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사용기

SF드라이버를 사용한 블루투스 이어폰 PBH-400 리뷰

Kanba Kanba
3132 1 2

 
INTRO 
 Screenshot 2018-07-30 at 22.33.58.jpg

 

안녕하세요 오늘 리뷰 할 이어폰은  파트론에서 나온 PBH-400이라는 블루투스 이어폰입니다. 
파트론은 삼성전기에서 분사한 브랜드로 주로 안테나, 카메라 모듈 등 각종 센서를 삼성 스마트폰 모델에 공급하는 협력사입니다. 최근엔 스마트밴드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들 또한 만들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파트론 PBH-400모델에는 요즘 핫한 돌피니어나 디락 이어폰에 사용되었던 드라이버인 SF 드라이버가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두 제품들은 저렴한(?) 가격대에 좋은 소리를 들려주는 제품들로 매우 유명한 이어폰입니다. 몇몇 음향 커뮤니티들에서는 디락이어폰 판매가 시작될 때 커뮤니티 페이지의 대부분이 디락 구매 인증글이기도 하였습니다. 저도 두 제품들을 매우 좋게 들어서인지 음질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신뢰가 가는데요,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ACKAGE 
  
partron1.png 
 partron2.png

파트론의 패키징은 일반 넥밴드 타입 블루투스 이어폰과 비슷합니다. 
전면은 플라스틱으로 제품의 외형이 잘 보이도록, 후면과 측면은 제품에 대한 설명, 스펙 그리고 파트론 Reader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QR코드로 제공되었습니다, 

패키징에는 SF 드라이버에 대한 설명은 따로 없지만 iWS Sound(Infinite Wireless Signature sound)라고 전면에 적혀있습니다. 전문적인 RF 부품 제조사여서 그런지 PBH-400또한 안정적인 연결이 가능하다는 것 같습니다. 연결성 면에서 신뢰가 갑니다. 
  

스크린샷_2018-07-24_오후_7.49.17.png

다행히(?) 파트론 스토어 홈페이지에는 SF 드라이버에 대한 설명이 있었습니다. 
 

SPECIFICATIONS  
  스크린샷_2018-07-24_오후_7.41.51.png

파트론 스토어 홈페이지에 있는 PBH-400의 스펙입니다. 충전시간은 2시간 정도지만 8시간 연속 음악 재생이 가능하다고 적혀있습니다. 사용 환경에 따라 다르겠지만, 개인적으로 배터리에 대해서는 개인적으로 매우 만족하면서 사용하였던 것 같습니다.  
  
  
 
UNBOXING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2.png

*포샵초보입니다..ㅠㅠ

구성품은 PBH-400  / 세 가지 사이즈의 실리콘 이어 팁 / 1쌍의 폼 팁 / 5핀 충전 케이블 / 설명서 
이어팁 만큼은 넉넉하게 준 것 같습니다 :)  
  

partron3.png

 매우 가벼운 넥밴드 타입 블루투스 이어폰 
  
 PBH-400의 무게는 20g으로 가벼운 편입니다. 보통 넥밴드 블루투스 하면 LG 사의 톤플러스와 같은 외형을 떠올리실 텐데 PBH-400은 넥밴드 부분이 매우 슬림하여 정말 가볍습니다. 덕분에 장시간 걸고 있어도 부담감이 없습니다. 다만 이어폰 착용감의 경우에는 하우징이 디락과 마찬가지로 완전 밀폐형입니다. 덕분에 차음성은 디락과 마찬가지로 좋은 편이지만 이도 내 압력 또한 디락과 마찬가지로 있는 편입니다.

넥밴드 부분에는 초 탄성 형상 기억 합금을 적용하여 내구성을 높였습니다. 파손에 대한 걱정은 덜한 것 같습니다.

케이블은 플랫 케이블을 채택하였습니다. 플랫 케이블은 선꼬임은 덜하겠지만 케이블에 무언가가 접촉한다면 터치 노이즈가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물론 유선 이어폰처럼 휘날리는 그런 길이의 케이블이 아니기 때문에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DSC01017.png

 

리모컨은 매우 다루기 쉬운 3버튼 리모컨입니다. 
짧게 누르면 음량 조절과 일시정지와 통화 버튼을 // 길게 누르면 다음 곡, 이 전곡 그리고 전화를 거절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그 밖에도 
- 버튼과 일시정지 버튼을 짧게 누르면 ( 일반 > 저음 강화 > 고음 강화 ) 순서로 EQ를 바꾸실 수 있습니다.
+ 버튼과 일시정지 버튼을 누르시면 배터리양을 알 수 있습니다.( FULL / MID / LOW)
-버튼과 + 버튼을 누르시면 언어를 바꾸실 수 있습니다. ( 영문>중국어>일본어>한국어 순서 )
  
  
partronmag.png

 

하우징 뒷면에는 마그네틱 헤드를 탑재하여 이어폰 선 정리를 쉽게 해줍니다.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을 때 이어폰이 휘날리지(?) 않게 해주기도 하고요, 원모어 C1002처럼 한쪽은 오목하고 한쪽은 볼록하여 결합이 쉽습니다. 
  
 
QC_aptX_Vertical_Black_4754.png

 CD 급 음질의 APT-X 코덱 지원 
 
 스펙표에서도 볼 수 있었듯 PBH-400은 APT-X 코덱을 지원합니다. APT-X 코덱은 CD 급 음질까지 지원하는 코덱으로 가장 대중화되어있는 코덱이기도 합니다. 또한, 고음질을 구사하기에 유리하고 전송 딜레이가 낮은데요, PBH-400으로 유튜브를 시청한 결과 개인적으론 딜레이 시간을 잘 못 느꼈습니다만
연결이 불안정한 순간은 몇 번 있었습니다. 
  
  

KakaoTalk_20180730_221742807.png

 

다른 파트론 블루투스 이어폰들과 마찬가지로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인 파트론 리더 어플을 지원합니다. (경쟁업체라 그런지 아이폰은 어플이 없네요)  
Partron Reader 어플은  카카오톡과 메시지를 비롯하여 SNS 알림이나 메시지를 읽어주는 어플리케이션입니다. 운전 중에 메시지를 확인하셔야 하는 분들에게는 꽤 좋은 기능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듣다 보면 꽤.. (?) 재밌는 것 같아요.

....;; << 이걸 점점점점 세미콜론 세미콜론.... 이렇게 읽는..  
 

메시지가 많이 오는 휴대폰보다는 업무용 휴대폰에서 사용하시는 것이 가장 바람직해 보입니다. 

 
 Sound  
 
 우선 소리에 관한 부분은  매우 주관적인 부분임을 알려드립니다. 
PBH-400은 저음과 고음이 약간 강조되어 디락과 비슷한 약V자 형태입니다
측정치:헤메님 제공 
 
측정치 보는 법 

 

KakaoTalk_20180731_170959016.png

SF 드라이버를 사용한 이어폰답게 좋은 측정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톤 밸런스가 좋은 이어폰인 것 같습니다. 

저음은 풍부하게 부스팅 되어있습니다. 블루투스 사용 특성상 아웃도어에서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적당하게 강조되어있다고 생각합니다. 디락 이어폰에 비해서 극저음 영역인 20~60Hz 가 약간 깎여 있어 그런지 디락이어폰 보다는 묵직한 저음이라는 느낌은 들지 않네요

중음역대는 저, 고역대와는 다르게 강조되지는 않았지만, 그렇다고 흠잡을만한 부분은 없습니다. 다만 치찰음과 같은 자극적인 보컬 사운드를 좋아하시는 분들에게는 다소 심심하다고 느껴지실 수 있으나 중음역대 자체의 완성도는 매우 좋은 편입니다.

고음역대는 디락과 비슷하게 느껴집니다. 고음역대는 물론 초고음역대까지 대역폭이 넓어 답답하지 않고 시원합니다.


  KakaoTalk_20180731_170958313.png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PBH-400에는 3가지 모드의 EQ가 있다고 말씀드렸었는데요, 
차이라면 차이겠지만.. 그렇게 차이가 많이 나지는 않아 보입니다.
 

Outro  
 
 PBH- 400은 SF 드라이버를 탑재한 넥밴드형 고음질 블루투스 이어폰입니다. 소비자가는 79,000원으로 다른 넥밴드형 블루투스 이어폰들과 비슷한 가격대로 판매되고 있으며, 넥밴드 타입이지만 와이어 밴드 타입처럼 유연하고 가벼운 것이 특징이기도 합니다. 파트론 리더 어플 또한 지원하여 운전 중에 업무를 보시는 회사원분들께서는 업무용으로 구매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색감은 화이트/로즈 골드 색상이 정말로 이쁘지만, 
제품을 원래 상태로 오래 유지시키시고 싶으시다면, 또는 관리를 잘 하지 못하는 분들이라면 블랙/실버 색상이 좋을것 같습니다.

 

신고공유스크랩
터럭 터럭님 포함 1명이 추천

댓글 2

댓글 쓰기
profile image

아 저래서 많은 분들이 EQ적용을 한건지 안한건지 헷갈린다고 하셨구나.. ㅎㅎㅎㅎㅎ  리뷰 감사합니다.

13:16
18.08.03.
profile image
Kanba 작성자
PoorHeadphile
감사합니다!

EQ기능이 있는데 차이가 별로 없는것 같아서 측정해보니 그다지 차이가 없었습니다.
21:56
18.08.03.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