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pc와 물릴시 질문이요!!

굿맨굿
2897 1 25

t1 2세대+dx3 pro (지금 오는중) 요롷게 해서 침대용으로는 v50이랑 물리고 사용예정인데  

 어차피 돼지코 어답터를 사야하거든요(직구라서요)그때 두개살려고 합니다  
 pc용 침대용 이렇게요  
  
 케이블살때도 usb b-c 로살까하다가  
 
  pc에도 한번 물려볼까 생각중이라 b-a로 구입했습니다
  
여기서 질문입니다! 
  
 1.usb 포트를 메인보드와 연결해야하나요? 아니면 확장 usb포트(pc 앞면)에 연결하는게 좋나요? 
  
 2.usb연결 보다 광케이블연결이 더 좋은건가요? 
  
 3.제가 pc에 사카가 사블zxr입니다 광으로 연결시 사카쪽에 물려야할꺼같은데 그러면 사블자체 dac/앰프기능과  
 dx3pro dac/앰프기능이 서로 겹치나 문제 발생하지 않을까요? 
  
 질문이 많아서 죄송합니다!!!

신고공유스크랩
터럭 터럭님 포함 1명이 추천

댓글 25

댓글 쓰기
profile image 1등
1.별 차이는 없겠지만 외부전원 받는 허브나 메인보드 직결이 아주아주 조금이라도 더 안정적일 것 같습니다.

2.노이즈 덩어리인 pc의 전원에서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광입력이 유리합니다.

3.pc 메인보드에 광출력이 없으면 사블을 통해서 해야겠지요. pc에서 사블을 usb, 사블에서 광으로 뽑으면 아마 바이패스 해서 별 문제 없을겁니다. 이건 사블 쓰시는 분이 추가 답변 주시는 것으로...
보드에 광출력 있으면 그거 쓰시는게 깔끔하죠.
16:34
19.08.25.
굿맨굿 작성자
Klarhet

새벽에 답변 감사합니다 !!
아하 그렇군요 그럼 구지 b-a가 필요없겠네요 b-c로 가야겠습니다
주렁주렁을 싫어하거든요
보드에도 광단자는 있습니다
보드쪽에 물려야겠네요
그럼 pc-fi하시는분들은 dac/앰프에서 pc로 물릴시 광또는 동축으로 물리시겠네요..

16:58
19.08.25.
profile image
굿맨굿
아랫 분 말씀도 참조해보세요. usb로 입력받는게 더 가능성? 이 높은 것도 사실이라..
환경이 이상적일수록 더 그렇구요.
22:44
19.08.25.
굿맨굿 작성자
Klarhet
옙 다시usb로 ㅠ 감사합니다
02:30
19.08.26.
profile image 2등

1) 메인보드 직결이 조금이라도 더 좋습니다. 
  
2) DAC에 다음 3가지 기능을 모두 지원한다면 USB가 더 좋습니다. 
 첫째, USB 2.0 혹은 그 이상 -> 24bit/96kHz을 초과하는 데이터 전송이 가능합니다. 
 둘째, 비동기모드 asynchronous mode -> 컴퓨터가 아니라 DAC이 마스터가 되어서 타이밍 에러(지터)를 방지합니다.
 셋째, 갈바닉 절연 galvnic isolation -> DAC측의 USB단자가 전기적으로 완전히 격리되고 트랜스를 통해 신호만 전달합니다. (접지도 공유되지 않습니다) 
 
광출력은 세 번째 기능의 이점을 포함하지만, 첫번째와 두번째 기능의 이점을 제공받지는 못합니다. 간혹 24/96 이상의 스펙을 광입출력으로 전송하는 기기들이 있기는 한데, 본래 SPDIF 규격에서 정상적인 동작을 보장하는 스펙은 아닙니다. 또 간혹 광입력이나 동축으로 받은 데이터를 버퍼에 저장했다가 타이밍을 재정렬하는 기능이 있는 DAC도 있는데, 가격이 비싸고 딜레이가 있습니다. 

첫번째와 두번째 기능은 요즘 나오는 DAC들은 거의 모두 지원하고 있고, 세번째 기능은 아직 고가형만 지원합니다. 좀 비싼 부품(트랜스)가 들어가야 해서 앞으로도 저가형에서는 지원이 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위 세 기능 중 아무것도 지원하지 않아도 ODAC처럼 기본 설계가 잘 되어서 왜곡이나 잡음 없이 잘 동작하는 제품들도 있습니다. Audiosciencereview.com같은데서 제공하는 측정리뷰를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비결이야 어쨌든 결과가 좋으면 장땡이지요.
  
3) 소프트웨어 설정하기에 나름입니다. 커널스트리밍이나 ASIO 등을 지원하는 플레이어를 사용하면 광출력되는 데이터에 아무런 변형이나 간섭이 없게끔 할 수 있습니다.

18:29
19.08.25.
굿맨굿 작성자
idletalk
전문가 포스.. 감사합니다
02:30
19.08.26.
3등

B to A 케이블 기본으로 제품에 포함되어 있어 따로 살 필요 없습니다. A to C OTG는 핸드폰과 연결시 필요.  
저는 오디오에는 리니어 어댑터를 써야한다는 고전적인 생각에 바로 안전사 15V2A 어댑터 주문했습니다. 1.4만원...dx3 pro 기본 어댑터를 콘센트에 꼽을때 불꽃이 튑니다. 불안해서 바로 어댑터 주문...물론 기본 어댑터도 보호회로가 있을겁니다.
1. 상관없습니다. 별도로 전원을 사용하므로 신호와 전원이 분리되어 있습니다.
2. 측정치가 USB가 제일 좋습니다. 전원은 분리해야한다는 고전적인 분은 광입력을 추천...
3. DAC은 한번만 거칩니다. 광출력도 디지털 신호이므로 아날로그 사운드는 외장 DAC이 만듭니다. 앰프는 그다음 이야기...

23:37
19.08.25.
굿맨굿 작성자
슈뢰딩거의고양이
아하 dx3 pro가 15v 1v인걸로 알고있는데 15v2v아답터로 써도 되는건가요?
어떤아답터 구입하셨나요? 같은거 사게요ㅎ
02:29
19.08.26.
굿맨굿

음... 기억이... 집에가서 다시 볼게요.... 1V였나? 왜 2V로 기억하고 있는지...ㅎㅎ 1V인가봐요... 2V는 1.6만원인거 보니 1V 맞는듯... 1V 1.1만원에 배송비 포함해서 1.4만원인가 봅니다. ^^;
일단 제품 받아서 기본 어댑터 써보시고 구매하세요... 불꽃이 안튈 수도 있으니... 저는 그랬어요...돼지코도 파는데가 적어서... 집에 뒤져봐서 없으시면 임시로 여행용 어댑터를 쓰셔도 되요.
http://www.anjunsa.co.kr/shop/item.php?it_id=1494225552
꼭 구매해야 하는것은 아닙니다. 쓰나 안쓰나 똑같다고 뭐라 하시면 곤란...어댑터 관련 추가 구성품은 필요 없어요... 불꽃만 안튀었으면 저도 사려고 안했습니다. 

02:42
19.08.26.
굿맨굿 작성자
슈뢰딩거의고양이

방식이 eu라 헐거울꺼같아서요 ㅎ;;; 
 예전에 다른 제품 eu아답터 헐거워서 버리고 한국껄로 다시 샀거든요 ;;
어차피 하나더 사긴사야하니깐요

03:23
19.08.26.
굿맨굿 작성자
슈뢰딩거의고양이
15v 1v가 아니고 1a네요 ㅎㅎ;;; 저도 헥갈렸습니다
03:48
19.08.26.
굿맨굿 작성자
슈뢰딩거의고양이
링크주신 방식이 트랜즈방식인가 뭔가인데
-ㅁ- 이런방식보다는 음향기기는 돼지코랑 일체형으로 된걸로 쓰라네요
트렌즈방식은 15v보다 상승할수도 있고 모터같은거에 적합하다고
안내받았습니다 참고하셔도 괜찮을꺼같아요!
04:58
19.08.26.
굿맨굿

다른데 질문하시고 답변을 얻으신듯 하군요. SMPS와 Linear 방식을 헛갈리는것 같군요. 
Linear 방식이 저는 좋다고 생각해서... 저는 그냥 추천만 드린거에요... 제가 링크드린것은 리니어 방식입니다. 오디오용은 리니어 방식을 주로 씁니다. ^^;  전기밥을 좀더 먹습니다. 
기본으로 들어 있는 어댑터가 3천원 정도하는 SMPS 15V1A 제품이더군요.  전기밥을 적게 먹죠... SMPS도 회로만 잘 구성하면 쓰는데 지장 없을겁니다. 편한대로 선택을...  
3천원 짜리 추가로 사지 마시고 일단 기본 어댑터에 돼지코 쓰시고 불만족 스러우면 교체하세요.  +, - 반대로된 어댑터 꼽으시면 바로 앰프 고장납니다. ^^;
지르라는게 아니라 참고만.... 급할수록 돌아가라....  
참... 1V가 아니라 1A... 저도 똑같이 헛갈렸습니다. ㅋㅋ...   
링크도 잘못 드렸어요... 12V1A가 아니라 15V1A 입니다. 1.4만원 맞네요... 제기억이 그렇죠...ㅋㅋ
구매링크 수정 :  http://www.anjunsa.co.kr/shop/item.php?it_id=1494340016   
어댑터 특성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839811&cid=40942&categoryId=32828   

05:06
19.08.26.
굿맨굿 작성자
슈뢰딩거의고양이
아니요..;; 다른데 질문해서 답변을 얻은게 아니고
안전사와 다른 업체와 직접 통화해서 답변을.. 쿨럭..
05:46
19.08.26.
굿맨굿 작성자
슈뢰딩거의고양이
아 이제 전원어답터까지 머리아프게 역시 오디오세계는
발을 딛으면 안되는곳 ㅠ
06:01
19.08.26.
굿맨굿
정확히 아시기 전에는 아무것도 구매하지 마세요... 너무 급하면 체해요...
괜히 이런 저런 정보 드린듯... 일단 dx3 pro 기본으로 써보시고...
다른건 천천히 저절로 아시게 될거에요. 그때 가서 필요한거 구매하세요.
06:04
19.08.26.
굿맨굿 작성자
슈뢰딩거의고양이
암페어가 1a던데 1.5a가 더 좋겠죠? 암페어는 살짝 높으면 좋다고 들었거든요
06:04
19.08.26.
굿맨굿 작성자
슈뢰딩거의고양이
전 급합니다!!! 빨리 빨리 빨리 빨리 ㅎㅎㅎ
농담이구요
그냥 15v1a로 살래요 ㅋㅋ
다들 그렇게 쓰시는거 같은데 걍 묻어가는게 최고..
06:26
19.08.26.

 광보단 usb쪽이 훨씬 좋을껄요. 대역폭 자체가 워낙 널럴하고... 
 케이블의 제약 사항도 거의 없죠. (구부러지면 안된다거나. 요즘세상에 usb1.1 전용 케이블이 존재할리 없으니)

23:46
19.08.25.
굿맨굿 작성자
kalstein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02:29
19.08.26.

pc가 소스인경우, pc의 그라운드와 오디오장비들의 그라운드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야 노이즈 관리가 됩니다. idletalk님께서 말씀하신 조건을 수령예정이신 dac에서 충족을 못한다면 사블의 광출력->dac 이런식으로 spdif 사용하시는게 노이즈관리차원에서 좋습니다. pc가 소스인경우에는 노이즈와의 싸움이라..

06:16
19.08.26.
굿맨굿 작성자
nalsse
크 감사합니다..
근데 사블 zxr에 물려봤는데 노이즈를 못느끼는 저는.. 막귀인거겠죠 ㅠ
06:24
19.08.26.
굿맨굿
메인보드에서 ac97코덱으로 출력되는..거 말고 보통 사운드카드를 통하게 되면 보통 노이즈정도는 다 걸러져서 나옵니다. 못느끼는게 정상입니다 ㅎㅎ;;

ac97코덱 통하는건 아무런 전자파차단 이런게 안되서... 노이즈가 엄청 많이 나오는 경우가 많아요.
06:30
19.08.26.
굿맨굿 작성자
kalstein
아하 그렇군요 ㅋㅋ
06:55
19.08.26.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최종 글
부운영자 모집 공고! 28 영디비 5일 전15:37 1473 +16 Aconitine
6월 활동 이벤트 공지 및 상품 안내! 54 영디비 6일 전15:27 1282 +15 햄최삼
5월 이벤트 당첨자 안내! 30 영디비 6일 전12:52 985 +13 iHSYi
normal
파랑니 16.09.28.07:52 3988 0 영디비
normal
INSsoulJK 16.10.21.15:59 3835 +1 INSsoulJK
normal
KIMBBAM 16.10.30.03:19 3389 0 KIMBBAM
normal
라르손 16.11.17.22:19 5766 0 우아한피조물
image
라르손 16.11.19.01:06 4186 0 영디비
normal
라르손 16.11.21.20:22 9246 0 라르손
normal
라르손 16.11.23.18:18 4831 0 Sirius
normal
헤메 16.09.30.00:32 3857 0 NOX
normal
라르손 16.11.23.00:49 6545 0 라르손
normal
라르손 16.11.23.19:54 4774 0 라르손
normal
라르손 16.11.22.17:45 5746 0 라르손
image
라르손 16.11.27.02:52 9010 0 우아한피조물
normal
라르손 16.11.21.01:31 11556 0 우아한피조물
image
KIMBBAM 16.11.30.11:40 3576 0 KIMBBAM
image
라르손 16.12.03.00:31 4163 0 INSsoulJK
image
KIMBBAM 16.12.05.02:17 4672 0 KIMBBAM
image
라르손 16.12.11.11:54 4016 0 우아한피조물
image
라르손 16.12.15.00:44 4187 0 SoilEars
image
영디비 16.12.14.11:42 4675 0 AP2
normal
라르손 16.11.28.21:11 4194 0 모자
image
라르손 16.12.18.17:27 5647 0 우아한피조물
normal
KIMBBAM 16.12.23.14:40 4093 +2 급식츙
image
라르손 17.01.06.01:17 3176 0 영디비
normal
라르손 17.01.09.20:22 4133 0 KIMBBAM
image
라르손 17.01.16.16:22 4058 0 KIMBBAM
normal
라르손 16.11.24.22:27 11226 0 HurryPotter
normal
KIMBBAM 17.01.07.04:03 3829 0 SoilEars
normal
hhayun 17.02.27.11:07 4301 0 영디비
normal
이상준 17.02.23.07:22 5282 0 이상준
normal
가온뫼 17.03.12.16:53 11584 0 싸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