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잡담

갑자기 코드리스에 대해 드는 생각

알린 알린
3185 0 36

 아직은 ba가 들어간 코드리스가 많이 안나오는 걸 보니 시장이 아직은 그정도는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네여. 누구나 할 수 있는 생각이죠. ㅋㅋ아직은 ba가 dd보다는 원가가 아무래도 차이가 있나보다 하는 생각도 들고요. 음질이 좋다고 마케팅하는 물건인데 소니 말고는 샨링 밖에 ba 넣은걸 못봤네요.  

그리고 저는 다중 ba가 설계를 잘한다는 경우가 아니면 ba혹은 다중ba가 음질적으로 우위에 있다는 입장은 반대인데요. 코드리스도 언젠가는 다중 ba가 좋다고 마케팅을 하는날이 오겠죠? 그땐 진짜 프랑켄되는게 아닌가.. 생각해보니 커스텀 코드리스도 언젠가는 나오겠네요. 얼굴 구조에 따라 통품을 최대화할지도... 별 생각이 다드네요.  

신고공유스크랩

댓글 36

댓글 쓰기
profile image 1등
안그래도 알리엔 KZ e10이라고 4BA 1DD 코드리스를 팔더라구요 ㄷㄷ
12:50
19.10.16.
profile image
알린 작성자
회원
앗 세상 참 빠르네요.. 이미 있었군요..
대단하네요
21:02
19.10.16.
profile image 2등

다중ba는 벌써 kz e10 (4ba+1dd) 출시하기도 했지요. 구글 에코버즈도 2ba, aviot te-bd21f(2ba+1dd) 등 이미 나오거나 출시예정이기도 하죠. 내년이나 내후년부터 ba숫자로 마케팅하는게 많아질거라고 봐요. 거기다가 노블이 tws이어폰에 들어온 이상 커스텀인이어 tws도 생각해두고 있다고 봐요. 사실 커스텀서비스는 브라기가 1ba집어넣어서 커스텀 서비스 해주기도 했었지만(미국),,, 지금은 브라기가 사업을 접어버렸죠.  
개인적으로 보청기 노하우 있는 디션에서 한번 tws진입해줬으면 하는데 말이죠 ㅎ

12:53
19.10.16.
profile image
알린 작성자
완전무선매니아
이미 커스텀 서비스가 있긴 있었군요. 다 때가 있나보네요. 커스텀이 감당되는 시장이 형성될쯤엔 tws 고르는 맛이 있을거 같네요 ㅎㅎ
21:04
19.10.16.
profile image 3등
이번에 보스 노캔달고 나온 아마존 애코버드는 놀즈2ba라고 하더군요
13:23
19.10.16.
profile image
알린 작성자
두부집효녀
그런식으로도 제품이 출시되기도 하는군요... 보스 + 아마존 + 놀즈네요. 타기업 기술 쓰는거 많이 못봤는데, 아마존 마소 구글 같은 애들 들어오면서 그런 경우가 많이 늘어나겠네요.
21:05
19.10.16.

ba가 dd보다 우위를 보이는 음역대가 1khz~8khz 사이의 영역대라고 생각합니다. 밀폐환경에서 발생하는 진동판의 강성문제 때문에 이 영역대에서는 ba의 선형성을 dd가 흉내내기 매우 어렵습니다. 다만, ba는 태생적으로 저음역대를 내기 어려운 구조라서 단일ba로는 에티모틱사 제품들처럼 깊이 찔러넣는 형태가 아니면 풀레인지로 사용하기 어려운 특성이 있습니다. 그런데 tws제품들은 크기의 제약때문에 가능한 단일유닛을 써야해서 싱글ba제품으로는 설계가 상당히 어렵습니다. 다중유닛 사용하면서 엄지손가락 한마디 사이즈로 배터리까지 내장하는건 사실 eq없이는 힘들고, eq를 쓰다보면 음질이 더 떨어지고, 뭐 그렇습니다. 충전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게 판매하지 않는이상 tws제품은 배터리 수명때문에 1년짜리 시한부인생이라, 굳이 고가형 제품을 내지 않으려는것도 있는것 같고요. 비싸게 팔면 음질이 좋아야하는데, 태생적 한계(무선기술+작은크기의 제약)때문에 유선이어폰 수준의 고음질 제품은 아직까지는 전무하다고 봅니다.
tws제품 중에서는 디렘이 음질면에서 그나마 나은데, 디렘의 경우도 출력때문인지 무선전송의 문제인지는 몰라도 저음역 해상도가 상당히 낮은 음질적 문제가 있습니다. 저음만 보면 디렘보다 디락+mk2가 훨씬 낫거든요. 아직은 고음질 tws제품은 시기상조인것 같아요. 

13:46
19.10.16.
profile image
nalsse
완전무선에서의 ba드라이버라는 토픽에서는 어긋나는 얘기긴 한데 저는 ba드라이버가 저음역 재생이 취약하다는 주장이 마치 합의된 사실처럼 논의되는 상황이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몇일전에 5005 청음하러 갔을 때에도 마침 응대해주신 분이 개인적으로도 인이어 많이 들어보고 관심이 많으셨는지 얘기를 좀 많이 나눴는데 그 분도 베이스는 dd로 해놓은게 좋다고 아주 확신에 차서 말씀해주시더라구요
취향의 문제인가 싶기는 한데 저는 ba드라이버라 하더라도 저음역의 꿀물같은 부드러움과 지진같은 럼블을 양립하는게 아무 어려움이 없고 매우 훌륭하다고 생각하거든요
단적으로 846, 안드로메다, 웨스톤 신형 w468 등등을 저음역의 양도 뿔려놨지만 품질이 정말 기가 막힌 예로 꼽을 수 있습니다
er4도 지나치게 금욕적인 톤밸런스지만 이퀄라이저로 100Hz 이하를 왕창 올려서 들어보면 그렇게 호락호락하지 않구요
그런데 ba로 우퍼를 시키고 dd가 높은 음역을 내도록 하는 구성의 제품이 출시된걸 본 적이 없으니 예의 그 공감대가 합리적이긴 한가봅니다 ㄷㄷㄷㄷ
14:45
19.10.16.
profile image
정우철

정우철님께서 말씀하신 구성과 비슷한 이어폰이 vision ears의 엘리시움 같습니다 . ba-저음, dd-중음, est-고음 이렇게 설계된 이어폰입니다. 비전이어스 ceo 아민이 인터뷰하면서 ba와 dd의 저음에 대한 생각을 답변한 것이 있는데 정우철님과 비슷한 내용인것 같습니다. 아래 링크달게요. 
 

 

15:25
19.10.16.
profile image
완전무선매니아
완무매님 사랑합니다!!!!!
17:06
19.10.16.
정우철
아, 제가 말씀드린 ba를 우퍼로 쓰는게 dd보다 불리하다는 것은 어디까지나 공간의 문제와 태생적인 한계때문에 발생하는 높은 비용, 싱글유닛의 한계때문입니다. 위 본문은 tws에 관한 글이어서요. dd보다 조금 비싼 수준으로 가격을 제한시켜버리면 ba의 경우는 동일음압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유닛을 2배정도 써야하니까 tws환경에서는 초소형이라는 제약에 더해서 비용이라는 문제도 치명적으로 다가오니까요. 저도 저음역의 해상도 자체는 고가 ba가 고가 dd보다 좋다고 생각합니다. 진동판 특성상 그럴 수밖에 없다고 보고요. 다만, 그정도 품질의 ba는 꽤 비쌀 수밖에없고 싱글ba로 저음을 무리하게 내려다보면 er4xr제품들의 진행성 불량문제같은게 발생하게되는게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우퍼에 ba여러개 때려박아서 음압을 채우는 경우에는 우철님의 견해처럼 dd 1개 사용하는 것보다 ba쪽이 품질이 훨씬 좋을 수 있다고 봐요. 특히 해상력은 더 그렇습니다. 이어폰 구조상 어지간한 위상문제는 가청하기 어려워서 더 그렇기도 하고요. 낮은음압으로 작동하는 ba를 여러개 묶어버리는 경우 ba의 thd문제도 크게 발생하지 않으니.. 그런데 이렇게 만드려면 일단 기술력+단가문제가 크게 발생해서 대중적인 제품으로는 나오기 어려운것 같습니다.
15:43
19.10.16.
profile image
nalsse
그거 한번 확인해보려고 조만간 64 18t랑 포르테 비교청음 가볼 생각입니다 헤헷
17:11
19.10.16.
정우철
후기 기대합니다. 아참, 접때 그 괴수 헤드폰은 어케되었나요? 만족스러운 구매셨는지 궁금합니다ㅎㅎ
17:57
19.10.16.
profile image
nalsse
웨이버사에서 내년 여름이 오기 전에 500와트 스테레오 D앰프 신제품을 내놓을 예정이라서 5521은 그거 나올 때 까지만 쓰려고 합니다
좋다고 바쿤을 사기는 샀는데 출력이 모자라더라구요
dac출력 한 80%에 파워앰프는 최대게인으로 놔야 음량이 들을 수 있을만큼 올라와요
정보가 상하는 문제가 없다 해도 만땅세팅으로 쓰는건 제가 용납할 수 없는 조건이라서 아쉬움이 좀 있네요
단순히 말 안 듣는 북쉘프다 그 뿐이라면 애로사항이 없었겠지만 sr1a는 보통 이상의 구동력은 의미가 별로 없고 매우 넉넉한 와티지만을 필요로 할 뿐이었나봐요
09:37
19.10.17.
정우철
어우야 진짜 괴수 맞네요. 바쿤세팅이 출력이 모자랄줄이야..
10:20
19.10.17.
profile image
nalsse
멋모르고 사서 아직도 잘 모르는 채 사용해보는 제 시각으로는, 기대감을 북돋우게 한다는 긍정적인 맥락을 담아 괴수로 부를만한 그런 건 아니라고 봐요
그냥 바쿤종특 낮은 와티지가 문제일 뿐입니다
파워앰프를 신품으로 아무렇게나 샀어도 400~500만원이면 200와트정도 가지 않았겠어요
그랬으면 터져나오는 음량에 정신이 빠져서 다른 잡생각을 할 수 없었을지도 모르죠
그리고 개방형 헤드폰이더라도 귀를 둘러싸는 패드는 있으므로 다이어프램과 고막간의 커플링 비슷한 환경이 최소한으로는 조성이 되는데 그게 전혀 아니라는 문제가 또한 큰 것 같네요
기분이 아주 막연합니다
듣는 동안 이거 되는건가? 이게 맞는건가? 계속 그런 생각을 하게 돼요
기존의 헤드폰 환경에 비해 앞뒤 연결단계가 더 복잡한, 머리에 뭘 쓰고는 있지만 실질적으로 스피커시스템의 구성이 되었기 때문에 제가 낮설어서 긴가민가 불안스러운 기분을 떨치지 못 하는 것이기도 하구요
11:24
19.10.17.
정우철
뭔가 애매한가보군요. 입력이 부족해서 제성능이 안나오는 상황일수도 있을것 같습니다.파워 교체 후 극적인 변화가 오길!!!
12:23
19.10.17.
profile image
nalsse
음... 근데, 일반적인 DD보다, BA가 사이즈는 작아서 개인적으로 왠만하면 BA는 듀얼을 박아도 DD보다 공간을 더 많이 차지한다는 느낌이 없지 않을까요?

물론 크로스오버를 가내 수공업같은 느낌으로 하면 그 부피도 상당하지만 TWS만드는 경우는 그렇게는 안하니까요.

비교 대상이 다이나믹 드라이버 잔뜩 소형화시킨 디렘같은것을 들이밀고 가격도 그만큼으로 제약하면 BA가 불리하긴 한데... 개인적으로 가격이 오른다는 전제라면 충분히 가능하다고 봅니다.
10:21
19.10.17.
profile image
알린 작성자
정우철
근데 5005가 극저음은 ba가 담당하는걸로 알고 있어요. 제일 저주파수가 ba 바로 그위가 dd인걸로.. 그리고 5005가 저음이 평이 좋은걸로 봐서는 ba라고 나쁠건 전혀 없고 dd나 ba나 설계의 문제이지 동일선상에 놓고봐도 무방하지 않나 생각이드네요.
21:13
19.10.16.
profile image
알린
읭? 그건 또 처음 알았네욧!
21:27
19.10.16.
profile image
알린 작성자
정우철
Akg n5005 온라인에서 제품 상세정보에 ba 하나가 woofer라고 되어있습니다. 아무래도 이 woofer라는 것이 제일 극저음을 의미하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이전에 다른 글에서 해당정보를 알게 되긴 했는데 그 글을 못찾아서.. ㅎㅎ 하만카돈 쇼핑몰 링크 첨부합니당



https://m.shopping.naver.com/play/play/stores/100094771/products/4130003358?NaPm=ct%3Dk1t9e6vk%7Cci%3D80e2aa723813db9e5350b4b1d2f2d646ad254c54%7Ctr%3Dslsc%7Csn%3D568042%7Chk%3D0fcc7f5a138ba451731be40b43e03854a69e4143
21:39
19.10.16.
알린
헐 완전 몰랐던 사실이네요.
사실 광고를 자세히 안봤었는데 진짜 그러네요...
02:04
19.10.17.
profile image
알린
저한테는 약간 이상하게 보이네요
미드레인지와 우퍼가 같이 씌여있다는건 dd보다 위로도 아래로도 넓은 대역을 내게 되어있다는 의미가 됩니다
그래픽으로는 단일드라이버 같은데 만약 속에 알맹이가 듀얼이라면 하나는 미드레인지 다른 하나는 우퍼일까요
그렇게 만들어서 더 좋을 수가 없을 것 같은데?
09:42
19.10.17.
정우철
제 눈에도 조금 이상하게보입니다.
보통 ba에서 mid/woofer라고 표기하면 중고역부터 20hz까지 ba가 담당한다는 소리인데, 2개 묶어 세트로 판매되는 ba중에 중간대역이 뚝 끊긴 제품이 있을까 싶습니다.
dd유닛의 low range라고 표기된 부분이 200hz이하의 저음음압을 올리기 위해서 200hz이하에는 dd가 담당하게 설계했을것 같은데 말입니다.
10:27
19.10.17.
profile image
nalsse
하이브리드 멀티웨이인데 ba가 맨 아래 음역을 담당했다거나 dd가 가운데 음역으로 들어가는 구조는 굉장히 이례적인 케이스인데, 만약 그게 맞다면 출시할 때 굉장히 열정적으로 약을 팔았어야 말이 됩니다
저는 그래픽 디자이너가 기술적인건 몰라서 일을 엄벙하게 했고 연구/디자인쪽 너드들은 그딴거 어찌되든 관심이 없거나 설명을 잘 못 해서 대충 컨펌이 된 경우일지도 모르겠네요
11:13
19.10.17.
profile image
알린 작성자
nalsse
첫줄에서 말씀하신 사실을 처음알았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리고 이상하게 왠지 모르게 g7+ 에 디렘으로 들을때 edm종류는 처지는 느낌이 들더라고요. 음악듣는 맛이 팍 죽는 느낌. 그런게 출력이랑 상관이 있을까요? 아이폰에서는 안그러는데, g7+에서는 아이폰 출력 반만큼 겨우나오더라고요.
21:09
19.10.16.
알린
안드로이드와 아이폰의 경우 aac코덱 사용시 품질차이가 꽤 나오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두 기기간 차이는 aac코덱 처리방식의 차이일 듯 합니다. aac코덱의 경우 스마트폰쪽에서 인코딩하는 방식이 중구난방이라고 하더라고요. aac는 애플 기기의 인코딩방식이 가장 품질이좋다고 알고있습니다.
제 경우에는 디렘의 경우 200hz이하 저음역대의 해상도가 낮게 나오는게 가장 큰 불만이었습니다. 유닛이 100프로 완전하게 구동되지 않고 있거나, 무선전송시의 발생한 노이즈 처리가 잘 되고있지 않아서 청감상 이런방식으로 나타나는게 아닌가 의심하고있습니다.
21:22
19.10.16.
profile image
알린 작성자
nalsse
아하.. 그러면 안드로이드에 연결할때는 sbc로 연결을 해봐야겠군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코덱문제는 언제쯤 정리될까 궁금하네요. 뭔가 이코덱 저코덱 통합이 안된 느낌이라. 코덱은 하나로 통합되긴 할려나하는 생각이 들기도하네요.
21:31
19.10.16.
알린
pc의 블루투스와 aac 연결하셔서 음질테스트를 해보시는것도 도움되실겁니다.
21:48
19.10.16.
profile image
알린 작성자
nalsse
앗 감사합니다~~
21:49
19.10.16.
profile image

다중BA의 크로스오버를 아날로그 회로가 아니라 DSP로 구현하면 유선 다중BA에 비해서 오히려 무선 쪽이 획기적으로 향상될지도 모르겠네요. 그런데 이런 기능을 구현하려면 군소 제작업체 자본력으로는 안 될거예요. 

20:47
19.10.16.
profile image
알린 작성자
idletalk
하긴 대기업 정도는 돼야 규모의 경제라도 실현할텐데요. 앞으로 시장이 어떻게 가느냐에 따라 그시기가 달라지겠네요
21:18
19.10.16.
profile image
알린 작성자
벤치프레스좋아함
오잉. 측정치도 준수해보이네요. 유저리뷰 함 찾아봐야겠어요. 근데 저 디자인이 좀 아쉽네요. 멀리서보면 로딩중인 듯한 저로고가...
23:24
19.10.16.
profile image
알린
화노만 빼면 참 좋습니다. 누님이 가로채가셨죠 ㅠ..
12:54
19.10.18.
profile image
알린 작성자
니귀에BA
아아...
13:00
19.10.18.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부운영자 모집 공고! 28 영디비 24.06.04.15:37 3284 +16
6월 활동 이벤트 공지 및 상품 안내! 54 영디비 24.06.03.15:27 3214 +15
5월 이벤트 당첨자 안내! 30 영디비 24.06.03.12:52 2806 +13
normal
카로안 16.09.09.21:05 4281 0
image
영디비 16.09.18.18:12 4579 0
인사
normal
변kj 16.09.21.16:56 708 0
인사
normal
효과 16.09.21.18:32 670 0
인사
normal
띵글 16.09.21.18:41 618 0
normal
영디비 16.09.23.17:24 3723 0
normal
팅탱 16.09.28.11:17 4390 0
인사
normal
리카르도 16.10.08.21:08 545 0
인사
normal
NOX 16.10.10.22:35 605 0
인사
normal
모략의샘 16.10.10.23:44 530 0
인사
normal
김유석 16.10.11.00:12 476 0
인사
normal
레환사 16.10.11.08:36 342 0
normal
모략의샘 16.10.11.09:33 3908 0
인사
normal
INSsoulJK 16.10.11.15:39 466 0
normal
INSsoulJK 16.10.11.15:40 4585 0
인사
normal
Subliminal 16.10.17.16:58 627 0
인사
normal
omoplataa 16.10.18.13:59 470 0
normal
눈팅유저 16.10.18.16:00 3918 0
normal
여정 16.10.18.18:58 4155 0
normal
고구마 16.10.19.18:51 4061 0
image
영디비 16.10.19.21:27 4278 0
인사
normal
클래시카 16.10.20.12:28 506 0
image
Sirius 16.10.20.15:40 3966 0
인사
normal
(주)대한민국대통령 16.10.20.15:49 817 0
인사
normal
KIMBBAM 16.10.21.16:36 610 0
image
영디비 16.10.21.16:44 4267 0
image
영디비 16.10.24.15:34 3666 0
인사
normal
발짐 16.10.24.18:10 783 0
normal
thinBlue 16.10.24.22:56 3934 0
인사
normal
안주 16.10.26.16:54 77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