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사용기

WF-1000xm5 일주일 사용기

eoeoe
207 7 2

20240521_131115.jpg

 

QC 울트라 이어버즈 방출하고 그돈으로 WF-1000xm5를 업어온후 사용기입니다. 

워크맨 2연속 고장으로 소니까가 될뻔했지만, 무상수리에 마음이 풀려서 써봅니다.

 

 

 

 

 먼저 다른 리뷰에서 제일 많이 다뤄지는 노캔과 연결성부터 써보겠습니다.

 

일단 연결성은 극과 극입니다. 음질을 위해 LDAC을 켜면 실외에서 10초에 한번씩 살짝 끊깁니다. 

어떤분들은 LDAC 모드에서 고개만 돌려도 끊긴다 라고 하시는데, 아마 고개를 안돌렸더라도 그 타이밍에 끊겼을거라고 말할수 있을정도로 엄청나게 끊깁니다. 

AAC 사용시엔 그냥 평범합니다. 실외에선 사람이 많을때나 신호등 근처에서나 한두번 끊기고, 거슬릴정도로 자주 끊기진 않습니다. 

그런데 le오디오 모드를 켜고 LC3 코덱 사용시엔 거의 안끊겼습니다.

멀티포인트를 포기하고, 음질을 살짝 타협해 le오디오를 켠다면 아주 쾌적해집니다. (dsee 까지 얹어주면 조금 더 나아지지만 무조건 권하고싶진 않습니다, 후술)

 

다음은 노캔인데요, 업계 최고 수준이라는말은 좀 과장입니다. 노캔이 강력한편은 맞지만 폼팁 기준으로도 실리콘팁을 장착한 qc울트라 이어버즈에 비해 약했습니다.

또 실리콘팁으로 바꾼다면 차음성 감소로 인해 노캔성능이 더 떨어지고요. 물론 보스에 비해 떨어진다는거지 구리다는건 아닙니다. 폼팁 기준 소음이 평범한 수준인 7호선 기준에선 이정도로 충분합니다.

(더 시끄러운 다른 노선에선 어떨지 모르겠네요.)

 

 

음질과 음색 이야기도 빼놓을수 없는데요, 아쉬운점은 몇가지 있었지만, 무선제품이고 대중성을 위해 어쩔수 없었다라는 점을 생각해보면 납득이 되는 수준이고, 무선제품중엔 음질이 굉장히 좋은편이라고 말할수 있을것 같습니다.

 

전 ie600과 n5005를 메인으로 사용하면서 꽤 플랫하지만 고음이 잘나오는 이어폰에 익숙한 상태인데요, 이런 귀 상태로 wf1000xm5를 사용하니 저음의 비중이 크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대중성을 노리려면 당연히 저음이 강한게 좋기때문에 납득이 되긴 합니다만 개인적인 사심으론 아쉽네요. 물론 eq 프리셋에서 트레블 부스트를 켜고 dsee 켜면 만족스러운 정도로 고음이 올라옵니다.

 

먼저 저음은 양이 많습니다. 그렇지만 많이 나오는 저음을 잘 묶어주진 못하고 살짝 퍼집니다. 

고음 해상력은 ldac을 켰을때는 굉장한데요, 기본 eq 기준으로 고음의 소리가 작아도, 자세히 들어보면 소리의 엣지가 잘 살아있습니다.

그렇지만 노즐의 반을 막고있는 마이크 때문인지 초고음은 아쉬웠습니다. eq로 올려도 초고역이 잘 안나옵니다. 이 초고역이 안나와서인지 치찰음은 그냥 없는수준이었습니다. eq로 고음을 올린상태에서도 치찰음은 거의 안느껴져서 좋았습니다.

 

 

부가기능인 dsee extreme에는 좀 할말이 있는데요, 소니 음향기기에서 음원을 업스케일링하는 dsee의 기능 자체의 목적은 제가 아주 좋아하고, 무선제품에 탑재되는 extreme의 실제 성능도 꽤 좋지만 아주 심기가 불편한게 하나 있습니다.

워크맨 시리즈에 탑재되는 dsee ultimate는 정말 순수하게 음원을 업스케일링만 하고, 주파수응답 특성은 거의 건드리지 않아서 편하게 쓸수 있습니다. 소니 뮤직센터 앱으로 갤럭시에서도 쓸수있는 dsee hx도 성능은 떨어지지만, 주파수응답 특성을 건들진 않았고요. 그렇지만 dsee extreme은 고음강조가 함께 들어갑니다. 일반인은 고음이 강조되기만 해도 해상력이 좋다고 평가를 하기도 한다는점을 노린 의도적인 튜닝같은데요, wf1000xm5가 기본적으로 저음형 이어폰이 아니었다면 전 아마 이 고음강조를 욕했을겁니다. 그렇지만 그냥 고음을 대충 올린건 아닌지, 5밴드 이퀄라이저보다는 좀 자연스럽게 고음이 올라갑니다. 워크맨시리즈의 dsee보다는 약하지만 압축당한 소리의 엣지를 살리는 느낌도 적지만 확실이 있었고요. 

 

 

전 아마 이 제품을 방출하진 않고 실내에서 노캔필요할때만 쓸것 같고요, 메인으로 쓰진 않을것 같습니다. 

 

 

 

 

+아쉽지만 오늘은 플레이리스트가 없습니다 ㅠㅠ

eoeoe
23 Lv. 11424/11520EXP

이어폰

Sennhiser IE600

AKG N5005

Sony WF-1000XM5

JBL Tour Pro 2

Galaxy Buds 2 pro

Glalxy Buds +

Bose QC ultra earbuds

 

헤드폰

Beyerdynamic DT770 Pro X Limited Edition

AudioTechnica MSR7B

JBL Tour One M2 

 

스피커

PSB Imagine X2T

JBL Flip 6

 

DAC/앰프

Sony NW-ZX707

FiiO KA2

Bluesound Powernode Edge

Qudelix 5k

FiiO BTR7 

신고공유스크랩
플랫러버 플랫러버님 포함 7명이 추천

댓글 2

댓글 쓰기
profile image

LEAudio는 비트레이트가 AAC보다도 낮더라고요. 만든 이유가 아마도 특정 회사에 라이센스 비용 없고, 전원을 덜 먹는 concept인 것 같습니다. 따라서 연결성은 가장 좋을 수 밖에 없을 겁니다. 

13:54
24.05.21.
eoeoe 작성자
purplemountain
아 이말을 빼먹었네요. le오디오로 사용한날은 배터리가 굉장히 적게 닳았어요
14:49
24.05.21.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