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ist
  • Down
  • Up
  • Write
  • Search
잡담

SunRise 랭킹 V25.04 대격변 업데이트

SunRise SunRise
920 30 26

 

이번을 기점으로 하여 [년도.월] 형식으로 월 1회 업데이트 예정입니다. 

스탁스는 한번에 모아서 다음번에 업데이트 합니다.

감사합니다.

 

 

 

 

<헤드폰>

【▣◆Audio Technica R70xa_A】
+ 동양인이라면 꼭 써봐야하는 헤드폰!
+ 드디어 HD600 센세이션이 비서구권에서도 나타남
+ 소리, 무게, 착용감, 가격 모든 면에서 매우 탁월한 밸런스
+ 소리는 올라운더. 착용감은 MA900, HD490pro보다 나음
+ 일본은 오픈형 헤드폰을 이상하리만치 못 만든다는 편견을 깨버림
+ 얇은 이어패드와 어댑터 없는 부착 방식은 고전적인 순수한 음을 추구
+ HD600보다 개방 지향적인 헤드폰으로 오테가 추구하던 'air'를 마침내 실현
+ 인간적 소리. 특히 고음 표현에서 억지스러움이 없으며, 기계적인 젠하이저와의 가장 큰 차이
+ 동양인 HRTF를 의식했는지 소리의 결이 잘 맞고, 이미징이 동일 폼팩터에서 손꼽히게 정확함
+ 이는 199g이라는 극단적 경량화 설계에서 비롯되며, HD580처럼 전작을 다듬었기에 가능
+ 덕분에 특히 낮은 볼륨에서도 안정적인 음감이 가능하다는 탁월한 장점이 있음

 

+ 마케팅 수단에 불과한 윙 서포트를 과감히 제거, 견고한 3점 지지 회귀
+ 여기에 초경량 설계가 더해져 헤드폰이 말 그대로 머리에 붙어있는 진귀한 경험
(처음 착용해보면 예상에 비해 약간만 편한데, 그 강도가 그대로 4시간 유지되어 편함)
+ 그릴에 있던 플라스틱 파츠는 요크로 이동하여 후면 방사음 최적화. ADX 설계와 비슷해짐

 

+ 극단적 개방형 헤드폰임에도 극저음부터 15kHz까지 훌륭하게 재생. 특히 초고역 튜닝이 감상용으로 탁월
+ 이는 치찰대역인 8kHz에 의도적으로 딥을 두어 10k이상 초고역을 자연스럽게 강조, 듣기에 편함
+ 초고음이 반짝이는 느낌으로 표현됨. 90년대부터 진행된 일본의 초고역 확장정책을 완성한 기념비적 모델
+ 극저음 표현 또한 199g에서 나올 수 없는 수준으로 멋지게 구현. 언제 어디서나 올라운더로 사용 가능
+ 전작은 극저음 에너지에 비해 고음이 억제되어 불만이었다면, 이번엔 고음을 동등하게 최적화
+ 덕분에 뻥뻥거리는 극저음과 독립적으로 재생되는데다 쏘지않는 고음의 절묘한 튜닝에 감탄
+ 드넓은 원형 하우징 덕분에 스테이징 사이즈는 HD600보다 한참 넓음
+ Y자 분기점까지의 거리가 길어 집에서 편리하게 청취 가능

 

- 미리 적자면 여기서 더 나아질 부분은 없음. 다만 올라운더의 함정은 감안해야
- 거시적으로 완벽에 가까우나 미시적으로 보면 타협 존재 (나쁜 건 아님. 설계 방식이 그러할 뿐)
- 순수한 음은 K501 초기형에, 선형적 표현은 HD490pro에, 방향표현은 MV1에, 가성비는 HD560s에 밀림
(뒤집어 생각하면 4개를 모두 합친 헤드폰이 R70xa라는 무시무시한 결론이 내려짐)
- 훌륭한 헤드폰의 미덕인 선형적 표현, 드라이버 제어력 부족. 오테 특유의 예쁜 고음이 나타남
- 먹먹하지 않은 8k 딥은 음감엔 탁월하나 원음은 아님. 정확한 극저음 질감 표현 불가
- 완전개방형을 채우는 저음을 만드려니 드라이버가 다소 뻥뻥거리는 느낌은 어쩔 수 없음
- 앵글드가 아닌 평평한 드라이버 배치로 순수한 이미징 표현력은 다소 열세
(HD600, 그라도처럼 좌우로 긴 이미징. 다만, 광활한 원형 하우징덕분에 비교군에 비해 상당히 나음)
- 원형 이어패드로 극저음이 샐 수 있음. 턱뼈 사이 빈 공간을 검지손가락으로 확인하여 잘 막아줄 것
- 패드가 두꺼운 것을 좋아하는 사람은 안 맞을 수 있으나, 패드가 두꺼워지면 소리는 99% 나빠짐
(패드를 바꿀 바엔 다른 헤드폰 구입을 강력히 추천. 절묘한 경지의 헤드폰을 망치는 결과)

 

 


◆Audio Technica R50x _B-

+ 저렴한 다용도 헤드폰으로 탁월한 선택
+ 매우 가볍고, 편안하고, 소리 무난하게 좋음
+ 초고역까지 그대로 쭉 뻗는 고음은 매우 특별함
+ 상위기보다 저음과 고음이 잘 나오니 기분이 좋음
+ 해외 기준 R70xa 절반 가격이니 가성비 또한 우수

- 각 파츠가 협응하지 않아 소리의 세련미 부족
- 특히 개방지향형 Air 시리즈를 완벽히 무시한 패드 설계
- 두께 증가, 내부 재질을 가죽으로 설계하여 절묘함이 사라짐
- 구조 특성상 둥근 극저역 롤오프. 고음이 다소 앙상하게 표현됨
- 특히 오테 고유의 초고역 확장성까지 나타나 필요 이상으로 밝음
- 내부 이미징과 바깥 이미징 간 단절로 R70xa의 혼연일체 감각 없음
- HD490pro Mixing과 같은 패드 문제로, 설계 목적이 뚜렷하지 않음
- 무엇보다도 R70xa가 한국에서 저렴하게 발매되어 카니발라이제이션 발생

 

Dunu Arashi _A+
+ 스탁스가 연상되는 외부 웨이브 가이드의 훌륭한 방사 특성
+ 들어본 평판형 헤드폰 중에서 웨이브 가이드 완성도는 최상급
+ 평판형답게 전대역 표현력 부족함이 없으며 고음을 줄여 하이엔드 사운드 추구
+ 멀티 레이어 다이어프램과 그것을 구동하기 위한 크래커형 자석이 아라시의 핵심
+ 덕분에 평판형 특유의 휘청거리는(비닐랩 튕기는) 저음이 아닌 고급스러운 중저음 질감

- 크래커형 자석으로 인해 중음~고음의 이음매가 아쉬움
- 특히 고음에 비해 8~13k가 리니어하게 들려 있어 부자연스러움
- 파나소닉 MLF처럼 드라이버 성격 나타남. 400Hz이하 에너지 과다
- 오디지스러운 하우징 구조, 하이파이맨 헤드밴드를 보면 독창성 없음
- 중저역의 탄탄한 표현력 만으로는 좋은 헤드폰이 될 수 없으며, 밸런스가 매우 중요함
- 잘 만든 Aune AR5000이라는 인상을 받았는데, 이것이 중국 차세대 사운드인지 의문

 


ashidavox HA-ST12 _C

+ 온이어 헤드폰 ST-90-07에 비해 확실히 나아진 착용감, 일체감
+ 레트로 디자인을 표방한 2025년 헤드폰 중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디자인
+ 이 금액에도 앵글드 드라이버가 탑재. 급 차이 없는 아시다복스의 후한 인심
+ 특히 이어패드의 설계는 디자인, 착용감, 두께를 포함한 사이즈, 유지보수 모두 탁월

- 단순히 고품질 사운드인가? 하면 그렇지 않음
- 상급기인 HA-SX12 HD와 달리 ST-90-07의 드라이버 재활용이라는 점은 감안해야
- 토널 밸런스가 현대적이지 않고 중저음 강조에 고음 끝부분의 존재감이 균형을 맞춘 사운드

 


ashidavox HA-SX12HD _C+

+ 이어패드 없이 듣는다면 좋은 선택
+ ST12에 비해 확실히 개선된 드라이버 사운드
+ 포스터 프리엣지 드라이버와 유사한 펄프 구조
+ 온이어 헤드폰 ST-90-07에 비해 확실히 나아진 착용감, 일체감
+ 레트로 디자인을 표방한 2025년 헤드폰 중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디자인
+ 이 금액에도 앵글드 드라이버가 탑재. 급 차이 없는 아시다복스의 후한 인심
+ 특히 이어패드의 설계는 디자인, 착용감, 두께를 포함한 사이즈, 유지보수 모두 탁월

- 드라이버 아까움. 어떠한 패드를 사용해도 추락하는 만족도
- 여전히 ST-31-02에 한참 못 미치는 소리 완성도. 동굴 사운드
- 토널 밸런스가 현대적이지 않고 중저음 강조에 고음 끝부분의 존재감이 균형을 맞춘 사운드

 


◆Sennheiser HD505 _A-

+ 일본 헤드폰처럼 드라이버 전면을 개방하여 해상력 향상
+ HD560s과 달리 매끈한 고음이 특장점으로 누구나 들어도 좋을 소리
+ 젠하이저에서 타겟 리니어리티를 표방한 560s에서 청감적 리니어리티 구현
+ 더군다나 HD560s와 달리 측압이 약화되어 언제 어디서나 사용해도 좋은 헤드폰

- 상급 설계일수록 헤드폰 구조물의 특징이 강하게 나타는데..
- 500시리즈 특유의 협소한 스테이징 표현 각도가 체감되는 폼팩터 문제 직면함
- 일부만 열려있는 느낌이 강함. 저음은 좁고 고음은 특정 각에서만 스테이징이 확장
- 따라서 4.4 밸런스드 케이블 구동의 저음 질감이 요구되는데, 이는 상당한 지출 요구
- 결론적으로 HD560s의 특징인 완결된 소리와 가성비를 희생하고 얻은 것이 많지 않음

 

◆Focal Hadenys _A-

+ 아주리스의 완결된 토널밸런스를 오픈형으로 구현
+ 아주리스 특유의 긴 저음이 오픈형에서 적절히 표현됨
+ 소리뿐만 아니라 착용감, 디자인, 브랜드 밸류 또한 전세계 최상급

- HD505와 비교하면 소리가 지저분함
- 밀폐형의 극저음 확장성은 오픈형에서 구현이 불가하여 저음이 애매
- 저역 부피감과 초고역 엣지감이 뚜렷하여 이외 대역 에너지 다소 부족
- 특히 초고역 리니어리티가 미흡하여 해당 대역의 위화감이 가장 큰 약점

 

Hi-Unit002 _C
+ 하드웨어에 비해 잘 다듬은 사운드 튜닝
+ 일본 밀폐형 헤드폰이 아니라면 듣기 어려운 전자음 위주 세팅
- 하드웨어 품질이 나쁨
- 작동 효과음이 너무 큼
- 저음이 부하고 정밀하지 않음
- 심지어 보컬배킹으로 한국인 취향과도 안 맞음

 

Alienware Pro Wireless Gaming Headset _C+
+ 탁월한 착용감, 작은 USB 무선 동글
+ 무선 헤드폰처럼 ANC, 주변음 듣기모드의 완성도가 매우 뛰어남
- 로지텍처럼 밸런스 토널이나, 음감용으로는 역시나 고음 경질적
- 탄력적이나, 고음과 미스매치인 저음의 아쉬운 완성도
- ANC ON 극저음 과다. 튜닝 목적을 모르겠음

 

◆Edifier W830NB _C+
+ 가성비 괜찮음
+ 적당한 토널밸런스, 드라이버 품질도 나쁘지 않음
- ANC ON 사운드 형편없음
- 밀폐가 쉽게 깨져 좌우 저음 레벨이 차이 남

 

▣◆JVC GG-01W _B-
+ 여러모로 추천할만한 JVC의 게이밍 헤드폰
+ 최첨단 패드 결착 시스템. 약한 측압, 209g의 가벼움
+ 중저역 부피감, 의외로 초고역까지 나와주는 고성능 드라이버
- 들어보면 음악용 아님. 저음 과다
- 무선 연결로 음악 감상시 소리가 짧게 끊김
- 에일리언웨어에 비하면 비대한 USB 무선 동글

 

 


<무선 이어폰>


▣Technics AZ100 _S-
+ 이어팁과 노즐의 이름다운 설계
+ TZ700을 넘어선 자기유체 드라이버 등 최상급 부품
+ 중저역 스케칭은 무선 이어폰을 넘어 하이엔드 이어폰 연상
+ 특히 B&W의 과한 중저음이 아닌 Roomy한 중저음이 특징
+ Dolby 사운드를 고려한 저음의 탄력적인 느낌이 매우 좋음
+ 야외에서는 3k 대역이 살짝 빠진 것이 아무래도 청취 환경에 적합
+ 고음은 TZ700처럼 약간 뒤에 있으나, 초고역의 은은한 시원함이 방향을 잡아줌
- 소형화된 콘차 핏은 굴곡 면에서 AZ80가 무난
- AZ80의 범용적인 사운드에서 반 발짝 더 나아가 호불호가 있을 수 있음
- 최상급이었던 ANC OFF와 달리, ANC ON 소리가 벙벙거려 생각보다 아쉬움

 

LG Xboom buds _B+
+ 무리 없는 착용감, 크레들 뚜껑 내부의 장식적 여유
+ 한국 대기업 중엔 드물게 큰 문제 없는 토널 밸런스
- ANC OFF해도 중저역 불쾌한 부피함 잔존
- 쉘 모양 자체가 귀에서 겉돌 수밖에 없는 구조
- Natural 토널이라기엔 삼성처럼 초고역 강조가 거슬림
- immersive를 기본으로 하는 LG의 튜닝이 원인으로 추측됨

 

BasicDots 2세대 _F
- 저음질

 

 


<유선 이어폰>


▣◆Samsung SHE-D30 _B-

+ 노즐에 BA가 박힌 순수 형태의 1BA 이어폰
+ 덕분에 음의 순도는 여전히 현역이며, 토널밸런스와 설계는 삼성의 XBA-100

- 패브릭 케이블임에도 마이크로포닉(터치노이즈) 상당함
- 1BA는 저음 표현력이 아쉽고, 중저역 보강 특유의 꽁꽁거리는 표현법

 

▣◆Unique Melody Janue Soleil _S- [셀라스틱: A]
+ (검정팁)지금까지 들었던 쿼드브리드 이어폰 중에서 가장 자연스러움
+ OBC, DD, BA, EST의 화려한 구성을 범용적인 토널 밸런스로 다듬음
+ 여기서 이미 단점이 크게 의미가 없음. 전 세계적으로 드문 제품의 방향성
- 하이엔드 사운드라기엔 무난해서 소리의 특장점이 있다면 좋을 듯
- 350~430Hz 크로스오버가 부자연스러워 발생하는 하울링이 제법 이질적
- 하울링으로 웨스톤스러운 묘사력을 목표하나, 무난한 토널밸런스가 가려버림
- 셀라스틱 이어팁 착용시 하울링이 심화되고, 소리가 이질적으로 변해 비추천
- 극저음 떨림은 물리적으로 나는데, 정작 극저음의 표현력이 사실적이지 않음
- UM이 아닌 DK 사운드. 해당 제품의 정체성과 포지셔닝이 애매한 근본적 한계

 

Activo Volcano _B-
+ 3DD라 그런지 소리의 방향을 추적하기 어려운 재미
- 착용감, 3DD, 소리 어느 하나 좋은 점을 찾기가 어려움
- 노즐이 길어 11kHz가 필요 이상으로 강조되어 사운드 완성도 훼손

 

Activo&Dita Q1 _B
+ 저음이 과하지 않고 적당히 조율됨
- 뻣뻣하게 경직적인 고음, 날리는 초고음. 5년 전에 나왔어야 할 사운드

 

ODA Hesperus Korea Edition _B+
+ 소리의 표현법은 해외 하이엔드 IEM와 일치함
+ 하이엔드 느낌 나면서 과하지 않은 토널 밸런스가 특징
- 치찰 대역을 예쁘게 표현하려고 하나 선을 약간 넘어버림
- 고음 표현의 윤곽이 다소 선명함, 부피감 대비 부족한 저역

 

Oriveti Dynabird _B-
+ 크게 모나지 않은 토널밸런스
- 착용감 나쁨, 에너지 부족, 고음 날림. 그나마 흰색 팁이 나음
- 1DD 다이나믹 부족. 옹졸한 소리 표현법은 구매할 이유가 없음

 

▣Seeaudio Yume 4 _B+
+ 말도 안 되게 편안한 착용감이 일등공신, 중립적인 토널 밸런스
+ 2BA의 일체감 있는 사운드 스케칭. 완성도는 유메 울트라보다 나음
- 저음 에너지 표현이 단순부실하고 고음이 다소 옹알거림

 

▣◆Moondrop Kadenz _B+
+ 스타필드 때의 폼이 돌아오는 느낌
+ 전반적인 소리에서 치명적 단점은 없음
- 다만 DD답지 않게 저음의 애매한 타격감은 목적이 없음, 고음도 약간 애매
- 동봉된 Echo-B 꼬다리로 고음 줄여도 애매함은 그대로. 오히려 초고음 쩝쩝거림 심해짐

 

Final A6000 _B+
+ 소구경 드라이버 특유의 샤프한 고음을 청감적으로 잘 튜닝함
- 자가증식 그만하면 좋겠음
- 6mm 드라이버는 오버이어가 아닌 언더이어 이어폰에 적합
- 구경이 작아 저역 포텐셜이 낮으며, 그나마 나오는 저음마저 여유롭지 않음
- 전 대역을 훑어봐도 크게 매력있는 부분을 찾기가 어려움. 고음 끝이 매끈했다면 좋았을 듯

ReportShareScrap
yozi yozi님 포함 30명이 추천

Comment 26

Comment Write
profile image

초대형 R70xa 거인의 대진격이군요

22:54
25.04.07.
profile image

1. 다시 봐도 R70xa는 엄청난 길이군요..;;

2. AZ100은 최근 업데이트가 있었는데
그 이후 ANC ON 상태에서도 좀 더 깔끔하게 들리는 편입니다.
(한 번 들려드릴 걸 그랬군요.. orz)

3. 랭킹 한 달 주기 업데이트가 여러 측면에서
단순화시킬 수 있어서 괜찮아 보입니다.

22:56
25.04.07.
profile image

전 R70xa 잘 모르겠던데....애매 하더군요 이것도 아니고 저것도 아닌...한번 더 들어 봐야겠어요.

R70x에서 업그레이든건 알겠는데 음...그까진가라고 생각이 들어서요 오래 들어보면 감이 잡힐거 같긴 하네요.

23:15
25.04.07.
profile image 1등

초대형 R70xa 거인의 대진격이군요

22:54
25.04.07.
profile image 2등

1. 다시 봐도 R70xa는 엄청난 길이군요..;;

2. AZ100은 최근 업데이트가 있었는데
그 이후 ANC ON 상태에서도 좀 더 깔끔하게 들리는 편입니다.
(한 번 들려드릴 걸 그랬군요.. orz)

3. 랭킹 한 달 주기 업데이트가 여러 측면에서
단순화시킬 수 있어서 괜찮아 보입니다.

22:56
25.04.07.
profile image
SunRise Developer
연월마호

최근의 카카오톡 버전 형식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ㅎㅎ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는 점이 마음에 들었네요.

22:58
25.04.07.
profile image
연월마호

R70xa는 임피던스와 앰프가 문제긴 합니다ㅋㅋ

00:41
25.04.08.
3등

r70xa 극찬이군요 ㅋㅋㅋㅋ

그럴것 같았습니다.

마케팅 수단에 불과한 윙 서포트를 과감히 제거, 견고한 3점 지지 회귀

특히 이부분 크게 공감되네요.

전작 청음하러 갔을때 어차피 헤드폰 자체가 많이 가벼운데, 굳이 특수한 구조의 헤드밴드를..? 어그로인가....

요런 생각부터 했고, 직접 써볼때도 일반 헤드밴드에 비해 장점이 딱히 없다 느꼈습니다 ㄷㄷ

23:01
25.04.07.
profile image

전 R70xa 잘 모르겠던데....애매 하더군요 이것도 아니고 저것도 아닌...한번 더 들어 봐야겠어요.

R70x에서 업그레이든건 알겠는데 음...그까진가라고 생각이 들어서요 오래 들어보면 감이 잡힐거 같긴 하네요.

23:15
25.04.07.
profile image
SunRise Developer
inha
그런 헤드폰 맞아요. 그래서 내용을 길게 적었습니다.
23:18
25.04.07.
profile image
SunRise

휴 저의 귀가 그렇게 틀린 건 아니였군요 무턱 대고 샀으면 분명 팔았을 건데 정모 때 들어보고 안 사길 잘했다는 헤드폰이긴 했네요 제 책상에 들여보낼 친구는 아니더라고요.

그래도 애매하다의 다른 말은 모든 방면에서 다 할 줄 안다니까 뛰어난 헤드폰이란건 저도 생각 하긴 하네요.

23:27
25.04.07.
profile image
SunRise Developer
inha
r70xa 무게 300g 이었으면, 절대 저런 등급 안 줬어요.
23:37
25.04.07.
profile image
SunRise
199는 진짜 혁명 그 자체…..저도 너무 가벼워서 놀랐네요.
23:41
25.04.07.
profile image
SunRise Developer
inha
거기서 더 놀란게 JVC GG-01W입니다.
밀폐형이 어떻게...
23:43
25.04.07.
profile image
SunRise
확인 했읍니다. 아직 못 들어봤지만 대략 감이 오는 듯...
00:12
25.04.08.
profile image
inha

제대로 들으려면 고가 거치앰프 필요합니다

00:43
25.04.08.
profile image

샤오미 버즈5 프로 와이파이가 전파인증을 마쳣고 곧 정발한다는 얘기가 있더군요

23:22
25.04.07.
profile image
SunRise Developer
몽롱

화웨이, BBK도 아니고 샤오미라면 전적이 없어 크게 기대는 안 되네요.
혹시 모르지만요.

23:23
25.04.07.
profile image
SunRise

카지카지라는 분이 리뷰한 유튜브 댓글 단거보면 프리버즈 프로4보다도 좋다하더군요
wifi로 96/24 무손실전송하는 기능도 야외에서 결코 끊기는 일이 없고 전반적으로 에어팟 프로2의 이상상이라는 평이네요
데논 펄 프로보다 좋고 pi8,제미니 2보단 아래 등급이라고 해서 기대되긴합니다

https://youtu.be/VD7ovsYDolk?si=vQhIgYlYpOICR180
https://kajetblog.com/xiaomi-buds-5-pro/

23:31
25.04.07.
profile image
SunRise Developer
몽롱

보내주신 URL 보니 하나 기억납니다.

이번 샤오미 무선 제품은 말도 안 되게 비싸게 나왔다는 평가였습니다.


그만큼 소리에 대해 물량 투자 혹은 자신감이 있다는 것이니, 기회가 되면 꼭 들어보겠습니다.

23:36
25.04.07.
profile image
그니까, R70Xa는 엄청나게 가벼운 중량이면서 극저역이 나오긴 한데 묵직한 하드웨어에서 나오는 알맹이가 꽉 찬 느낌이라기보단 드라이버 파워로 끌어낸 느낌이다...라고 보면 엇비슷한 걸까요?!
...들으러 갈 시간이 안 나는 ㅠㅠㅠ
12:51
25.04.08.
profile image
SunRise

감사합니다!!

...제 취향에는 굉장히 애매한 타입이네요 ㄷㄷㄷ;;

21:16
25.04.08.
profile image

갠적으로 유메1보다 유메4가 취향인데.. 역시 사람마다 평가가 다를 수 밖에 없군요.

21:24
25.04.08.
profile image
SunRise Developer
노린재와이어폼팁
시점 불일치로 혹시 모릅니다 ㅎㅎ
23:51
25.04.08.
profile image
SunRise
사실 제가 JH Diana로 마이너 취향 개발당한 입장이라.. 공정한 평가가 어려울 것 같습니다 ㅎㅎ
00:23
25.04.09.
아주리스 덕에 하데니스가 궁금했었는데 아주리스로 만족해도 되겠네요 ㅎㅎ 아주리스 이후에 HD700만 남겨놓고 오픈형 헤드폰을 다 정리할 계획입니다...
03:18
25.04.09.
You do not have permission to access. Login
WYSIWYG

Report

"님의 댓글"

Are you sure you want to report this comment?

Comment Delete

"님의 댓글"

I want to Are you sure you want to delete?

Share

Permalink
Category Subject Author Date Views
영디비 이용 가이드 (2024년 개정판) 10 Gprofile 24.07.29.19:00 6185 +7
잡담
image
숙지니 3시간 전01:00 37 +3
잡담
image
AlpineSnow 3시간 전00:17 36 +3
잡담
image
숙지니 4시간 전23:36 30 +1
잡담
image
열렙중인엘프 4시간 전23:18 85 +4
잡담
image
Gprofile 5시간 전23:00 68 +5
잡담
image
inha 5시간 전22:30 122 +2
잡담
image
토레타최고 5시간 전22:27 20 +3
잡담
image
Gprofile 5시간 전22:15 65 +4
잡담
normal
닼-문 6시간 전21:40 149 +3
잡담
image
숙지니 6시간 전21:38 64 +3
음향
image
59호 6시간 전21:12 108 +9
잡담
image
디자인합니다 7시간 전20:07 148 +7
잡담
image
숙지니 9시간 전19:04 103 +3
음향
image
엘릭스 9시간 전18:21 93 +7
잡담
normal
inha 9시간 전18:13 129 +7
잡담
normal
쏘핫 10시간 전18:01 76 +6
잡담
image
알리중독자 12시간 전15:45 213 +5
잡담
image
wiju 12시간 전15:19 95 +9
잡담
image
쏘핫 12시간 전15:13 170 +10
음향
image
호루겔 12시간 전15:13 162 +6
잡담
image
Gprofile 13시간 전14:40 53 +7
음향
image
호루겔 14시간 전13:52 74 +6
잡담
image
AlpineSnow 15시간 전13:00 85 +8
잡담
image
차바 15시간 전12:50 62 +3
잡담
normal
쏘핫 15시간 전12:14 94 +5
잡담
normal
쏘핫 15시간 전12:08 62 +3
잡담
image
-답이님 16시간 전11:20 97 +5
뉴스
normal
숙지니 16시간 전11:12 83 +4
음향
image
이노시톨 22시간 전05:58 91 +8
잡담
image
eoeoe 1일 전02:21 273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