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손실 음원+무손실 지원 이어폰 체감
잡종
265 3 17
이게 플라시보 효과인지 아닌지가 궁금해서 글 남김니다.
Comment 17
Comment Write
21:30
5일 전
Gprofile
글내용을 수정을 해야 겠네요...
21:31
5일 전

구별하라고 하면 할 수야있는데 의식하지않고 그냥 들으면 큰 차이는 아닌거같아요
21:32
5일 전
카스타드
이게 한번 차이를 느겨 볼려고 했는데 스트리밍 마다 소리크기 차이가 있어서 비교가 어려웠는데,
전에 애플디지털 마스터링 글을 보고서는 차이가 별로 없을수 있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전에 애플디지털 마스터링 글을 보고서는 차이가 별로 없을수 있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21:35
5일 전

하이햇소리등 초고음에서 약간의 차이가있기야한데 구간반복하고 크게듣고 이런거 아니면 잘 구별안가긴하더라구요
영상으로 비유하면 일시정지해놓고 부분부분 틀린그림찾기처럼 비교하면서 큰 화면으로 확대하면서 보면 구별하는 2k 8k 화질차이같은 ...
영상으로 비유하면 일시정지해놓고 부분부분 틀린그림찾기처럼 비교하면서 큰 화면으로 확대하면서 보면 구별하는 2k 8k 화질차이같은 ...
21:38
5일 전

미세한 부분 에서 체감이 됩니다.
21:45
5일 전
일단 유튜브 뮤직이랑 애플 뮤직의 차이는 확실하게 느껴지더군요.
22:01
5일 전

저는 거의 구분이 안 가는데 엄청 집중하면 유튜브 음원과 CD 음원 구분하는 정도는 가까스로 가능합니다
22:18
5일 전

몇번 테스트 해 보았는데 마치 건드리지않고 삶은달걀과 날달걀을 구별하는데 온몸의 에너지를 다 쓰고 앉아있는 기분이었습니다. 전 구별 못하는 것으로...
23:37
5일 전
세ㅁ
한번 커뮤니티에 있는 애플디지털 마스터 글을 보면은 왜 구별을 못하는지 아실겁니다.https://m.clien.net/service/board/cm_iphonien/14496545
23:41
5일 전

잡종
클리앙 ㅎㅎㅎㅎ 탈퇴한지 15년만에 접속했네요.
23:43
5일 전
세ㅁ
어...그래도 유용한 글 입니다...한번쯤은 볼만합니다.
00:04
5일 전
tidal과 qobuz 음원을 24/96 포멧으로 스트리밍해서 들으면 음역대 밸런스가 다르게 들립니다.
스마트 폰에서도, pc에서도, 오디오 스트리밍 소스기기에서도 같은 성향의 차이가 납니다.
스트리밍 서비스 업체에서 전송 알고리즘이 다른건지, 음원서버가 있는 지역에 따른 차이인지 알수는 없지만 차이가 있습니다.
좀더 명확한 증거로는 그 각각의 스트리밍 회사에서 음원을 다운받아 들으면 차이가 안납니다.
스마트 폰에서도, pc에서도, 오디오 스트리밍 소스기기에서도 같은 성향의 차이가 납니다.
스트리밍 서비스 업체에서 전송 알고리즘이 다른건지, 음원서버가 있는 지역에 따른 차이인지 알수는 없지만 차이가 있습니다.
좀더 명확한 증거로는 그 각각의 스트리밍 회사에서 음원을 다운받아 들으면 차이가 안납니다.
00:54
5일 전
솔직히 차이가 좀 있다고 느껴져요. 깊게 공부하면서 듣는 스타일은 아니지만 같은 노래라도 스트리밍인지 무손실인지에 따라 음의 뭉개짐이나 하이톤에서의 세밀함, 공간감등에서 차이가 크게 나더라구요. 그리고 특히 극저음이나 극고음에서 노이즈가 생기는 경우도 많았구요
12:17
4일 전

가청음역이니 뭐니 하는 이유로 CD음원과 256k 손실압축을 비교하는 건 이제 무의미 합니다. 음량을 늘려 다이내믹레인지를 풀로 활용하지 않으면 구분이 어려웠던 시절은 이미 옛날이고, 24bit Hi-Res 음원이 스트리밍되는 시대엔 걍 비청하면 들립니다. 이 차이를 구현하는 DAC는 넘치구요. A와 C가 다르면 A와 B도 다른거죠
15:12
4일 전
어떤 이어폰으로 어떤 dac이나 앰프를 통해서 듣느냐 따라서 결과의 차이도 발생할 것 같습니다.
질문의 조건이 너무 광범위 하다고 생각합니다.
질문의 조건이 너무 광범위 하다고 생각합니다.
15:26
4일 전

솔직히 블라인드 테스트하면 구별할 자신은 없습니다. ㅎㅎㅎ
09:29
3일 전
You do not have permission to access. Login
차이를 어떤식으로 느끼는지에 따라 다를 것 같은데요.
스트리밍 사이트의 음원에 따라 좀 상태가 다른 경우가 있다고도 합니다.
무슨 음원이고 어떤식으로 비교했고 차이는 어떤 구간 어떤식으로 차이가 난다.
(예를 들면 애플뮤직에서 들을땐 안들리던 기타 노이즈가 스포티파이에서는 들린다. 라던지)
정도의 이야기는 있어야 될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