대 표현에 있어 거침이 아쉽다 r70xa의 스테이징과 정위감이 아쉽다한다면 그 사이에서 메리트가 있다고 보여집니다. 저음에 있어선 다른 두 헤드폰이 댐퍼를 사용하지 않아 자연스러움에 있어서 더 낫긴 하지만 대신 댐퍼를 사용해 뒤를 막아 저음의 뚜렷함이라는 부분은 약간 ndh30이 평판형 스러운 부분이 있어서 더 좋긴한데 그 부분은 호불호의 영역이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성능상으로는 셋 다 각자 특장점이 있어 무엇이 낫고 부족하다고 나누기 힘들정도로 완성도가 뛰어나다고 봅니다. 드라이버 성능도 마찬가지이고 말이죠. sys38드라이버에 r70xa의 드라이버가 밀린다고는 보이지 않습니다.

18:19
25.04.03.
profile image
종결포기합니다
진작부터 전 R70x도 참 좋게 봤었습니다. 드이어 이번에 완전체가 된 느낌이네요. m50x와 더불어 오테 모니터링 라인은 이미 21세기초에 완성된 줄 알았는데 더 개선 시켜 나오니 이 계열로써는 끝판을 찍었다고 봐도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19:05
25.04.03.
플랫러버
과연 이 이상의 것을 오테가 차후에 보여줄지 그 부분이 기대가 되는 부분입니다.
19:06
25.04.03.
profile image
종결포기합니다
그나저나 헤드폰이 세밀하면 음상이 가까워지고 가까워지면 보다 이어폰 스러워지는 건 숙명인데 이런 숙명을 넘어서는 800s 급 이상의 비싼 헤드폰들이 좋긴 좋습니다. ^^
19:08
25.04.03.
플랫러버

대체적으로 평판형 상위기들이 그런 느낌을 보이곤 하지요. 그런데 그 정도 가격대면 사실 kh150같은 니어필드 스피커와 서브우퍼 조합을 사는게 더 나을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kh150 2조가 600만원이니 평판형 상위기인 lcd-5나 서스바라 언베일드등은 700만원~1000만 가격이고 sr-009 x9000 he-1등의 정전형은 1000만원이 넘어가니....

 

위의 조합은 잘하면 1000만원내로 갖출수도 있는 것이라 아예 골방이 아니라면 충분히 운용가능한 모델이기도하고 볼륨을 조금만 타협하면 헤드폰보다는 더 나은 경험을 할수가 있지요. 

 

이번에 수월우 코스모나 두누 아라시등의 제품들이 가격을 보니 200만원 안쪽이라 평판형도 점점 가격이 저렴해 질 가능성이 높다고 보아서 그 부분은 점점 좋아지는 것 같습니다. 코스모가 lcd-5나 mm-500 서스바라 언베일드에 비하여 많이 부족한가 아니면 그건 또 아닌지라...

19:09
25.04.03.
profile image
종결포기합니다
니어필드도 한번 해보고 싶지만 환경이 받쳐주질 못해서 아쉽습니다. ㅎㅎ;;
19:14
25.04.03.
플랫러버

각자의 장점이 있는 것이니 니어필드로는 톨보이 특유의 음장감은 낼수가 없지요. 니어필드는 세밀함이 좋고 말이죠. 평판형 헤드폰 같은경우는 앞으로 점점 가격이 내려가 헤드파이 하기 좋은 환경이 될 것 같아 앞으로의 헤드파이 시장도 기대가 됩니다.  dd도 점점 성능이 오르는 것 같고 말이죠. 

19:14
25.04.03.
요즘 신제품들이..예전 명기들을 다 제치고(?) 있는것 같은 느낌입니다.
x65, mv1, m1, Rx70xa 까지.. 다 만족 중입니다.
20:27
25.04.03.
profile image

아따시가 R70Xa 사면 HD490 PRO, 아주리스, 아난다 V3 산 것보다 행복해질 수 있을까여?!?!

23:07
25.04.03.
AlpineSnow
가격까지 고려하면.. 최고의 선택지중 하나가 아닐런지
08:10
25.04.05.
You do not have permission to access. Login
WYSIWYG

Report

"님의 댓글"

Are you sure you want to report this comment?

Comment Delete

"님의 댓글"

I want to Are you sure you want to delete?

Share

Permalink
Category Subject Author Date Views
[영디비 공동구매] 젠하이저 IE 시리즈 앵콜 공구 진행 5 영디비 6일 전12:06 4198 +13
영디비 이용 가이드 (2024년 개정판) 10 Gprofile 24.07.29.19:00 7974 +7
IT
normal
박지훈 1시간 전20:55 80 +8
잡담
image
로우파이맨최노인 1시간 전20:22 160 +6
잡담
image
숙지니 3시간 전18:28 77 +3
잡담
image
Software 3시간 전18:08 148 +8
유머
image
AlpineSnow 4시간 전18:02 85 +2
잡담
normal
DECALPHA 4시간 전17:52 94 +7
잡담
image
숙지니 5시간 전16:36 73 +2
잡담
image
eoeoe 5시간 전16:20 151 +7
잡담
image
숙지니 5시간 전16:07 86 +5
잡담
image
숙지니 7시간 전14:40 93 +6
잡담
image
숙지니 7시간 전14:34 121 +5
잡담
image
쪽빛 10시간 전11:52 217 +8
잡담
image
eoeoe 12시간 전09:56 229 +4
잡담
image
배고파정말 17시간 전05:06 147 +9
잡담
normal
-루비아이 17시간 전04:48 127 +5
잡담
image
eoeoe 20시간 전01:59 257 +13
잡담
image
COCT 23시간 전22:36 226 +12
잡담
normal
AlpineSnow 23시간 전22:14 517 +10
잡담
image
Gprofile 23시간 전22:10 78 +5
잡담
normal
쏘핫 23시간 전22:09 48 +4
잡담
image
열렙중인엘프 23시간 전22:07 44 +4
잡담
image
푸우 1일 전21:36 158 +7
잡담
image
윤석빈 1일 전21:09 570 +11
잡담
image
마루에marue 1일 전20:58 981 +14
잡담
image
로우파이맨최노인 1일 전20:05 307 +11
잡담
image
숙지니 1일 전19:56 87 +5
잡담
image
숙지니 1일 전19:48 38 +2
잡담
normal
inha 1일 전19:16 182 +5
잡담
image
COCT 1일 전18:09 130 +3
잡담
normal
쏘핫 1일 전17:16 11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