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다리의 유무 차이가 엄청 크군요...

어제 dew0 라는 꼬다리를 구매해서 금방 몇 번 써봤습니다
제가 주로 사용하는 헤드폰이 임피던스가 낮기 때문에 그동안 폰이나 컴퓨터에 직결해서 사용하고 있었는데요
직접 사용해보니 극저음과 고음의 양질이 차원이 다르네요...
음색의 차이가 아니라 정말로 음질이 다르다는 것을 오늘 처음 깨달았습니다
처음 들었을 때 볼륨 차이 때문인가 싶어서 볼륨도 조절해보기도 했는데 그냥 정말 질적으로 차이가 다르더라고요..
비교청음해봤을 때, 직결은 전반적으로 극저음이 거의 체감이 저음이 허무하게 존재감을 보여주고 드럼소리와 같은 고음은 전반적으로 짧고 흐릿하게 들렸는데
꼬다리라도 끼고 청음해보니 와... 내 음감 인생 3년을 그냥 내다버렸구나.. 싶을 정도로 극저음과 고음 모두 아주 선명했네요..
그동안 댁앰 없이 사용하면서 헤드폰은 그냥 구동만 가능하면 되는 거 아닌가 생각했었는데.. 반성합니다..
그나저나 해당 꼬다리는 260옴까지 지원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hd600... 잘 쓸 수 있겠죠...............................
제발
Comment 29
Comment Write

최대전압 1Vrms로는 크게 듣는 분들에게는 좀 모자랄겁니다. 헤드폰 자체 음색도 크게 들었을때 장점이 잘 발휘되구요.
그리고 "울릴 수 있는 최대 임피던스"라는 스펙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헤드폰의 dB/V 감도가 같다면 임피던스는 높으면 높을수록 쉬운 겁니다. 오직 dB/V만 참고하세요. dB/mw가 아니라 dB/V입니다!!!!



dew0으로 hd600은 진짜 무리입니다...ㅠㅠ


DEW0으로 HD600은 무리수가 있네요 ㄷㄷㄷ

보는데마다 조금씩 다르다는게 함정..
https://www.headphonesty.com/headphone-power-calculator/
여기서는 1.78vrms
다른데서는
2.24vrms
3.21vrms
이렇게 봤습니다
그리고 dew0는 고음을 좀 강화시키는 특성이 있는거 같습니다



정말 소리 차이가 어마무시했었어요 ㄷㄷ
좋은 음원과 좋은 귀가 필요 하더라구요.
유투브로 들을 때는 고만고만....
660s2 사용자입니다.

최대전압 1Vrms로는 크게 듣는 분들에게는 좀 모자랄겁니다. 헤드폰 자체 음색도 크게 들었을때 장점이 잘 발휘되구요.
그리고 "울릴 수 있는 최대 임피던스"라는 스펙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헤드폰의 dB/V 감도가 같다면 임피던스는 높으면 높을수록 쉬운 겁니다. 오직 dB/V만 참고하세요. dB/mw가 아니라 dB/V입니다!!!!

GPT 답변:
시중 꼬다리 중 HD600을 “울릴 수 있다”고 평가받는 모델들
(= 2V 이상 밸런스드 / 고출력 싱글엔드 제공)
모델 출력 (밸런스드 기준) 특징
🔹 iFi Go Bar 4V@300Ω 굉장히 파워풀, HD600도 안정적 구동, 음 두께감 있음
🔹 Lotoo PAW S2 3.5V@300Ω 깔끔, 디테일, 다이내믹 좋음, 체급 최고급 꼬다리
🔹 Cayin RU6 4V@300Ω (NOS 모드) R-2R, 아날로그적 음색, HD600 매칭 좋음
🔹 Luxury & Precision W2-131 4V@300Ω 공간감, 저역 단단, HD600+동글 조합 중 최상급
🔹 iBasso DC Elite (또는 DC04 Pro) DC04 Pro: 4V@300Ω DC04 Pro 이상 모델이면 HD600 구동 가능
👉 모두 밸런스드 출력이 필수 (3.5로는 한계가 있어)
적혀진 놈들중에 제일 싼게 S2인데 46만원이라... 꼬다리로는 좀 한계가 있죠.
거치형을 하나 들이시는게.. 그나저나 DEW0로 한번 들어보는 중인데.. 이 차이를 느끼시다니 대단하시네요.

600과 650 전압감도가 6dB나 차이날까요? 매뉴얼에는 97dB/V로 표기되어 있다지만 실측값은 102~103dB/V로 알고 있습니다.
00년대에는 AKG를 제외한 모든 제조사가 공식스펙을 dB/mw로 기재했던지라 (야만의 시대!) HD600의 스펙에도 97dB/mw 혹은 97dB라고만 덩그러니 써있었을거예요. 요즘 나오는 모델들은 dB/V로 표기하는데 HD600처럼 오래된 제품은 표기법이 뒤죽박죽이 되어버려서 97dB/V로 알려진거 같습니다.

날 추우면 밖에 나갈 때는 660s2 직결해서 듣고 다니고 있는데 저 같은 경우는 유투브 음원으로 들어서인지 btr7 사용하는 것과 크게 차이는 없다고 생각들었습니다.(약간 차이는 있어서 내부에서 들을 때는 dac나 헤엠을 사용할 때가 있습니다.)
600도 대충 울려주지 않을까 싶었는데 차이가 있었군요.
하나 배워갑니다. 감사합니다.

흐흐흐 참 나쁜사람들



dew0 저도 3개 사서 나눠줬던 기억이 있는, 최저가 꼬다리계의 최정상이라고 생각합니다. (전제조건:최저가 꼬다리)

꼬다리와 댁앰 사이에 BT리시버등을 꼬다리로 사용하는 것도 중간대안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2V 이상은 뽑아주니까요. 그러나 댁앰은 못 됨
저는 집에서 ifi 그리폰이나 fiio q15를 주력기로 듣다가 dac끼리 비교 음감 버릇땜에 결국 가지고있는 꼬다리들도 전부 물려서 하다보면 심갓 dew4x랑 hd600이 의외로 궁합이 엄청 좋다는 사실에 놀라곤 합니다. dew4x 가성비 좋으니 한번 시도해 보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