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포칼 아치 DAC/AMP 하이브리드 증폭 이해가는분 설명좀...

슈뢰딩거의고양이
1219 1 9

루릭님 이 리뷰 올리셨는데요... 
https://www.0db.co.kr/REVIEW_USER/893654#comment_894908  
포칼에서 멋진 DAC/AMP를 내놓은건 알겠는데... 
중간에 전압 증폭과 전류 증폭이라는거에서 헛갈리면서... 하이브리드 증폭은 당최 모르겠어요... 
옴의 법칩에 따라... V=IR, I=V/R 뭐 이런거라 앰프가 볼륨이 올라갈때 전압 증가하는거 맞죠? 
부가설명좀... 전류도 따라 올라가는것 같은데... 

Class A면 일정하게 증폭하고 전기밥 먹으면서 소스 레벨을 -에서 0db로 올리는거 맞죠?

신고공유스크랩
터럭 터럭님 포함 1명이 추천

댓글 9

댓글 쓰기
profile image 1등

증폭 방식에 짬짜면 같은 형식도 있구나~ 하시면 됩니다. ㅎㅎㅎ
단일한 형태로는 Class A, Class B, Class D (T) 방식도 있다 하죠. 

07:45
19.08.28.
터럭

아... 앰프 하나가 Class A랑 Class AB 뭐 이렇게 둘다 지원하는건가 보군요...
제가 쓰는거는 싸구려 Class D 방식이다 보니...ㅎㅎ
켜면 몇분동안 워밍업하면 따끈해진다는거 보니 Class A 방식인데 그걸 추가적으로 바꿀 수 있나 보네요.... 알겠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찾아보니 가격이...ㅎㅎ) 
Voltage, Hybrid 이렇게 쓰여 있어서 진공관이라도 들었나 했어요... 

07:56
19.08.28.
슈뢰딩거의고양이

https://shimans.tistory.com/121
이거보니까... 보통 A랑 B를 섞어서 쓰나보네요. 뭐 저건 비싼녀석이니...조금 더 A로 동작하는 구간이 많을꺼 같긴합니다만 ㅎㅎ

뭐 그래도 귀로 구분은 음. 다만... 아날로그 입력도 가능한 dac/amp 라는게 굉장히 끌리는군요 ㅋㅋ
흔치는 않아서.  물론 살수는 없습니다만.

08:17
19.08.28.
2등

이론적인 부분을 파고들어가면 한없이 어려워지니까, 실용적인 관점에서 간단히 말씀드리면, 
  
전압증폭 앰프 - 출력임피던스 작다
전류증폭 앰프 - 출력임피던스 크다 
 
고로, 헤드폰의 임피던스 특성을 이용하여 음색변화를 꾀하고 싶은경우, 전류증폭앰프를 사용하면 유리합니다.
옛날에 hd600의 부족한 저음을 전류증폭앰프(바쿤같은거)를 붙여서 보완하는 매칭이 많이 쓰였었습니다. 전류증폭방식은 지금도 유효한 방식이지만, 음색변화 측면에서는 아쉬운대로 일반적인 전압증폭앰프에 직결저항좀 크게 붙여도 비슷한 효과를 볼 수는 있습니다. 기술적으로는 전류증폭방식이 트랜지스터앰프의 비교적 높은 왜율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고는 하는데, 워낙 요즘나오는 전압증폭방식의 앰프들의 특성이 좋아서 지금은 취향따라 가면 되지 싶습니다. 뭐가 더 기술적으로 우위에있다고 말하기가 어려워졌습니다.
 
하이브리드 방식이라는게 뭘 의미하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해당 앰프에서는 하이브리드를 선택하면 출력임피던스가 많이 늘어난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08:17
19.08.28.
nalsse

오호... Class A, B, AB, D이런 구분이 아니군요. nalsse 님께 항상 배워갑니다.... 앰프가 종류가 다른가 보네요... 이상해서 Focal Arche 매뉴얼 뒤져보니 Voltage는 전압 증폭이고, Hybrid는 '이 설정은 전압 증폭기 및 전류 증폭기 사이의 특성을 제공합니다.' 이렇게 쓰여 있네요. --;
잠시 폭풍 검색 해보니
https://blog.naver.com/unho6809/221500027501
이런 글도 나오는데... 인터넷에 쓰여 있는 오디오 관련 정보는 좀 걸러 들어야 하는거라...
위 글이 맞다면 저 임피던스 헤드폰 류는 전류증폭형 앰프를 쓰라는 말 같은데...--;

08:36
19.08.28.
슈뢰딩거의고양이
해당글이 틀린건 아닌데, 제가 지나치게 결과적인 측면만 보여드려서..
이어폰/헤드폰 자체의 임피던스 특성을 이용하여 음색의 변화를 꾀하고 싶다면 전류증폭형 앰프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이야기였습니다. 헤드폰자체의 임피던스 변화가 거의 없는 제품들은 영향이 별로 없고요. 전류증폭형 앰프 사용으로 공진점에서 임피던스가 많이 튀는 헤드폰이나 이어폰들의 큰 음색변화가 가능하다는 이야기였습니다.

http://mofi.co.kr/board/brd_mofi_view_n10.asp?pid=30169&lid=100&f_lid=200222&table=brd_10251&brdcat=050&ishtml=n

바쿤 앰프의 설명인데, 이런걸 읽어보면 재밌습니다.

이론적인 부분을 파고들기 시작하면 머리가 아파오게되는데, class a,b 와같은 구분과 전압/전류증폭의 구분은 좀 다릅니다.
http://www.sorishop.com/board/column/board_view.html?no=230
요거랑
http://goldenears.net/board/CT_QnA/1556138
여기 당근님의 댓글을 한번 읽어보셔요. 이해에 도움이 되실것 같습니다.
09:17
19.08.28.
슈뢰딩거의고양이
아 맞다, 말씀하신 링크글에서 저 임피던스 제품들 관련한 이야기는 좀 의아합니다. 그부분은 약간 위험한 발상인것 같습니다. 일반적인 전압구동형이 출력임피던스가 매우 낮기때문에 보통은 저임피던스/고임피던스를 가리지않고 쓰기 편하고 사용성에서 더 유리하다고 봅니다. 전류증폭형 앰프는 인풋소스쪽도 신경을 좀 써야하는 제품들이 있어요. 위에 링크드린 바쿤처럼요.
본문의 앰프가 하이브리드라고 칭하는 것에는 전류구동 소자를 사용하기 편하게 전압구동되는 회로안에 녹여넣었다는 의미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아마 하이브리드로 설정하고 출력임피던스재면 높게나올거에요.
09:27
19.08.28.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최종 글
5월 활동 이벤트 상품 안내! 32 영디비 24.05.16.16:29 1242 +13 첫째부활
normal
파랑니 16.09.28.07:52 3982 0 영디비
normal
INSsoulJK 16.10.21.15:59 3829 +1 INSsoulJK
normal
KIMBBAM 16.10.30.03:19 3386 0 KIMBBAM
normal
라르손 16.11.17.22:19 5763 0 우아한피조물
image
라르손 16.11.19.01:06 4179 0 영디비
normal
라르손 16.11.21.20:22 9236 0 라르손
normal
라르손 16.11.23.18:18 4825 0 Sirius
normal
헤메 16.09.30.00:32 3854 0 NOX
normal
라르손 16.11.23.00:49 6536 0 라르손
normal
라르손 16.11.23.19:54 4772 0 라르손
normal
라르손 16.11.22.17:45 5741 0 라르손
image
라르손 16.11.27.02:52 9005 0 우아한피조물
normal
라르손 16.11.21.01:31 11549 0 우아한피조물
image
KIMBBAM 16.11.30.11:40 3574 0 KIMBBAM
image
라르손 16.12.03.00:31 4158 0 INSsoulJK
image
KIMBBAM 16.12.05.02:17 4663 0 KIMBBAM
image
라르손 16.12.11.11:54 4012 0 우아한피조물
image
라르손 16.12.15.00:44 4185 0 SoilEars
image
영디비 16.12.14.11:42 4672 0 AP2
normal
라르손 16.11.28.21:11 4192 0 모자
image
라르손 16.12.18.17:27 5640 0 우아한피조물
normal
KIMBBAM 16.12.23.14:40 4091 +2 급식츙
image
라르손 17.01.06.01:17 3173 0 영디비
normal
라르손 17.01.09.20:22 4132 0 KIMBBAM
image
라르손 17.01.16.16:22 4054 0 KIMBBAM
normal
라르손 16.11.24.22:27 11180 0 HurryPotter
normal
KIMBBAM 17.01.07.04:03 3826 0 SoilEars
normal
hhayun 17.02.27.11:07 4300 0 영디비
normal
이상준 17.02.23.07:22 5278 0 이상준
normal
가온뫼 17.03.12.16:53 11580 0 싸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