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g7용 이어폰 추천 부탁드립니다

박동지
4793 0 25

 피나클 p1을 g7에 물려서 전문가모드로

잘 쓰고있었는데, 최근 잃어버리는 바람에

비슷한 가격대의 이어폰을 찾고있습니다

 가격은 20만원 전후, 전문가 모드 진입 가능이

제가 중점적으로 보는 사항들인데

어느 제품들이 있을까요?

옴이 낮은 이어폰에 저항잭을 꽂는 것도 생각했지만

제가 이것저것 연결하는 걸 안 좋아해서

가급적 이어폰만 구입하려합니다

신고공유스크랩

댓글 25

댓글 쓰기
profile image 1등
50옴 이상 이어폰? 그게 흔하려나?...
이어폰에서는 드물지 싶네요.
이어폰 말고 DT1350쓰세요.~
어줍잖은 이어폰은 이어폰 따위가 되니까요.

가격도 매우착해졌구요.
20:47
18.09.23.
박동지 작성자
청년이여
제가 외부에서도 쓸만한 이어폰을 찾는 중이라..ㅠㅠ
21:00
18.09.23.
profile image 2등

그런 제한 조건 하나로, 음질 (혹은 음색 튜닝)이 좋다고 알려진 대부분의 제품을 제외하게 되죠.   
 
청감상 구분하기도 어렵지만, (다이나믹레인지가 높은) 전문가 모드를 굳이 찾는 건, (구분 여부와는 별도로) 고음질로 즐감하고픈 마음이 강한 거 아닌가요? 
  
전문가모드는 헤드폰 - 이어폰보다 감도가 낮은 편- 을 위한 용도이고, 요즘의 포터블용 헤드폰은 임피던스가 50옴보다 더 적은 제품도 다수 출시되고 있는데.. 
  
일반모드와 전문가 모드의 다이나믹레인지 차이보다, (등청감곡선에 따라)  볼륨 한 두칸 올리는 게 훨씬 더 귀에 즐거운 소리를 들려줄 겁니다. 

20:54
18.09.23.
박동지 작성자
터럭
음 그렇다면 저항값은 상관없이 좋은 모델이 있을까요?
제가 본 모델들은 오디오테크니카 CKS1100is랑
다이나믹모션 CM200H였습니다
21:00
18.09.23.
박동지 작성자
터럭
아직 저 두 모델은 청음해보지 않아서
어떤 음색인지 감이 안 잡히네요
개인적으로 mdr 650ap가 잘 맞았었는데요
비슷한 음색의 제품이 있을까요?
21:09
18.09.23.
profile image
박동지

EX650도 측정 리뷰를 보면, 밸런스형에 가까운 저음형2타입이라 해야할 겁니다.  
 Aria나 EN700 bass는 이보다 10 kHz부근에 +2~+3 dB정도 차이뿐이죠. 
  
 https://www.0db.co.kr/xe/29658

21:17
18.09.23.
profile image
터럭
근데 이상하게도
제가 G6를 쓰고있는 터라
같은 이어폰을 쓸 때 일반모드와 전문가모드 모두 써봅니다만

일반모드에서는 볼륨을 올려도
전문가 모드에서 느끼는 밀도감과 힘은
무슨 짓을해도 일반모드에서는 표현되지 않더라구요.

이론적 부분과 청감적 부분은 차이가 있다고
느껴져요.
21:16
18.09.23.
profile image
청년이여

황금귀라 생각하시면 엄밀하게 ABX테스트를 해보세요.
이론상 G6 일반모드 음질보다 3배 더 지저분한 음질이게되는 CD급 음질과
그걸 또 25%로 줄인 mp3 320 kbps 의 구분 테스트도 제대로 통과했다는 분을 여태 보지 못했습니다. 256kbps까지도 마찬가지.. 
  
푸바2000의 컴포넌트 중에 ABX테스트를  지원하는 것도 있습니다. 
고음질 음원을 여러가지 포맷으로 바꿀 때 추천하는 제품은 전문 컨버터인 xrecode3 이에요.

21:22
18.09.23.
profile image
터럭
아니 음질말고 음의 밀도요.
힘의 차이요.
고출력에 따른 힘요.
음질과는 다르다고 생각됩니다.
21:44
18.09.23.
profile image
청년이여

그것도 혹시나 심리적인 영향을 받는건지 확인해보면 좋죠.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야겠고, 전문가 모드나 일반 모드를 섞어 여러가지의 음량으로 듣고 95%이상의 적중률을 보인다면 이견이 없을 겁니다. 
테스트의 구성은 대개 세트당 20회, 3세트~5세트 정도 진행하는 듯하더군요.  
  
 http://goldenears.net/board/CT_Gossip/2922106

21:57
18.09.23.
profile image
청년이여

그것도 결국 음질이라고 보는데요.

대체 "힘" 이나 "밀도"라는 해괴한 용어가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합니까?

사람은 오감이 있지요. 미각/후각/시각/청각/촉각이요.
사람은 오감 이외의 요소를 감지할수 없습니다.

음악을 들을때 미각이나 후각, 시각을 쓰진 않고,

결국 음악을 즐길때 우리는 절대 다수의 청각정보(소리)와 약간의 촉각을 즐깁니다.

청각뿐만 아니라 "촉각"이 언급되는 이유는 카오디오 등에서 강렬한 진동에서 "몸이 진동하는 느낌"등도 음질을 받아들이게 되는 부분이기도 하기 때문입니다만 이어폰에서 촉각정보는 사실 무시해도 되죠.

결국 다 청각 정보, "소리"입니다. 소리의 질을 논한다면 음질이 맞습니다. 소리의 특색을 논한다면 음색을 논하는게 됩니다. 소리의 "힘"과 "밀도"따위는 그럼 무엇입니까? 소리의 질에 대해 논하는것도 아니고, 소리의 음색에 대하는것도 아니라면 뭐냐는거죠.  
  
 소리의 밀도가 높다? 진동이 압축된다면 같은 시간내에 보다 많은 진동수가 있는 의미입니까? 같은 시간에 보다 많은 진동수를 지닌다는 의미는 주파수가 더 높아진다는 말입니다 그럼 밀도가 낮은 소리보다 더 고음이 재생된다는 소리입니다. 이 의미는 아니겠죠? 아니면 진폭수가 넓다? 그럼 볼륨이 큰겁니다. 
  
 뭔지 구체적으로 설명도 못하는 문구로 "난 그렇게 느껴" 라고 주장한다면 블라인드 테스트로 증명하시는게 빠릅니다.

23:13
18.09.23.
profile image
청염
원 댓글과는 다른 얘길지도 모르겠는데 개인적으로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AKG 헤드폰을 쓸때 느꼈던 부분인데 낮은 출력에서 같은 볼륨으로 듣는 것과 높은 출력에서 같은 볼륨으로 듣는 것에 분명 전체적인 소리가 꽉 차있다고 느끼게 되는데요(특히 낮은 출력에서는 저음이 상대적으로 비고 고음이 굉장히 거칠다고 느꼈습니다) 이런 경우는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요? 청염님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00:30
18.09.24.
profile image
KIMBBAM
특정 조건에서 출력문제로 인해서 음질저하가 있을수 있냐고 물어보신것이라면, 저는 최대 볼륨에 가까운 볼륨에서는 음질 저하가 발생할 여지는 있다고 생각하는 편입니다. 여기에 확신이 있냐구요? 그건 잘 모르겠네요. 이것도 ABX 테스트 해보면됩니다.

지금 김밥님께서 의문을 가지는것은 비슷한 의문이라고 생각하실수도 있겠습니다...만

낮은 출력 기기/조합에서 볼륨을 최대로 높여서 들으면 음질 저하가 발생할수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고, 안 발생할거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어서 의견 충돌이 났다면

이 음향 커뮤니티에서는 답을 깔끔하게 내는 수단이 있습니다. 터럭님이 언급하신 ABX 테스트(제대로 된 블라인드 테스트) 죠.

ABX 테스트를 하셔서 두 조건을 비교 테스트했을때, 무엇이 뭔지 확실하게 구분 가능하시면 두 조건간에는 의미있는 수준의 음질차이가 있는겁니다.

근데 ABX 테스트를 하셨는데, 구분 못하시면 적어도 김밥님 귀에는 두 조건사이에서 음질차이가 발생하더라도 구분하지도 못하는 수준의 차이니까 무시 가능한 차이라는 결론이 나니 "차이가 없다" 혹은 "차이가 있어도 (적어도 테스트한 사람에겐) 의미가 없다" 라는 결론이 나게됩니다.

근데, 위엣분은 음질이 아니라, 뭐 소리의 힘이니 밀도이니 해괴한 말을 써가면서 ABX 테스트 해보라는 터럭님의 제안을 사실상 거절했죠. 이게 문제인겁니다. 그 힘이나 밀도가 뭘 의미하는지 정확하게 몰라도 블라인드 테스트로 분간 불가능하면 그냥 의미없다는 말밖에 안됩니다.

차라리 귀찮거나 ABX 테스트라는게 뭔가 거창해보이고 해보기 힘들어서 안한다고 말한다면 납득가능하지요 대부분의 유저들에겐 ABX 테스트라는 용어부터가 뭔가 거창한 테스트같아보이니까요. 근데 그런게 아니라 마치 ABX 테스트로 분간 가능한 음질 문제랑 별개의 이슈라는듯 이야기하니 말이 안되는 주장인겁니다.
01:26
18.09.24.
profile image
청염
답변 감사합니다. 제가 궁금했던 것은 윗분 댓글의 '힘'이나 '밀도'를 떠나서 출력에 따른 실질적인 음질 차이를 느껴보셨는지 궁금했던 것이구요, 실제 많은 분들이 이런 부분에 동의를 하셨었는데 혹시 이런 부분이 어느정도 합의가 되고 밝혀진 사실이라면 구체적으로 무엇때문에 차이가 있는지 궁금해서 질문드렸습니다.

그리고 여담으로 일반적으로 힘이나 밀도라고 표현하는 부분들은 제가 말했던 어떤 출력에 따른 음질저하가 상쇄되는 현상때문에 표현하는 것 같습니다. 물론 제가 AKG헤드폰을 쓰면서 느꼈던 부분은 음질과 관련된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13:22
18.09.24.
profile image
KIMBBAM

지나가다 궁금한 점이 생겨서 글 남깁니다.
KIMBBAM님께서 출력이 다름에도 같은 볼륨이라고 말씀하셨는데
소스기기나 컨트롤 부분에서의 볼륨이 그대로인 상태에서 출력이 바뀐 상태를 말씀하시는건 아니지요? 출력이 바뀌면 음압이 바뀌지않나요? 그럼에도 출력을 바꿀시 음압을 그대로 유지하는 방법이 있나요?

01:47
18.09.24.
profile image
hd569
소스기기중에 출력 자체를 조절할 수 있는 제품들이 있는데요, 제경우는 G5+하이파이 플러스를 사용했었고 그경우 일반 출력은 0.4, 전문가 모드는 1.89로 많은 차이가 나지만 0.4로도 볼륨확보 자체는 충분했던 경우입니다. 0.4일 경우 볼륨이 65정도였고 1.89시 30~35정도가 비슷한 음압이 나오더군요.

일반적인 DAP에서는 불가능한걸로 알지만 일부 DAC이나 앰프, 그리고 스마트폰에서는 가능합니다.
13:13
18.09.24.
profile image
KIMBBAM
그러니까 언급하신 건 음압이 같은 상태임에도 느껴지는게 달랐다는 건가요?
13:44
18.09.24.
profile image
KIMBBAM
적어주신걸 보니 같은 음압을 맞추지 않으신것 같아서요. 데시벨이 다르면 당연히 다르게 느껴지는 것 아닐까요?
13:47
18.09.24.
profile image
hd569
음압을 최대한 같게 한게 맞습니다. 물론 결국 귀로 느껴지는 걸 미세조정한 것이라 완전히 정확하진 않겠지요.

데시벨이 클 수록 사람들이 음질이 좋게 느끼는 경우가 많은데 이점을 피하기 위해 긴시간 이래저래 테스트했었고 내린 결론이 k702는 출력에 따라 음질이 다르다였습니다. 정확히는 고음의 결이 달라진다였지요. 이부분은 사실 저뿐만 아니라 많은 유저들이 공감하신 부분이라 기정 사실이라고 보고있는데 그 원인이 '정확히' 무엇인지 개인적으로 궁금해하고 있습니다.
13:56
18.09.24.
박동지 작성자
청년이여
그러니까요 ㅠ 그래서 고민입니다
다른 이어폰을 써보고싶은데 저항잭을 사야할런지...
21:23
18.09.23.
profile image
박동지

시험삼아 잭 형태나 케이블 형태로 구비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은 경험과 자산이 될 겁니다. 있으면 여러 곳에 활용할 수 있으니까요. 제가 써 본건 우수몰 제품인데, 요청에 따라 옴 수의 맞춤형 주문이 가능합니다.   
 
 신형 무저항잭은 내부 구성을 병렬로 만들어서, 먼저 전문가 모드만 작동시키고, 실 제품 연결할 때는 저항 부분과는 별개로 연결되어서, BA가 포함된 커널이라도 음색 변화없이 음감할 수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http://www.goskin.net/shop/shopbrand.html?xcode=010&type=X

21:47
18.09.23.
박동지 작성자
터럭
확인해봤는데 무저항잭은 ㄱ자만 판매하는 건가요?
이어폰잭이 ㄱ자가 많아서 일자형이 연결하기
편할 것 같아세요
22:05
18.09.23.
profile image
박동지

주문/맞춤형이니까 요청하면 1자형으로도 제작이 될 겁니다. 원하는 사양/구성과 가격을 문의해 보시고, 괜찮다 싶을 때 구매를 진행하면 되죠. 
 저도 원하는 옴수와 케이블 색상, 단자 모양을 협의한 후 2종을 구매했었습니다.

22:15
18.09.23.
profile image 3등

g7 정도면 이어폰 모드도 훌륭하니 그냥 쓰셔도 될듯 한데 
전문가 모드로 굳이 들어가시려면 무저항잭을 쓰셔야 합니다. 
(요즘 g7 이어폰 단자의 플러그 갈림 현상이 이슈라서 예방용으로 쓰시는 분들도 계시죠.)  
 
무저항잭에 대한 이야기는 대강 여기서 보시면 될것 같구요 => https://cafe.naver.com/optimuslteuser/589986 
이어폰은 요즘 가성비가 좋은 제품이 많아서 하나만 고르긴 그렇고
터럭님이 말씀하신 수월우 아리아나 심갓 EN700 PRO, TFZ 갤럭시 T2등을 추천드릴수 있겠네요.  
(말씀하신 DM200도 상당히 괜찮은 모델입니다.)
리뷰 많이 검색해보시고 될수 있으면 청음해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01:32
18.09.24.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최종 글
5월 활동 이벤트 상품 안내! 32 영디비 24.05.16.16:29 1197 +13 첫째부활
normal
파랑니 16.09.28.07:52 3982 0 영디비
normal
INSsoulJK 16.10.21.15:59 3829 +1 INSsoulJK
normal
KIMBBAM 16.10.30.03:19 3386 0 KIMBBAM
normal
라르손 16.11.17.22:19 5763 0 우아한피조물
image
라르손 16.11.19.01:06 4179 0 영디비
normal
라르손 16.11.21.20:22 9236 0 라르손
normal
라르손 16.11.23.18:18 4825 0 Sirius
normal
헤메 16.09.30.00:32 3854 0 NOX
normal
라르손 16.11.23.00:49 6536 0 라르손
normal
라르손 16.11.23.19:54 4772 0 라르손
normal
라르손 16.11.22.17:45 5741 0 라르손
image
라르손 16.11.27.02:52 9005 0 우아한피조물
normal
라르손 16.11.21.01:31 11549 0 우아한피조물
image
KIMBBAM 16.11.30.11:40 3574 0 KIMBBAM
image
라르손 16.12.03.00:31 4158 0 INSsoulJK
image
KIMBBAM 16.12.05.02:17 4663 0 KIMBBAM
image
라르손 16.12.11.11:54 4012 0 우아한피조물
image
라르손 16.12.15.00:44 4185 0 SoilEars
image
영디비 16.12.14.11:42 4672 0 AP2
normal
라르손 16.11.28.21:11 4192 0 모자
image
라르손 16.12.18.17:27 5640 0 우아한피조물
normal
KIMBBAM 16.12.23.14:40 4091 +2 급식츙
image
라르손 17.01.06.01:17 3173 0 영디비
normal
라르손 17.01.09.20:22 4132 0 KIMBBAM
image
라르손 17.01.16.16:22 4054 0 KIMBBAM
normal
라르손 16.11.24.22:27 11172 0 HurryPotter
normal
KIMBBAM 17.01.07.04:03 3826 0 SoilEars
normal
hhayun 17.02.27.11:07 4300 0 영디비
normal
이상준 17.02.23.07:22 5278 0 이상준
normal
가온뫼 17.03.12.16:53 11580 0 싸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