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갤럭시 S6엣지 APT-X 코덱 지원하나요?

하얀고구마 하얀고구마
7765 1 5

 누가로 업데이트된 상태인데요 지원되는 블루투스 코덱이 뭔지 궁금합니다. 한국향 갤럭시는 엑시노스라서 퀼컴 라이센스 제한 있다고 들었습니다.

신고공유스크랩
터럭 터럭님 포함 1명이 추천

댓글 5

댓글 쓰기
profile image
터럭
근데 또 궁금한게 있는데요. APT-X HD랑 LDAC 이랑 음질 차이가 많이 날까요?소니 헤드폰 리뷰를 보면서 느낀건데 CH700N이랑 H800이랑 가격이 거의 같은데 노캔이냐 LDAC이냐 차이가 있어서 산다고 하면 고민될 거 같습니다. LDAC도 되면 좋고 노캔도 되는 H900N이나 1000X면 해결되겠지만 가격이 후덜덜 해서요. 근데 헤드폰들 가격 20만원 이상인거 사용하면 만족감이 높나요? 헤드폰 사용 안해봤는데 요즘 자꾸 눈이 가네요^^
09:50
18.06.10.
profile image
하얀고구마
Aptx hd하고 ldac은 차이를 구분하기 힘들어요.
10:52
18.06.10.
profile image
하얀고구마

스펙 상 차이는 분명 있지만, (각자의 청감 능력에 따라, 실제적으로는 거의 대부분?) 더 고음질 음원과 차이를 느끼기 힘들 수 있습니다.   
  
코덱에 의한 음질 차이와는 다르게, 각 제품에 들어간 회로나 기술력에 따른 차이가, 음질과 노이즈를 느끼는 부분에  훨씬 더 큰 영향을 주겠다 싶습니다. APTX HD코덱을 채택했다는 제품 중에서도 화노를 느끼게 되는 제품이 몇몇 있다고 하니까요.
 
 귀에 (1초당) 얼마나 많은 소리를 들려주는지 나타낸 항목이 Bitrate인데, CD의 경우 (16 bit * 44.1 kHz * 2채널 = 1,411 kbps)죠. 사람의 청감 능력상 어느 한 대역의 소리가 +5~+6 dB이상이면, 주변 대역의 소리가 있어도 이를 잘 느끼지 못하는 마스킹 현상을 겪는다고 합니다.   
 
 음원을 분석해서, 이렇게 가려져 어차피 듣지 못하게 될 부분을 생략하고 압축한 포맷 중 대표적인 게 mp3이고, 압축률은 4배가 조금 넘는다고 합니다. (mp3 CBR 320 kbps정도면 원본과 음질 차이를 느끼지 못한다는 평이 많음. 손실 압축 코덱 중, 나중에 제안/유통되는 AAC가 mp3보다 효율이나 음질이 낫다는 평)  
 
 이와 같은 개념으로 음원을 압축하되, 스트리밍 품질에 중점을 두어서 손실 압축 후 전송하는 게 APTX (Bitrate 354 kbps), APTX HD는 (24bit, 48kHz)를 지원해서 (Bitrate 576kbps)라서 그보다 더 고음질인 LDAC 3단계 (Bitrate 990kbps, 24bit, 96 kHz)와 구별할 수 있을런지? 
  
 
  
아래는 좀 더 자세한 내용을 복붙한 거니까 살펴 보세요.  
 (각 사 자료는 다분히 광고성 멘트가 포함된 점을 유의하세요.)
--------------------------------------   
(※ 음질 관련 1 - 일반 유선 연결과 블루투스의 차이) 
 유선이 대부분의 경우 무선보다 음질이 좋은 건 맞는데, 사람 귀가 모든 해상도의 음질을 다 구분하는 건 아니라고 합니다. 
 mp3의 음질을 예로 들면, 초당 정보량인 Bitrate가 192kbps이상으로 갈수록 보다 고음질의 음원과 구분이 힘들어 지는데, 최고 음질인 320 kbps와 그 이상은 구분하시는 분이 거의 없다고 하더군요.  
 (확실히 자신의 청력 (다이나믹레인지)이 어느 정도인지 알고 싶으면, 여러 등급의 음질로 음원 코딩한 후, 더블 블라인드 방식의 ABX테스트를 실시해 보는 것도 좋겠죠. ^^)
  
 블루투스의 전송은 어쨌든 mp3와 같이, (음향 심리학에 기초해서, 어차피 다른 소리에 마스킹되어 들리지 않을 부분을 과감히 빼고) 원음을 손실 압축한 후,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기 때문에 CD급이나 그 이상 고음질 음원을 유선으로 직결한 것보다는 음질이 떨어지는 건 맞음. mp3가 보존에 더 중점을 두어 손실 압축하는 거라면, 스트리밍 품질에 더 중점을 두어 인코딩/디코딩되도록 설계한 게 APTX라서 실제 음질은 더 우수한 걸로 추정.. - 음질 차이를 구분할 수 있는지는 각자 다를 테고, 제작사의 기술력에 따라 화이트 노이즈 등이 생기는 제품이 있음. 
 
 CD (flac, alac등)의 스펙은 16bit, 44.1 kHz => 초당 정보량인 Bitrate 1,411 kbps 
 mp3 최고음질은 CBR 320 kbps => Bitrate 320 kbps (16bit, 44.1kHz) 
  
 일반 통신용으로 사용하는 기본 코덱인 SBC코덱의 경우 345 kbps (16bit?, 48 kHz) 
 고음질 전송용으로 흔히 쓰이는 APT-X 블루투스 코덱의 경우 Bitrate 352 kbps (16bit, 44.1 kHz) 
 APT-X HDBitrate 576 kbps (24bit, 48 kHz) 
 Sony의 LDAC코덱Bitrate 990 kbps (24bit, 96kHz) : 3 단계 전송품질 중 최고일 경우.
 
 https://www.qualcomm.com/solutions/voice-and-music/features/aptx 
 https://en.wikipedia.org/wiki/SBC_(codec) 
 https://en.wikipedia.org/wiki/Sampling_(signal_processing) 
 https://www.sony.net/Products/LDAC/

즉 flac나 alac와 같은 무손실 음원을 APT-X HD 형식으로 전송하면, mp3 파일보다는 고음질의 음원임. mp3 파일이 전송되는 경우 - 전송하는 원본이 손실 압축 파일인데 이걸 다시 손실압축하여 전송할테니, 이런 경우 고음질 음원과 아주 예민한 분은 차이를 느낄 수도 있겠다 싶으나.. (저는 아닐 듯..) 

---------------------------------------------------------------    
(※ 음질 관련 2 - mp3 음질과 고해상도 음원의 음질 차이) - 논쟁 중!? 

통설과 참고 이론적인 자료를 보면,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에 해당할 텐데) 잘 코딩된 mp3 CBR 320kbps와 그 이상의 음질을 구분하기는 어렵다고 합니다. 아주 예민한 경우의 분들은 가능하다고도 하지만.. 본인은 어떤 경우인지 ABX 테스트를 해 보시고 (돌고래 귀 혹은 황금 귀)일 경우에는 보다 고음질 음원 획득에 고민하시고, 아니라면 속 편하게 mp3파일로 즐기세요. (또 mp3로 인코딩할때 옵션이 많기에, 같은 bitrate라도 음질 차이가 클 수 있는 것도 유의.)

- 전 192kbps이상에서는 거의 차이를 느끼지 못하겠더군요. 특히 피아노 등 건반 (타)악기가 그렇습니다. 음이 상대적으로 길게 끌리는 현악기는 구별이 조금은 더 되는 편..  제가 유달리 심한 막귀여서 일까요?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0842&cid=58885&categoryId=58885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39698&cid=58128&categoryId=58128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9659&cid=59088&categoryId=59096
https://en.wikipedia.org/wiki/Direct_Stream_Digital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86186&cid=40942&categoryId=32382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7595&cid=59088&categoryId=59096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432445&cid=58457&categoryId=58457

--------------------------------------   
 

10:54
18.06.10.
profile image
하얀고구마

apt-x hd와 ldac의 경우는 분간이 힘든 것 이전에 ldac이 끊김이 많다고 하네요
디바이스와의 거리가 조금만 떨어져도 끊긴다는 평이 많더군요 
즐감을 위해서는 블루투스 제품의 경우 특히나 연결의 안정성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ㅎㅎ

04:11
18.06.11.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최종 글
부운영자 모집 공고! 29 영디비 24.06.04.15:37 3329 +16 짐농
6월 활동 이벤트 공지 및 상품 안내! 54 영디비 24.06.03.15:27 3262 +15 햄최삼
5월 이벤트 당첨자 안내! 30 영디비 24.06.03.12:52 2821 +13 iHSYi
질문
normal
라이티어 1일 전22:12 27 +1 -답이님
질문
normal
JinSiL 43분 전15:17 27 +2 nerin
질문
normal
LiNee 6일 전00:30 35 +2 숙지니
질문
normal
Fpso 24.05.04.14:58 37 0 -towhgdk
질문
normal
레미엘 24.06.06.19:23 39 0 빈번
질문
normal
dyd7862 24.05.11.21:31 42 0 SunRise
질문
image
kukla 24.04.04.15:50 46 0 kukla
질문
normal
rossocorsa 14시간 전01:15 46 0  
normal
풍악을울려라! 23.10.19.22:59 49 +1  
질문
normal
케불치소 24.03.25.21:30 49 0 케불치소
질문
normal
아아악 24.02.17.21:17 50 0  
질문
normal
ReinaKim 24.02.18.16:28 51 0  
질문
image
독전 24.02.28.07:26 51 0  
질문
normal
-시로에몽 24.05.04.21:37 51 0  
질문
normal
RenGray 24.05.08.10:50 51 0 RenGray
질문
normal
시간의각인 24.05.24.22:37 51 0 시간의각인
질문
normal
빵상 24.06.06.16:21 53 0 빵상
질문
normal
헤드폰jh 24.03.15.18:24 55 0  
질문
normal
오정호2331 24.04.30.18:33 55 0 purplemountain
질문
normal
시간의각인 24.05.27.18:03 55 +1 시간의각인
질문
normal
쀼비둘기 24.04.04.23:45 56 0  
질문
image
LiNee 24.06.07.03:10 56 0  
질문
normal
곡예사 24.06.09.14:54 56 0 곡예사
질문
normal
NiceHue 23.11.29.17:36 57 0 NiceHue
normal
Pupa 23.10.11.23:20 58 0 Pupa
질문
normal
이매진 24.01.03.16:23 58 0  
질문
image
Jasonnnn 24.05.22.19:40 58 0 Jasonnnn
질문
normal
곡예사 24.06.06.11:40 59 +2 카스타드
질문
normal
쏘핫 24.06.08.00:34 59 0 쏘핫
질문
normal
POTG 24.02.27.11:46 60 0 숙지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