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스피커 FR 측정방법 문의드립니다

김인화
4716 1 15

 늘 헤드폰과 이어폰으로만 듣다가 얼마 전부터 스피커를 듣게 되었습니다. 보유 중인 스피커는 [Kanto YU6]와 [Fluance AI40] 입니다. 두 스피커 모두 매우 평탄한 FR을 가지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YU6: https://www.soundandvision.com/content/kanto-yu6-powered-speaker-system-review-test-bench

AI40: https://fluance.com/media/wysiwyg/Fluance/FluanceFREGraphs/Ai40-Frequency-Response.jpg


그런데 이 두 스피커 모두 설치한 다음 들었을 때 HD600 이나 포낙 같은 플렛하다는 헤드폰, 이어폰과 소리가 너무, 심각하게 다릅니다. 훨씬 더 V 자 음색에 가까운 느낌입니다.


방 안 환경 문제인 것 같아 룸튜닝을 해보려고 Dayton Audio IMM-6 마이크와 Audiotools 앱을 구매하여 측정을 해보고 있는데 막히는 부분이 너무 많습니다. 지금은 마이크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보정치만 Audiotool에 넣어놓은 상태입니다. 아래부터가 의문사항들입니다.


1. 재생 음원 : 화이트, 핑크

화이트노이즈를 사용해야 하는 것인지 핑크노이즈를 사용해야 하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화이트노이즈를 사용하면 그나마 평탄한 그래프가 나오고 핑크노이즈를 사용하면 저음쪽이 상당히 올라갑니다. 보통은 룸튜닝시 핑크노이즈를 사용한다고 들었는데 핑크노이즈로 FR을 측정한다면 저 두 스피커는 전혀 플렛한 스피커가 아닌 게 되는 거라서요.


2. Weighting : Flat, A, C, X-curve

Audiotool에서는 룸환경에 맞게 조절하라고 위의 4개 웨이팅 옵션을 제공합니다. 일반적으로 A-weighting을 사용한다고 하는데, 이게 저음쪽을 상당히 많이 올려야 플렛한 것으로 나오더군요. 핑크노이즈 음원에 A-weighting을 적용해 플렛한 그레프가 나노도록 맞춰야 하는 건가요? 그럼 저음만 완전 방방거려서 말이죠. 어떤 음원에 어떤 웨이팅을 적용해야 할까요?


3. 측정위치 : 20cm, 1m, 실제 듣는 위치

마이크의 측전 위치도 의문입니다. 어떤 사람은 드라이버 20cm 앞이라고 하고 어떤 사람은 1m, 어떤 사람은 자기가 실제 듣는 위치라고도 하고요. 높이도 의문입니다. 트위터 높이에서 측정하면 될까요?


스피커 쪽은 완전 초보라 감이 전혀 오질 않습니다. 경험많으신 분들의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신고공유스크랩
터럭 터럭님 포함 1명이 추천

댓글 15

댓글 쓰기
1등

 앰프에서 뭔가 중음쪽처리를 하고있는것은 아닐런지요.  
 고음이 잘 들리신다고 하는걸 봐선 트위터는 귀위치 맞으신거같은데... 음. 
 저같은 경우는 저렴한 알리발 앰프 샀는데요. 
 hifi 모드를 켜야 착색없이 그대로 출력해주더군요. 
 ㅡ.ㅡ;;;; 기본모드는 무조건 착색들어감... 킁. 
  
 물론 전 초보라서 자세히는 모릅니다 ㅎㅎ

00:16
19.02.01.
김인화 작성자
kalstein
앰프라는 게 앰프가 장착된 파워드 스피커 말하시는거죠? 착색이라는 게 kalstein님처럼 귀로 들어서 알 수 있는 수준이라면 좋겠는데 제 귀는 그 정도의 황금귀가 아니라서요. 측정이 필요합니다.
00:32
19.02.01.
김인화
아뇨. 보통 북쉘프 이상 스피커 셋업할땐 앰프 + 패시브 스피커로 하죠.
저 모델들은 액티브 스피커인가요?
01:43
19.02.01.
김인화 작성자
kalstein
아. 저 제품들은 다 액티브입니다. 인티앰프 모드를 하이파이로 셋팅했다는 말씀이셨군요.
05:04
19.02.01.
김인화
네... 엄청난 저가모델은 아니긴한데.
여튼 기본모드의 eq가 영 쓰레기입니다 ㅋㅋㅋㅋㅋ
05:10
19.02.01.
profile image 2등
도움을 못 드려 죄송합니다만 스피커 추천은 어디서 받으셨나요? 한국 커뮤니티에서 저 제품 쓰는 분을 처음 봐서요.
01:41
19.02.01.
김인화 작성자
SunRise
구글 검색으로 일단 FR 확인하고 해외 리뷰들로 알아본 제품들입니다. 블투 되는 저가 액티브 북쉘프중에 측정치가 어느정도 검증된 것을 찾다보니 몇 개 없더라고요.
05:06
19.02.01.
profile image 3등

더 자세히 잘 알고 있을만한 분 - (예: Studio51)과 관련한 게시글을 링크해 봅니다. 쪽지나 메일로 궁금하신 점을 문의해 보세요. (이신렬 음향 공학 박사님의 연구실에서 활동중인 걸로 압니다.)
  
 (※) 스피커 관련 지식 + 팁 링크 모음 
 청음 평가실 소개  : Studio51 (옛 닉네임 - 뽀라돌이)
 좋은 스피커란? 시리즈 (이신렬 음향 공학 박사, 강좌 유튜브 영상)  
 
 영디비 측정 장비와 타겟 커브에 대하여 (2018년 11월 1일 개정)   
  
 물어보신 1항은 잘 몰라 패쓰~,  
 2항은 Weightening이 B일 경우가 보통 듣는 56 ~ 84 dB의 보정인 걸로 압니다.  
 3항은 실제 배치와 청취 위치에서 측정하는 게 맞습니다. 스피커 자체 특성만 평가하는 목적이 아니고, (스피커/배치 + 룸의 영향)까지 묶인 FR을 알고자 하는 거니까요.  
  
 소리를 듣게 되는 원리 
 

01:43
19.02.01.
김인화 작성자
터럭
스피커는 룸특성이 있어서 정말 어렵네요..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05:11
19.02.01.
profile image

스피커 측정은 무향실에서 진행합니다. 무향실은 반사가 없는 공간이기 때문에 실제 방에 설치한 것과 특성이 다를 수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잘 셋팅된 평탄한 스피커를 들어도 얘기하신 이어폰 헤드폰보다 저음과 고음이 많다고 느끼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HD600이 플랫하다하는데, 어떻게 측정했는지? 어떤 타겟을 적용했는지에 따라 다릅니다. 영디비에서 측정하기론 아주 플랫하진 않고, 저음이 조금 빠진 형태입니다.  
  
1. 플랫한 측정을 원하신다면 화이트 노이즈를 사용해야합니다. 
   화이트 노이즈가 플랫이고, 핑크 노이즈는 옥타브당 3dB이 감소하는 형태의 소스입니다. 즉 핑크 노이즈를 사용하면 저음이 많아 보일 수 밖에 없습니다. 핑크 노이즈로 튜닝하는 것은 음향 엔지니어들의 방법이 있습니다. 
  
2. 웨이팅은 소음 측정할 때 적용합니다.  
    룸 튜닝과는 관계가 없으니 적용하지 않으셔야 제대로 볼 수 있습니다. 
  
3. 룸 튜닝에서 측정은 실제 듣는 위치에서 합니다. 
    높이도 실제 귀 위치에서 하는 것이 맞습니다.

03:31
19.02.01.
김인화 작성자
영디비
답변 감사드립니다.


[영디비 측정 장비와 타겟 커브에 대하여 (2018년 11월 1일 개정)]에 보니 아래와 같은 설명이 있었습니다.
 

[하만의 레퍼런스 청음실에 위 스피커를 스테레오로 셋팅해 놓고 위 그림에 보이는 것처럼 9개의 포인트에서 마이크를 설치하여 공간 평균을 낸 다음 스피커를 이퀄라이징하여 청음실 내에서 완벽하게 플랫한 응답이 되도록 셋팅합니다.]

--> 위의 플렛한 응답이라는 것을 화이트노이즈를 사용해서 플렛하게 이퀄라이징 했다는 의미로 받아들여도 될까요? 그렇다면 저도 화이트노이즈로 최대한 플렛하게 맞춰보려고 합니다. 이퀄라이저와 흡음재를 총동원해서요.

그리고 아래와 같이 떠돌아다니는 핑크노이즈를 사용하여 플렛한 FR을 맞추는 룸튜닝들은 뭔가 잘못된 부분이 있는 것일까요? 제가 문돌이라 이해력이 참 딸립니다 ㅜㅜ

https://m.seeko.kr/zboard4/zboard.php?id=review&no=27629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avuser&logNo=220937778276&proxyReferer=https%3A%2F%2Fm.search.naver.com%2Fsearch.naver%3Fquery%3D%25ED%2595%2591%25ED%2581%25AC%25EB%2585%25B8%25EC%259D%25B4%25EC%25A6%2588%2Brta%26where%3Dm%26sm%3Dmob_hty.idx%26qdt%3D1
05:25
19.02.01.
profile image
김인화

아~ 스펙트럼 분석기로 볼 땐, 핑크 노이즈를 사용하는 것이 평탄하게 보입니다.

AUDIO TOOLS 에서 FFT 아날라이저를 사용할 경우에는 화이트 노이즈를 사용하는 것이 맞습니다.
RTA가 정확히는 모르겠는데, 스펙트럼 분석기이면 핑크노이즈를 사용하는 것이구요. 
  
  
하만 청취실 측정이나 정확한 측정은 노이즈보단 사인파를 주로 사용합니다. 20Hz에서 20kHz까지 싱글톤을 주고  측정합니다.  

06:44
19.02.01.
김인화 작성자
영디비
제가 안드로이드 폰을 써서 애플 앱스토어의 audiotools를 못 쓰고 안드로이드 마켓의 audiotool을 쓰고 있습니다. 둘이 다른 프로그램이더라고요. 안드로이드 audiotool의 제품 설명서가 이렇게 시작합니다.

[The top region shows the RTA frequency response in ISO one octave bars, as calculated by an FFT of the incoming audio data.]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FFT로 계산하여 나타낸 1 옥타브 막대를 사용한 RTA FR"이라니.. 사실 뭐가 뭔지 모르겠네요.

좀 더 공부해 보겠습니다.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10:03
19.02.01.
profile image
김인화
one octave bars이면 핑크 노이즈가 맞겠네요!
15:48
19.02.01.
profile image

ㅎㅎ 길어서 pdf로 올려드려요. 뭐 대단한 내용은 아닙니다. 실망은 하지 마시고..
 

00:32
19.02.08.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최종 글
부운영자 모집 공고! 28 영디비 5일 전15:37 1492 +16 Aconitine
6월 활동 이벤트 공지 및 상품 안내! 54 영디비 6일 전15:27 1289 +15 햄최삼
5월 이벤트 당첨자 안내! 30 영디비 24.06.03.12:52 997 +13 iHSYi
image
정우철 21.06.07.16:06 1695 +9 nalsse
질문
image
보마 24.05.18.23:52 128 +7 보마
질문
normal
오공공오오우너 24.05.30.12:33 120 +6 purplemountain
질문
normal
베르캄규 24.05.06.17:18 151 +6 Magnesium
image
굳지 23.06.25.11:42 151 +6 굳지
질문
normal
라온소리 24.05.28.11:34 218 +5 eoeoe
질문
image
-towhgdk 24.05.06.01:52 100 +5 캡스33
질문
normal
JT 24.03.23.16:19 203 +5 SunRise
normal
알린 22.03.31.00:18 5128 +5 윤석빈
normal
지나가는엑스트라1 20.10.08.00:42 1460 +5 지나가는엑스트라1
normal
굿바이어 20.07.05.15:59 1247 +5 윤석빈
normal
NNA 17.10.24.19:17 262152 +5 Bigboy
질문
normal
JNK 3일 전10:40 109 +4 JNK
질문
normal
알린 24.06.02.20:12 130 +4 카스타드
질문
normal
베르캄규 24.05.31.11:31 102 +4 베르캄규
질문
normal
wiju 24.05.23.11:43 112 +4 오마이걸
질문
normal
똥코스믹 24.04.22.14:53 152 +4 똥코스믹
질문
normal
무직마니아 24.04.17.13:17 158 +4 뮤직마니아
질문
normal
카스타드 24.03.25.01:15 328 +4 카스타드
질문
normal
YourBeyerdynamic 23.12.10.17:44 300 +4 YourBeyerdynamic
normal
뮤직마니아 23.08.27.16:18 129 +4 녹차맛
normal
트리거왕 23.04.19.03:30 593 +4 JNK
image
트리거왕 22.10.26.23:03 1812 +4 imfinzi
normal
-카카오 22.08.22.01:11 2438 +4 알린
image
뉴비 22.05.27.10:08 1989 +4 Gprofile
image
청년이여 21.08.14.12:18 2723 +4 청년이여
normal
알린 21.07.20.08:24 2402 +4 Magnesium
normal
Makk 20.10.03.13:57 2136 +4 Makk
image
박펭 20.04.03.12:24 9662 +4 dekalogs
normal
양동혁 19.10.03.01:28 1252 +4 양동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