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것도 안보고 음질만 본다면 누가나은가요 ?
parkda
1421 1 25
BTR17 vs 소니306
음질로만 본다면 누가 더 나은가요?
Comment 25
Comment Write
출력은 말그대로 앰프 출력을 말하는거에요. 소리 크기요. 기본적으로 소리 크기 자체가 확보가 안되면 다이나믹레인지든 노이즈비율이든 따지기 이전의 문제입니다. 발매 당시에도 스펙 후달린다는 말이 있었던 만큼 지금 기준으로는 솔직히 실사용 불가에 더 좋은 옵션들이 많아서 그닥... 입니다. DAP를 구매하시려면 그냥 JM21로 시작하시고, 아니라면 그냥 BTR17이나 큐델릭스같은 블루투스 동글, 또는 꼬다리로 시작하시면 됩니다.
02:57
25.06.29.

네. 출력도 평균적인 정도로 충분하고 (Unbal 2V / Bal 4V), 측정치도 충분히 준수한데다, 필요한 코덱 모두 지원하고 소프트웨어적으로도 지원하는 PEQ 패키지가 T71도 그렇고 그야말로 어떤 기기든 타의 추종을 불허하기때문에 개인적으로는 최고로 꼽습니다. EQ 사용하시지 않고 그저 출력만을 따진다면 BTR17이 더 나을수도 있지만, 패키지 전체적으로 바라봤을때는 큐델릭스 5K 및 T71만큼의 패키지는 현재 없습니다.
03:03
25.06.29.

말씀하신건 타 유저가 만든, 레퍼런스 타겟에 맞춘 EQ 프리셋을 적용하신 것으로 보입니다. 큐델릭스의 장점은 직접 PEQ를 취향에 맞춰서 세팅 가능한 점, 좌우밸런스가 매칭되지 않는 IEM에 한해 좌우밸런스를 직접 맞출 수 있는 점 등 타 DAP 및 블루투스 리시버에서 지원하지 않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패키지들로 이어폰 사용 경험을 보조한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이어폰 수준에서 충분하고도 남는 출력과 측정치는 덤이고요.
03:22
25.06.29.

전자요
01:42
25.06.29.
엘릭스
혹시 블루투스로 쓸때도 전자가 나을까영 ? 기변 마렵네 ㅠㅠ
01:50
25.06.29.

parkda
애초에 306은 애플꼬다리도 하는 1V 출력도 못내는 물건입니다. 코덱으로 인한 손실을 염려하기 이전에 기본적인 출력단위부터 낮아서 요즘 기준으로 사용하기는 어렵습니다. 하다못해 요즘 Fiio에서 나오는 그 Snowsky 이름 달고 나오는 소형 MP3 플레이어도 306보다 출력 및 측정치 전반이 좋습니다.
02:04
25.06.29.
엘릭스
제가 음악취미를 가져본지 얼마 안되서 모르는데
젠하이저ie300 이어폰을 쓰는데 출력이 높고 낮은것의 차이를 저 이어폰으로도 느낄수있나요 ? 그리고 출력이
높다 낮다는 어떤차이인지도 잘 모르겠고 ㅠ
젠하이저ie300 이어폰을 쓰는데 출력이 높고 낮은것의 차이를 저 이어폰으로도 느낄수있나요 ? 그리고 출력이
높다 낮다는 어떤차이인지도 잘 모르겠고 ㅠ
02:54
25.06.29.

parkda
출력은 말그대로 앰프 출력을 말하는거에요. 소리 크기요. 기본적으로 소리 크기 자체가 확보가 안되면 다이나믹레인지든 노이즈비율이든 따지기 이전의 문제입니다. 발매 당시에도 스펙 후달린다는 말이 있었던 만큼 지금 기준으로는 솔직히 실사용 불가에 더 좋은 옵션들이 많아서 그닥... 입니다. DAP를 구매하시려면 그냥 JM21로 시작하시고, 아니라면 그냥 BTR17이나 큐델릭스같은 블루투스 동글, 또는 꼬다리로 시작하시면 됩니다.
02:57
25.06.29.
엘릭스
집에 큐델릭스 5k가 있긴한데 이게 306보다 나은가여 ? ㅠㅠ
03:00
25.06.29.

parkda
네. 출력도 평균적인 정도로 충분하고 (Unbal 2V / Bal 4V), 측정치도 충분히 준수한데다, 필요한 코덱 모두 지원하고 소프트웨어적으로도 지원하는 PEQ 패키지가 T71도 그렇고 그야말로 어떤 기기든 타의 추종을 불허하기때문에 개인적으로는 최고로 꼽습니다. EQ 사용하시지 않고 그저 출력만을 따진다면 BTR17이 더 나을수도 있지만, 패키지 전체적으로 바라봤을때는 큐델릭스 5K 및 T71만큼의 패키지는 현재 없습니다.
03:03
25.06.29.
엘릭스
패키지라는게 그 eq만들어놓은거 말씀하시는거죠 ?
수백개는 되는거같던데 그게 글케 좋은거엿군여 eq를 안건드려봐서리 ㅠㅠ eq에 ie300도 있어서 작용해봤는데 뭔가 허한느낌이있더라고요 묵직함이 사라졋다고 해야하나 ㅠㅠ 그게 고수분들 귀에는 더 좋게 들리는걸까요 ? 아직경럼부족이라 그런가 ㅠ
수백개는 되는거같던데 그게 글케 좋은거엿군여 eq를 안건드려봐서리 ㅠㅠ eq에 ie300도 있어서 작용해봤는데 뭔가 허한느낌이있더라고요 묵직함이 사라졋다고 해야하나 ㅠㅠ 그게 고수분들 귀에는 더 좋게 들리는걸까요 ? 아직경럼부족이라 그런가 ㅠ
03:13
25.06.29.

parkda
말씀하신건 타 유저가 만든, 레퍼런스 타겟에 맞춘 EQ 프리셋을 적용하신 것으로 보입니다. 큐델릭스의 장점은 직접 PEQ를 취향에 맞춰서 세팅 가능한 점, 좌우밸런스가 매칭되지 않는 IEM에 한해 좌우밸런스를 직접 맞출 수 있는 점 등 타 DAP 및 블루투스 리시버에서 지원하지 않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패키지들로 이어폰 사용 경험을 보조한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이어폰 수준에서 충분하고도 남는 출력과 측정치는 덤이고요.
03:22
25.06.29.
엘릭스
늦은시간에 엄청난 정보 감사드립니다 ㅜㅜ
03:28
25.06.29.

parkda
그냥 모든 면에서 btr17 압승이겠네요.
02:26
25.06.29.
Gprofile
아 압승이군여 ㅜ
02:54
25.06.29.

BTR시리즈는 워낙 가성비도 좋고 BTR17은 고출력 되는 데스크탑 모드도 있는지라 비교불가입니다.
01:52
25.06.29.
가난한소리
데스크탑모드 찾아보니까 궁금하긴하네요 306왜케 비싼걸까요 ㅠㅠ
02:55
25.06.29.

parkda
원래 소니의 저역대 좋아하는 사람들 많아서 소니의 음향기기 모으는 사람 많아요.
개인적으로 소니빠 아니면 굳이이기도 합니다.
개인적으로 소니빠 아니면 굳이이기도 합니다.
02:57
25.06.29.

음향기기는 대체로 가격대 차이가 크지 않다면 신품이 여러가지로 더 나은 편입니다.
그중 Topping과 FIIO는 개인적으로 선호합니다.
10:55
25.06.29.
purplemountain
피오가 진짜 인기가많네요 감사합니다 !
11:40
25.06.29.

토핑하고 피오가 쿨앤클이라 질적으로는 더 좋을거 같고 음색은 호불호의 영역이니 착색이 좋을 수도 있지 싶네요.
저라면 둘다라고 할거 같습니다.
저라면 둘다라고 할거 같습니다.
11:36
25.06.29.
Tigris
토핑 피오 기억하겠습니다 !
11:43
25.06.29.

저도 Fiio BTR17~
근데 소니엔 소니라고 해서 궁금하긴 하더더군요~
하지만 그러기엔 가성비가... 그리고 자금이ㅎ;
13:54
25.06.29.
yozi
중고로 25에 삿어요 중고는
싼거같더라고요
싼거같더라고요
15:48
25.06.29.
소니는 707이나 흑덩이2 부터라고 배웠습니다.
직접 경험은 못해봤는데... 지인이 그러더라고요.
직접 경험은 못해봤는데... 지인이 그러더라고요.
15:33
25.06.29.
초보이
휴대성 때문에 샀는데 평이 안좋네요 ㅠㅠ
15:47
25.06.29.

초보이
흑덩이2 살까하고 여러달을 쳐다봤는데
소니라는 이름값만 빼면
모든 면에서 fiio m23에 지더라구요.
S master랑 알미늄 유니바디가 좀 유혹적이긴하지만요.
소니라는 이름값만 빼면
모든 면에서 fiio m23에 지더라구요.
S master랑 알미늄 유니바디가 좀 유혹적이긴하지만요.
08:24
25.06.30.
JNK
그래서 저도 m23을 샀습니다.
09:12
25.06.30.
You do not have permission to access.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