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음향

KZ zs10pro에 들어가는 BA 몇개 가 페이크 유닛일 수도 있을거 같습니다.

오버이어마니아 오버이어마니아
5001 2 29

https://primeaudio.org/kz-zs10-pro-review-cannibalized/  
 
 여기도 측정치를 같이 게시하는 사이트인데, KZ 제품 같은 저가형 리뷰가 보고 싶어서 찾아다니던 중에 발견한 자료입니다. 
  
 근데, 신기한게 zsn pro라는 zs10 pro의 하위호환격 제품의 측정치를 같이 두었는데, 1dd+4ba인 zs10pro랑 1dd+1ba인 zsn pro와 거의 측정 오차 수준의 차이가 났네요. 저역대야 같은 dd 유닛이니 그렇다 치지만, 중역대에서 10k 부근까지 거의 성향이 동일 이어폰이나 다름없는 수준인거로 봐서는 이게 뭐지? 생각이 들더라구요. 
  
 제가 생각하기엔 5k 부근의 차이는 크로스오버 포인트가 위치해서 생긴 음압 감소가 아닐까 의심되고요, BA하나가 원래 중고음역을 전부 커버가 가능한 제품인데, 단순히 BA 갯수를 이용한 마케팅에 이용하기 위해 1) BA중에 소리가 나오지 않는 페이크 유닛이 있거나, 2) 하나로도 충분히 커버 가능한 대역을 굳이 동일한 BA 여러개에 나누어 놓았거나. 3) 두개 이상의 유닛이 중복되는 대역폭을 재생하게 만들어졌거나. 하는 가설을 세워 볼 수 있을거 같습니다.. 
  
 솔직히 이정도 차이면 듀만콘댐이 목적이 아닌이상 가격이 거의 절반 수준인 ZSN을 구매했을거라 봅니다.

신고공유스크랩
터럭 터럭님 포함 2명이 추천

댓글 29

댓글 쓰기
profile image 1등

 ZSN은 써봤지만 ZS10 pro를 못써봐서 모르겠네요 ㅠ  
 ES4의 경우에도 AS10과 비슷한 그래프였던 것 같네요 
 ZST와 ZS5도 헤메님 블로그에서 비슷했던 것 같구요

07:13
19.07.23.
profile image
플라스틱걸
위 글에서 제기한 문제에서 같은 선상에서 의심해보면 그냥 똑같은 유닛을 굳이 곱빼기 해서 넣어놓은 다음에 유닛 여러개 넣었다! 이러는 거 같기도 하네요...

헤메님 블로그에서 ZST랑 ZS5 비교해봐도 진짜 측정오차군요.
07:16
19.07.23.
profile image
플라스틱걸

개인적으로 보기에는 성향이 완전히 동일한데, 하우징만 다른 제품이 나오는거는 KZ가 이제 슬슬 이름 날리는 메이커 반열에 오르면서 타사 하우징 금형을 멋대로 가져다 쓴다는 오명을 벗기 위해 그러는 것이거나, 실질적으로 신제품 개발 여력은 없는데 신제품 출시로 이목을 끌기위해 기존 내부설계 그대로 하우징만 바꿈질 하는게 아닐까 생각이 드네요.

07:41
19.07.23.
profile image 2등

흠...  
 그래도~ 
 듀많~콘댐인 것이고, 듀적~콘안댐.. 입니다. 넹... ㅋㅋㅋ

07:15
19.07.23.
profile image
터럭
솔직히 zs10pro 은빤짝이 백플레이트가 마음에 안들었는데, 만약 zs10pro가 명백히 좋으면 백플레이트 옮겨 다는 시도도 해볼겸 ZSN 자체가 가격 부담 없어서 구매해서 청음 비교 해보려고 합니다.
07:18
19.07.23.
profile image
터럭
근데, zs10pro 제품 뒷면이 투명해서 안을 들여다 보면서 언뜻 생각해 본게 있는데, BA 몇개가 소리가 흘러나오기 힘든 구석에 가서 처박혀 있더라구요... 그래서 혹시 이거 BA 몇개가 페이크 유닛이 아닐까 생각이 들었는데, 이런 자료를 발견해 버리네요.
07:19
19.07.23.
3등

kz쪽 멀티ba 제품들이 네트웍회로 없는걸로 알아요. 그냥... 모든 소리를 다 넣어주고 ba한테 맡기는...;;; 알아서 소리 내면 얼추 맞겠지. 랄까 ㅎㅎㅎㅎ;;;; 
  
 뭐 소니 저스트이어도 네트웍회로 없다고는 하지만 거긴 1ba + 1dd 라 상황이 조금 다르긴하지만요.

07:25
19.07.23.
profile image
kalstein
그렇다는 소리는 페이크 유닛보다는 그냥 동일한 대역폭에 동일한 BA 유닛이 여럿 할당되어 있다는 설이 유력하겠네요. 솔직히 저는 듀만을 안믿는 터라 오히려 기계적인 오류가 날 확률이 적은 1dd+1ba 제품을 사고싶었는데요 ㅠ
07:30
19.07.23.
profile image
저는 드라이버 배치 보고 이게 뭔 ㅂㅅ짓인가 했는데.. 사실상 페이크라고 보는게 맞겠네요(출력이 있더라도 소리에 영향을 거의 못줌)
혹시 저렇게 이상한 각도로 배치해서 살짝 바뀌는 소리 변화를 의도한거면 KZ는 최정상급 회사~

ZSN Pro가 가성비가 좋아보이니 하나 구매?할까요..
07:45
19.07.23.
profile image
Klarhet
드라이브 배치에 어색함을 느낀게 저 혼자만이 아니었군요 ㅋㅋㅋㅋ
07:48
19.07.23.
profile image
오버이어마니아
영디비 리뷰 댓글에도 남겼지만 듀서별로 측정해보고 싶어요.ㅎㅎ 과연 듀서별로 대역이 주장하는 것 처럼 나누어져 있는지..
07:49
19.07.23.
profile image
Klarhet
추가 조사로 발견한건데, zs10 pro에는 KZ가 자체 제작한 30095 고역대 BA와 50060이라는 중역대 BA 유닛이 각각 2개씩 들어가고, zsn pro에는 30095가 하나만 들어가는데, FR이 거의 똑같이 나온다는 점을 고려하면 50060 BA 유닛이 거의 소리를 못내는 곳에 파뭍혀 있거나, 유의미한 출력이 나오지 않는다는 결론이 되네요.
08:59
19.07.23.
profile image
마사크레

근데 한편으론 그렇게 막 생각없이 비싼 제품에서 나오는 이슈가 아니라 그 가격대에서 일어날법한 이슈라 화난다기 보다는 그냥 재밌습니다. ㅎㅎ 제가 한번 zsn pro 구매해서 리뷰요청 해보거나, 안되면 청음이라도 해서 비교해볼테니 만약 둘이 같다 싶으면 2만원 좀 안되는 zsn pro 쪽으로 구매하시면 되겠네요.

08:14
19.07.23.

KZ zs10pro 구매전에도 보았던 사이트인데... FR이 거의 비슷하더군요.  
제품 설명상은 DD나 BA가 다른것 처럼 보이기는 하던데... 
그렇다고 FAKE라고 까지... ^^; 
KZ zsn pro 구매하셔서 플레이트도 분해하신다고 하니 검증하시는것 기다려 보겠습니다.  
이왕이면 FAKE BA에서 소리가 과연 나기는 하는건지 확인까지 해주시면 더더욱 좋을듯 하네요. 
화이팅 해드리겠습니다. 추천 빵~

08:18
19.07.23.
profile image
슈뢰딩거의고양이
아, 플레이트 분해는 내부까지 다뜯겠다는게 아니라, 하우징이 너무 빤짝거려서 마음에 안들어서 ZSN에 달려나오는 백플레이트를 옮겨달까 하는 생각으로 말씀드린 겁니다 ㅋㅋㅋ. 저는 거기까지 실력은 안됩니다.
08:20
19.07.23.
오버이어마니아

https://youtu.be/acHLePZL1gk
이전 KZ ZS10 분해 영상 입니다. 아무리 짝퉁 만들던 중국 회사지만 이제는 드라이버 까지 FAKE를 만들정도의 회사는 아닐듯 싶습니다. 백 플레이트는 아마도 본드질 되어 있을테니 뜯다가 실패하시면 위의 동영상 처럼 제대로 테스트 해주시기 바랍니다.
응원하겠습니다. 화이팅.... 
 
 ps. KZ AS10 분해영상도 있습니다. 
https://youtu.be/awf0RpgOY3s 
 

08:28
19.07.23.
profile image
슈뢰딩거의고양이
모든 BA에서 소리가 나온다 하는 것과, KZ는 크로스오버 네트워크가 없다는 얘기를 합치면 그냥 동일한 대역폭을 재생하는 BA를 여러개 달아놓았을 뿐이라는 거네요. 어떻게 보면 듀만콘댐에 가장 흡사한 형태로 만들어놓은 다중듀서 이어폰인거 같습니다. ㅋㅋㅋㅋㅋ
08:43
19.07.23.
profile image
에이.. 요즘 소비자들이 바보도 아니고, 페이크 드라이버 쓴거같진 않습니다 만, 같은 대역 두개씩 붙여놨다면 딱히 틀린게 아닌게 제품판매 페이지에도 동일드라이버 *2 이런식으로 붙어있는걸로 봐선 ㅎㅎ
09:12
19.07.23.
profile image
Elen

지금 다른 제품 뜯어보는 영상들 봐서는 정말 소리가 아예 안나오게 페이크로 만든건 아닌데, 동일 드라이버 두개를 중복되는 대역을 재생하게 만들거나, 별개의 소리를 내더라도 톤밸런스에 영향을 줄만큼의 음압을 내지 못하는 사실상 페이크 드라이버에 가까운 형태로 설계가 된게 아닐까 의심하고 있습니다.

카탈로그상 제품 설명을 보면 zs10 pro의 유닛 하나에는 KZ 30095 BA듀서 두개랑 KZ 50060 BA듀서가 두개씩 들어가는데, zsn pro의 경우 30095가 하나만 들어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두 제품에서 동일한 형태의 FR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30095 유닛은 그냥 같은 대역폭을 중복으로 재생하게 만들어 놓았고, 50060 듀서는 청감상 유의미한 음압을 만들지 못하는거 같습니다.

09:17
19.07.23.
profile image
오버이어마니아
고음역대 담당이라고 해서 청감상 전혀 차이를 못만든다면 그건 문제가 될수도 있겠군요. 어떻게될지 지켜봐야겠습니다, 일단은요. 흠..
10:11
19.07.23.
profile image
Elen

30095가 고음역대고, 50060이 중음역대인데, zs10pro에는 50060이 있고, zsn pro에는 없습니다. 그런데 차이가 없는거로 봐선 중음역 담당 BA가 톤밸런스적인 측면에서는 의미가 없다는 생각이 드네요.

10:53
19.07.23.
profile image
오버이어마니아
본지 오래되서 잘못알고 있었군요, 이런 ㅠ_ㅠ 무튼 그렇게 말씀하시니 정말 의문이 드는군요. 대역확보를 위해서인것도 아닌데 흠.. 저도 서치를 통해 좀 알아봐야겠습니다.
10:57
19.07.23.
이미 불신의 골이 너무 깊어서 저가형 듀만 콘뎀은 쓰시면 않되겠네요. 저는 KZ ZS10 pro 로 주력을 바꿀까 하는 중이라...
분해해서 하나하나 음압 측정하신 결과를 기다리겠습니다.
추천을 한번 밖에 못드려 아쉽네요. 화이팅 드립니다.
09:47
19.07.23.
profile image
슈뢰딩거의고양이
분해해서 측정하라고 말씀하시는건... 중간에 뜯다가 폭발시키라는 의미신가요 ㅋㅋㅋㅋㅋㅋ
10:54
19.07.23.
profile image

페이크건 아니건간에 저도 물건 받아본 다음에 살펴보자마자 든 생각이 BA를 왜 여기다 박아놨지? 였습니다 
zs5때도 그랬는데 의미불명한 위치에 BA넣어서 듀서갯수만 불리기라는 인상을 받았지요  
as10때는 그래도 도관을 3d프린터로 뽑아서 넣는 발전을 보였는데 이렇게 후속작들에서 다시 후퇴를 했으니.. 
뭐 저가형 중국산이니까요

10:36
19.07.23.
profile image
JBLCAT

솔직히 AS10도 자유로울 수가 없는게 저기 위에 AS10 분해 영상 유튜브 올라온게 있거든요. 그런데 웃긴게 제품 설명에는 중고음 담당 31005 BA가 두개 들어있고, 고음 담당 30095 BA가 한개 들어있다고 써있고, 내부 설계 이미지 까지 있거든요? 그런데 분해해봤더니 30095가 두개 들어있고, 31005가 하나 들어있는 황당한 일이 벌어졌더라구요.

페이크 BA가 있는건 아니지만 이건 뭐 기업으로서 너무나 초보적인 실수인지라 좀 많이 깨더라구요.

11:01
19.07.23.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부운영자 모집 공고! 28 영디비 24.06.04.15:37 3312 +16
6월 활동 이벤트 공지 및 상품 안내! 54 영디비 24.06.03.15:27 3241 +15
5월 이벤트 당첨자 안내! 30 영디비 24.06.03.12:52 2819 +13
음향
image
짜짜로니 19.11.10.22:58 12만 +3
음향
normal
SunRise 21.02.11.23:04 8.2만 +25
음향
image
Stellist 20.08.07.14:11 7.2만 +4
음향
image
hankey 21.04.21.15:37 6.2만 +4
음향
image
로드러너 23.05.21.16:02 5.9만 +6
음향
normal
Heskeybi 20.08.29.13:25 5.5만 +16
음향
image
청염 19.11.01.11:44 4.3만 +7
음향
image
완전무선매니아 20.03.08.22:18 4만 0
음향
image
완전무선매니아 20.05.28.14:06 3.5만 0
음향
image
컬리그 20.03.06.11:32 3.5만 +2
음향
normal
SunRise 22.03.24.01:15 3.4만 0
음향
image
OrangeFloyd 19.11.13.15:23 3.3만 +1
음향
image
Egdms 19.11.30.14:36 3.3만 +2
음향
image
Luminα 22.05.14.22:05 3.2만 +2
음향
image
Luminα 22.03.24.02:15 3.1만 +5
음향
image
Stellist 19.11.09.14:36 3만 +2
음향
normal
유시 22.03.24.12:00 2.9만 0
음향
image
SunRise 22.03.20.17:12 2.8만 0
음향
image
무선수집가푸우 22.05.29.17:40 2.7만 0
음향
image
문아리 23.09.02.13:06 2.6만 +7
음향
image
노란벽돌 19.07.17.07:24 2.6만 +8
음향
image
Stellist 20.07.18.11:21 2.6만 +3
음향
image
은우아빠 20.06.23.14:55 2.5만 +5
음향
image
SunRise 22.03.10.14:11 2.5만 +1
음향
image
Imfinzi 22.06.11.09:56 2.5만 +2
음향
image
익명 22.07.08.03:12 2.5만 +1
음향
image
페퍼소스 20.08.06.17:20 2.4만 +4
음향
image
SunRise 22.04.11.13:28 2.4만 +6
음향
image
Grape_Kun 19.08.30.11:30 2.4만 +3
음향
normal
마사크레 20.01.18.09:54 2.4만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