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ist
  • Down
  • Up
  • Write
  • Search
잡담

final E5000 고찰

삼중부정 삼중부정
715 15 7

이라기보단 이 글은 특정 IEM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아무도 공감할 수 없는 기준을 제시하고 IEM이 무엇인지 멋대로 재정의하여 목적했던 기기가 역시 최고라는 결론에 이르는 일종의 사도예찬입니다.

 

final E5000을 들어주세요.
 
오래전부터 이 말을 하고 싶었습니다. 그리고 부디 밸런스드 C106 케이블과 함께 들어주세요. 기본 케이블도 동일한 C106의 3극이지만 고효율 IEM의 뻥튀기 볼륨게인에 익숙해진 여러분들은 포터블기기의 싱글엔드에서 E5000을 온전히 감상하기 어렵습니다.

 

그럼 다른 커케는- 어렵습니다. 이는 C106이 뛰어난 케이블이라서가 아니라 E5000 본체와 케이블 모두 정상범주를 벗어나있기 때문으로, 평범한 이어폰에서 본체와 케이블 성향이 -1 (-3+2) 정도 조합이라면 E5000과 C106은 +1 (+18-17)의 조합입니다, 따라서 예쁘고 튼튼하다는 이유로 다른 감도의 이어폰과 C106을 조합히면 모든 소리가 까칠하게 매말라버리죠. 반대로 E5000에 두꺼운 커케를 물리면 거대한 저음과 이를 감당못하고 튀어나오는 공진으로 인해 볼륨을 올리지 못하게 됩니다. 오직 E5000 곁에서만 반짝이는 C106과 C106을 통해서만 가벼운 E5000입니다. 둘이 합쳐 IQ100
 
임피던스 14옴에 감도 93dB로 상대적으로 조금 낮은 임피던스와 감도를 가진 이 이어폰은 여타 이어폰에 비해 2/3 이하에 볼륨을 가지며, 최근 포터블기기에 채용되는 THX AAA나 잠시 유행하던 퀘스타일의 전류증폭식 꼬다리 처럼 저항에 따라 차등적으로 게인을 주는 고효율의 앰프들을 저임피라서 깔끔히 무시하며 사실상 포터블기기 싱글엔드에선 굴릴수 없다고 (개인적으로) 결론 지었습니다. 최소한 게인 조작이 자유로운 준거치형. 혹은 배터리로 구동하는 앰프의 밸런스드 출력이면 겨우 클래식 연주 감상이 가능한 정도죠. 가뜩이나 저는 IEM이 포터블기기라 생각하기 때문에 걸어다니며 들을수 없으면 무의미하며, 워크맨 시대가 저문지도 언 30년, 손에 들고다니는 재생기기는 최소 워크맨 보다 커선 아니된다고 여기는 개발싸게꼰대라서 아직도 DAP를 멀리하고 있음으로 시도조차 안 해봤습니다만 그역시도 밸런스드가 아니고선 부족하리라 예상합니다.


하지만 왜 이 모양일까요? 이러한 불편을 감수하는데 뭔가 장점이 있어야하지 않을까요;? 이는 에티모틱의 ER4 시리즈에서 단서를 찾을 수 있습니다. 임피던스를 헤드폰 수준으로 올리고 고 임피던스의 빠릿한 BA 드라이버로 매우 정확한 음색을 들려주는 기기로 각인되어 아직도 가끔씩 언급되죠. 고임피던스로 노이즈를 줄이는 대신 포터블 기기에서 구동은 어려울 만큼 출력이 줄어들었지만 이를 3단 팁과 이도 깊숙히 들어가는 커널로 보안한게 ER4의 기본형입니다. 반면 E5000은 감도를 낮춰 노이즈를 줄이고 낮아진 감도만큼 임피던스도 낮춰 출력을 높였(었)죠. 이 거대하고 둔한 이미지는 C106과의 조합으로 작고 선명하게 압축되고, 결과적으로 아주 작은 노이즈까지 전부 담기지만 전체 흐름상 자연스럽게 녹아든 소리가 됩니다. 모조리 비우고 정확하게 울리는 ER4, 모조리 울리고 압축해버리는 E5000, 소리도 메커니즘도 정 반대지만 어딘가 닮아 있습니다. 출력이 작다는 공통의 단점이자, 장점이죠.

 

이상한 말이지만 출력이 작으면 출력을 높이기 수월합니다. 적어도 출력을 높일 수 있는 앰프등이 갖춰진 상황에서 말이죠. IEM에서 소스기기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100% 사용하는게 가능할까요? 가능합니다. 소스기기의 볼륨을 최대로 높이고 이를 얼마나 증폭해야 최적의 소리를 들려줄까요? 아마도 녹음되는 소리보다 조금 크게 체감되는 정도로 음악이 마스터 되었을테니 앰프 역시 그에 상응하리라 넘겨짚을 뿐입니다만... 타 IEM에서 볼륨과 함께 증폭된 왜곡이 도드라지며 더이상 볼륨을 올리기 꺼려지는건 거기 이르기 한참 이전 입니다. 반면 E5000에선 조금 걱정될 만큼 볼륨을 올려도 불편함이 없답니다. 메이킹베토벤

이미 1부터 100까지 소리를 출력중이고 이 전체를 비율적으로 확대할 뿐이니까요. 멀리서 내려다보고 있는겁니다.

 

말하려고 보니 고음이 어째고 저음이 어째고 하는 일반적인 감상은 E5000에겐 별 의미가 없을거 같습니다. 전부 잘 들리고 전부 잘 안 들립니다. 슈퍼노멀? 굳이 음색을 설명하자면 깊고 부드럽습니다. 부드러운데 내용이 많으니 곱다-고 말해야 할 것 같네요. 생뚱맞지만 IEM이 뭔지 되물어 봅니다; 스피커와 달리 IEM은 말그대로 모니터링 청취가 기본입니다. 귀에서 가까운 정도가 아니라 귓 속에 쳐박혀 있으니 다른 청취법이 없죠. 라우드 스피커 청취는 모니터링 스피커 보다 스테이징의 정확성은 떨어지지만 보다 풍성하고 편안하게, 시쳇말로 음악성이 있게 감상할 수 있습니다. 만약 IEM에서 이러한 감상을 할 수 있다면 어떨까요? 위에서 설명한 모든 과정이 라우드스피커 감상과 유사합니다, 매우 거칠고 둔탁한 유닛을 섬세한 케이블로 조율해 마치 거리를 두고 소리를 병치해 감상하는 듯한 IEM, 아니 IEL이죠

 

기호 5000번! IEL

 

삼중부정 삼중부정
42 Lv. 36574/36980EXP

 in the name of I. Pitch

               and of II. Loudness

               and of III. Quality,

 

               Envelope / Time.

ReportShareScrap
범민아빠님 포함 15명이 추천

Comment 7

Comment Write
profile image 1등
예전 글 생각나네요 ㅎㅎ
https://www.0db.co.kr/FREE/2399743
10:40
3일 전
profile image
SunRise
아니 저도 알았으면 코멘트 갈음을 했을텐데 홀로 허우적거렸네요 껄껄껄 (3년치 부끄럽습니다ㅠ)
14:27
3일 전
profile image 2등
파이널이 이어폰 소리가 아닌 진정한 사운드 라는 걸 만들 줄 아는 회사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말씀하신 성향이 최신 보급형인 Grid01에서도 잘 느껴지더군요.
그래서 한번 들어보고 두말없이 구입했었고요.
11:32
3일 전
profile image
플랫러버
그리드는 E3000과 E5000 사이를 얄밉게 공략했더라구요. 큭큭 요즘 오디오 제조업체들이 이리저리 대기업에 인수되고 있어서 갑갑한데 파이널은 좀 버텨주었으면 하네요. 중소기업으로서 지역농구팀도 지원하고 정말 호감인 기업입니다
14:35
3일 전
3등
E5000있으면 3000이든 grid01이든 좀 무의미하겠죠? 5000에 4극 케이블은 아직 시도하진 않았지만...(가격문제로 아마 앞으로도)
16:06
2일 전
profile image
MOD
4극은 순전히 포터블기기에서 음량 확보를 위함이고 거치형으로만 사용하신다면 3극으로도 상관없죠. E3000은 고역대가 비교적 많이 뭉게지는 편이라 완전 하위호환이지만 GRID01은 조금 결이 다릅니다. 중고역에서 A시리즈 소리가 나죠ㅎㅎ
16:23
2일 전
삼중부정
사실 6년 된 태블릿 직결에서도 아직까진 음량확보에 불편한 경우가 드물긴 하더군요
16:40
2일 전
You do not have permission to access. Login
WYSIWYG

Report

"님의 댓글"

Are you sure you want to report this comment?

Comment Delete

"님의 댓글"

I want to Are you sure you want to delete?

Share

Permalink
Category Subject Author Date Views
영디비 이용 가이드 (2024년 개정판) 11 Gprofile 24.07.29.19:00 1.8만 +8
뉴스
normal
박지훈 5분 전02:03 2 0
잡담
image
Gprofile 33분 전01:35 34 +2
잡담
normal
드락사르 1시간 전00:29 55 +2
잡담
image
Gprofile 1시간 전00:15 47 +6
잡담
image
숙지니 2시간 전23:37 42 +8
잡담
image
PlainDai 3시간 전22:38 149 +21
음향
image
호루겔 3시간 전22:37 72 +8
잡담
image
타루스코드 3시간 전22:22 31 +3
잡담
image
숙지니 3시간 전22:16 25 +2
잡담
image
PlainDai 3시간 전22:14 72 +6
잡담
image
티피 4시간 전21:51 57 +7
잡담
image
엘릭스 5시간 전21:05 96 +11
유머
normal
범민아빠 7시간 전18:45 144 +5
잡담
image
COCT 8시간 전17:49 161 +8
음향
image
박지훈 8시간 전17:44 124 +7
잡담
image
Gprofile 9시간 전16:10 126 +5
잡담
image
마루에marue 11시간 전14:38 158 +12
image
Gprofile 12시간 전13:45 112 +9
image
Gprofile 13시간 전13:00 109 +8
잡담
image
eoeoe 13시간 전13:00 298 +7
잡담
image
삼중부정 13시간 전12:51 71 +7
잡담
image
blackwood302 13시간 전12:45 51 +2
잡담
image
HWB 13시간 전12:44 58 +7
잡담
normal
inha 13시간 전12:38 65 +11
잡담
image
알리중독자 13시간 전12:11 70 +7
음향
image
제주800이 16시간 전10:06 249 +13
잡담
image
eoeoe 16시간 전09:22 271 +14
잡담
image
COCT 17시간 전08:45 101 +10
잡담
normal
Gprofile 18시간 전07:55 235 +9
잡담
normal
iHSYi 22시간 전03:09 235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