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질 및 코덱에 대해
lambda0323
260 2 18
요즘도 AAC니 FLAC니 얼마나 음질을 깎는지에 대해 논의하고 무손실 음원을 찾기 위해 노력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물론 MP3처럼 많은 부분을 날려버리는 건 아니라 해도 이론적으로 무조건 손실이 발생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렇다면 최근에 저장 공간도 늘어나고 저장 공간을 늘릴 수 있는 한계도 점점 늘어나는데, 그냥 WAV파일을 사용하면 안되는 것일까요? 아직까지 제가 오디오 코덱에 대한 이해를 잘못한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분명 원본과 가장 비슷한 재현은 WAV가 잘할 테고, 이론상으로는 주변 기기의 통신까지도 녹음될 수 있긴 한데 굳이 음악 코덱이 무엇이고 무손실인지 따져야 하는지 아직 잘 이해를 못하겠습니다.
Comment 18
Comment Write
00:49
25.05.24.
iHSYi
음질도 오히려 안좋은 것을 선호하시는 분이나 오래된 전자악기에서 나는 소리를 좋아하시는 분도 계시니까 이제 슬슬 취향차이인 것 같기도 합니다. 이어폰이나 헤드폰, 스피커도 어떻게 보면 악기의 일종으로 볼 수도 있으니까요.
14:12
25.05.25.

제 짧은지식으로 블루투스 기술 자체가 연결 안정성이 개선이 되어도 전송속도(용량)이 wav 지원이 불가능하다는걸 어디서 들은 기억이... 그래서 꺼리는것 아닐까 싶네요. 전 이어폰으로는 때려죽여도 320mp3랑 wav 차이가 안느껴지더라구요.
4K 모니터가 나와야 4K카메라를 원하듯 뭔가 누가들어도 320, flac, wav파일의 차이가 느껴질만큼의 리시버가 잘 팔리는게 우선일 듯 합니다.
20대에 128 mp3 파일을 보고 이건 엔지니어링의 혁명이야 하면서 하악대면서 wav파일을 mp3로 미친듯이 변환해댔는데.. 이런 질문이 나올만큼 기술이 발전했구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4K 모니터가 나와야 4K카메라를 원하듯 뭔가 누가들어도 320, flac, wav파일의 차이가 느껴질만큼의 리시버가 잘 팔리는게 우선일 듯 합니다.
20대에 128 mp3 파일을 보고 이건 엔지니어링의 혁명이야 하면서 하악대면서 wav파일을 mp3로 미친듯이 변환해댔는데.. 이런 질문이 나올만큼 기술이 발전했구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01:33
25.05.24.
세ㅁ
유선에서는 전송이 어렵지 않으니까 이제 음원 판매도 wav로 할 수 있을 것 같아서 한번 생각해 봤습니다. 그런데 이런 쪽은 보통 로그스케일로 만족도가 높아져서 체감의 영역에서 벗어난 것 같네요.
14:14
25.05.25.
3등
써도 안될 건 없는데 반드시 WAV를 쓸 이유도 없습니다. 편집툴이 TAK같은 포맷을 지원하지 않는다면 WAV로 변환하긴 하는데 그런게 아니면 WAV, FLAC, TAK 모두 무손실이라 용량이 남아도 FLAC같은걸 쓰는 게 무난하죠.
03:53
25.05.24.
EXVLF
코덱 비교를 하고 몇 kbps니 몇비트니 이야기가 나와서 계속 의문이었습니다. 사실 이제는 듣는데 무슨 코덱이냐를 구분할 수 있는 분들이 더 적어서 대부분 FLAC나 AAC를 써도 여기는 코덱이 어떻고 이런 말이 잘 안나오는 듯 하네요.
14:17
25.05.25.

고해상도 음원 같은 경우 는 네트워크 트래픽 을 많이 사용해야되기때문 에 스마트폰 데이터 무제한 이 아니라면 은 부담 이 되기때문 에 AAC 아니면 MP3 320을 찾는 것 같습니다.
07:38
25.05.24.
박지훈
스트리밍 시에는 그런 문제도 있겠군요.
14:17
25.05.25.

음 DAP에서 음원 형식에 따라 색이 달라서 깔맞춤(?)하기 위해 FLAC을 모읍니다.
14:06
25.05.24.
GOLANI
눈으로 보는 즐거움도 있죠ㅋㅋ
14:19
25.05.25.
그냥 무손실이기만 하면 됩니다.
wav는 용량 낭비이니 flac추천드려요.
wav는 용량 낭비이니 flac추천드려요.
22:36
25.05.24.
eoeoe
보통 FLAC음원은 어디서 구하시나요??
14:20
25.05.25.
lambda0323
전 그냥 애플뮤직 무손실로 듣습니다
14:47
25.05.25.
lambda0323
애플뮤직 무손실은 ALAC라는 코덱을 쓰긴 하는데, FLAC이랑 거의 똑같은 구조이고, 어차피 무손실이라 음질은 동일합니다.
14:48
25.05.25.

용량문제도 있다보니 flac를 쓰는거 같아요. mp3이나 aac과의 음질 차이는 확연히 나던데요.
01:16
25.05.25.
보라향기
이론적으로는 최고의 코덱일텐데 몇배로 저장공간이 불지만 이제는 저장공간에 대해 점점 자유로워지지 않았나 싶네요. 몇백 몇만곡씩 다 넣고다니는 시대이니...
14:23
25.05.25.
lambda0323
이론적으로 flac이랑 wav랑 음질차이는 없습니다.
flac쪽이 디코딩하는데 약간 더 연산력을 요구하긴 하지만, 결과물은 똑같습니다.
바로바로 출력되어야 하는 게임 효과음같은건 어쩔수없이 wav로 넣긴 하지만 음악감상 환경에선 문제없습니다
flac쪽이 디코딩하는데 약간 더 연산력을 요구하긴 하지만, 결과물은 똑같습니다.
바로바로 출력되어야 하는 게임 효과음같은건 어쩔수없이 wav로 넣긴 하지만 음악감상 환경에선 문제없습니다
18:59
25.05.27.

19:06
25.05.27.
You do not have permission to access. Login
전 코덱이나 음원형식보다 녹음/마스터링을 어디서 했는지가 더 중요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