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ist
  • Down
  • Up
  • Write
  • Search
지식과팁

미디어위키 엔진과xampp로 위키만들기

eoeoe
237 8 10

먼저 해야하는것은 포트포워딩과 도메인 확보입니다.

포트포워딩은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방법이 천차만별입니다.

가정이라면 집의 공유기 제조사+포트포워딩 방법을 구글링하시고, 80, 443번 포트만 열어놓고 시작하시면 됩니다.

 

도메인 주소가 없으시다면 임시적으로 내도메인.한국 이런 무료 도메인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무료 도메인으로는 여러 제약이 있으니 나중에 도메인을 구입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제일 흔한 com, net, xyz 이런 도메인 비용들은 1년에 2만원 내외입니다.)

https://xn--220b31d95hq8o.xn--3e0b707e/

 

 


 

 

 

이제 위키를 돌려줄 데이터베이스와 서버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https://www.apachefriends.org/

 

여기에서 먼저 xampp를 받아 설치해주세요.

 Screenshot_20250311_100505_Microsoft Remote Desktop.png

 

곰플레이어 설치랑 반대로, 옵션 아무것도 건드리지 말고 전부 기본값으로 next 광클하시면 됩니다.

 

 

Screenshot_20250311_105222_Microsoft Remote Desktop.png

 

설치 완료후 제어판을 실행하고, Apache, MySQL 두개를 실행해줍니다.

 

 

 

 

 

 

이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시작합니다.

브라우저를 켜고, localhost/phpmyadmin으로 들어가줍니다. 

Screenshot_20250311_105313_Microsoft Remote Desktop.png.jpg

 

 접속되었다면 사용자 계정 탭을 찾아 비밀번호 설정을 시작합니다.

안해도 위키 작동에 문제는 없지만, 보안 문제가 생길수 있습니다.

 

 

아무튼 저 창에서 권한 수정을 눌러줍니다. (5개 다 해야합니다 ㅠ)

 

 

 

 

 

 

Screenshot_20250311_105321_Microsoft Remote Desktop.png.jpg

 

change password 클릭

 

 

 

 

Screenshot_20250311_105344_Microsoft Remote Desktop.png.jpg

비밀번호를 설정해줍니다. 

암호 생성을 누르면 알아서 랜덤 비밀번호를 만들어줍니다.

비밀번호는 이따가 몇번 더 사용해야하니 메모해 보관해두세요.

 

 

 

 

 

 

 

Screenshot_20250311_105406_Microsoft Remote Desktop.png.jpg

 그대로 새로고침하면 phpmyadmin이 연결을 거부합니다.  

아까 제어판으로 돌아가 Apache 옆 버튼중 Config를 고르고, browse phpmyadmin을 선택해줍니다.

 

 

 

 

 

Screenshot_20250311_105525_Microsoft Remote Desktop.png.jpg

열리는 텍스트 문서에서 저 부분에 아까 만든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저장해주고, 제어판에서 Apache를 재시작합니다 (Stop 클릭, 다시 Start 클릭)

 

 

 

 

 

Screenshot_20250311_105553_Microsoft Remote Desktop.png.jpg 

 다시 정상적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접속됩니다.

 

데이터베이스 탭에서 새 데이터베이스 만들기 창에 데이터베이스 이름을 입력합니다. 

원하는 이름 아무거나 입력해도 상관은 없습니다

 

 

 

 

Screenshot_20250311_100740_Microsoft Remote Desktop.png.jpg

https://www.mediawiki.org/wiki/Download/ko

 

미디어위키 홈페이지에서 미디어위키 엔진 파일을 받아줍니다.

 

 

 

 

 

 

Screenshot_20250311_110128_Microsoft Remote Desktop.png.jpg

다운받는동안 xampp 설치경로/php에서 php.ini 파일을 찾아 메모장으로 열어줍니다.

 

 

Screenshot_20250311_110202_Microsoft Remote Desktop.png.jpg

컨트롤+F로 intl을 찾아준뒤

 

 

 

 

Screenshot_20250311_110212_Microsoft Remote Desktop.png.jpg

 앞부분 ;를 제거해 활성화해줍니다.

 

 

 

 

 

 

 

 

Screenshot_20250311_105658_Microsoft Remote Desktop.png.jpg

그 다음 다 받아진 미디어위키 파일을 xampp/htdocs/폴더에 풀고, 폴더명을 바꿔줍니다.

 

폴더명에 따라 주소가 정해지는데, 바꾸지 않으면 

example.com/mediawiki-1.43.0/index.php 이런 길고 괴상한 주소가 됩니다.

 

알아보기 편하게 wiki 또는 w로 폴더명을 바꿔줍니다.

 

 

 

Screenshot_20250311_105838_Microsoft Remote Desktop.png.jpgScreenshot_20250311_105759_Microsoft Remote Desktop.png.jpgScreenshot_20250311_105806_Microsoft Remote Desktop.png.jpg 그 뒤 htdocs 폴더의 index.php 파일에서 사진과 같은 부분을 아까 바꾼 폴더명으로 바꿔줍니다.

폴더명이 wiki라면 wiki로, w라면 w로 바꿔주시면 됩니다.

 

 이제 다시한번 제어판으로 돌아가 Apache를 재시작해주고, 브라우저를 열어 localhost/wiki (폴더명) 으로 접속해줍니다

 

 

 

 

 

 

 

Screenshot_20250311_120549_Microsoft Remote Desktop.png.jpg

complete the installation을 누릅니다.

 

 

 

 

 

 

Screenshot_20250311_120601_Microsoft Remote Desktop.png.jpgScreenshot_20250311_120638_Microsoft Remote Desktop.png.jpg

언어 한국어로 설정하고, next 로 넘겨줍니다. 

 

 

 

 

 

Screenshot_20250311_120747_Microsoft Remote Desktop.png.jpg

데이터베이스 이름에 아까 만든 데이터베이스 이름, 사용자 계정에 아까 정한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Screenshot_20250311_120801_Microsoft Remote Desktop.png.jpg

체크하고 넘깁니다.

 

 

 

Screenshot_20250311_120901_Microsoft Remote Desktop.png.jpg

이제 위키 이름과 관리자 계정 아이디 비밀번호를 정하고, 

꼭 더 많은 질문을 물어보세요를 선택합니다.

제가 그냥 위키를 설치하기 눌렀다가 데이터베이스 두번날리고 재설치했습니다.....

 

 

 

 

 

 

Screenshot_20250311_120927_Microsoft Remote Desktop.png.jpg

열린 위키, 계정만들기 필요, 승인된 편집자만중 원하는것을 고릅니다.

열린 위키가 제일 자유롭긴 하지만, 분탕이 너무 쉬워지니 최소한 계정만들기 필요정도는 하는게 좋습니다.

 

 

 

 

 

Screenshot_20250311_120944_Microsoft Remote Desktop.png.jpgScreenshot_20250311_121036_Microsoft Remote Desktop.png.jpg

체크박스 전부 활성화합니다.

 

제가 하나씩 보면서 음 이건 필요없을듯? 하고 몇개 뺏다가  데이터베이스 날리고 재설치했습니다.....

 

 

 

 

 

 

 

Screenshot_20250311_121115_Microsoft Remote Desktop.png.jpg

로고를 설정할수 있습니다. 안해도 되고, 나중에 바꿀수 있으니 일단 넘어갑니다.

계속 ->

 

 

 

 

Screenshot_20250311_130032_Microsoft Remote Desktop.png.jpg

 

 계속을 누르면 localsettings.php가 다운로드됩니다.

 

 

 

Screenshot_20250311_130122_Microsoft Remote Desktop.png.jpg

htdocs/wiki 폴더에 넣어주고, 메모장으로 열어 몇가지 설정을 만질겁니다.

 

 

 

 

Screenshot_20250311_130457_Microsoft Remote Desktop.png.jpg

외부 접속을 위한 도메인을 넣어줍니다. 

 

 

 

 

Screenshot_20250311_130520_Microsoft Remote Desktop.png.jpg

로고와 패비콘 설정은 먼저 htdocs/wiki/resources/assets 폴더에 본인의 로고, 패비콘을 넣어주시고

 

 

 

 

 

 

 

 

Screenshot_20250311_130541_Microsoft Remote Desktop.png.jpg

localsettings에서 선택된곳을 지우고 새 로고의 파일명으로 바꿔주시면 됩니다. (같은 파일로 아랫줄도 쓸수 있습니다.)

 

 

 

 

Screenshot_20250311_130700_Microsoft Remote Desktop.png.jpg

패비콘은 맨 아랫줄에

$wgFavicon = "$wgResourcesBasePath/resources/assets/파일명";

을 추가하시면 됩니다.

 

 추가 설정 코드들도 추가해줍니다. (선택사항. 안해도 문제는 없습니다.)

 

 $wgExternalLinkTarget = '_blank';

외부 링크로 갈때 새창으로 열게 만드는 옵션입니다.

 

$wgAllowExternallmages = true;

외부 이미지 허용 옵션입니다,

 

 

$wgUseFileCash = true;

$wgShowlPinHeader = false;

$wgFileCacheDirectory = "$IP/cache";

웹페이지 캐싱 옵션입니다. 

변경사항이 없는 페이지에 다시 요청이 들어오면, 데이터베이스를 읽어 페이지를 만들지 않고, 미리 저장된 페이지를 띄워줍니다.

데이터베이스를 건드리는 횟수가 줄어들어 사이트 최적화에 도움이 됩니다.

 

wfLoadExtension( 'MobileFrontend');

(선택사항) 모바일 유저를 위해 다른 ui를 보여줄지 설정입니다.

사용하시려면 localsettings에 저 코드 한줄 넣으시고,

htdocs/wiki/extentions 폴더에

https://www.mediawiki.org/wiki/Special:ExtensionDistributor/MobileFrontend

이거 다운받아서 압축풀고 넣으셔야합니다.

 

 

 

 

 구글 애드센스 넣는법은 간단합니다.

 

htdocs 폴더에 ads.txt 만들고, 애드센스 사이트 확인에서 넣으라는 문자열 복붙,

애드센스에서 광고 단위 기준 만들고

 

이후 localhost.php 파일 맨 밑에

 

 

$wgHooks['BeforePageDisplay'][] = function( &$out, &$skin ) {
    $adsense_script = '<script async src="https://pagead2.googlesyndication.com/pagead/js/adsbygoogle.js?client=ca-pub-숫자아이디" crossorigin="anonymous"></script>';
    $adsense_code = '
        <ins class="adsbygoogle"
             style="display:block"
             data-ad-client="ca-pub-숫자아이디"
             data-ad-slot="광고단위 숫자 아이디"
             data-ad-format="auto"
             data-full-width-responsive="true"></ins>
        <script>(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script>';

    $out->addHeadItem('adsense-script', $adsense_script);

    
    $out->addHTML('<div class="adsense-container" style="text-align:center; margin: 10px 0;">' . $adsense_code . '</div>');

    return true;
};

 

 

이거 넣으면 됩니다.

 

eoeoe
71 Lv. 102969/103680EXP

image.png

20240912_145707.jpg

 

 

Earphones 

Sennhiser IE600

AKG n5005

Sony WF-1000xm5

JBL Tour Pro 2

0DiBi X Tripowin Vivace

Simgot EA500LM

Galaxy Buds2 Pro

Galaxy Buds+

Bose QC Ultra earbuds

 

Headphones

Audeze LCD-X 

Beyerdynamic DT770 Pro X Limited Edition 

AudioTechnica ATH-Msr7b

JBL Tour Pro 2

Corsair HS80

 

Speakers

PSB Imagine X2T 

JBL Flip 6

 

DAP | DAC/AMP

Drop + THX aaa 789

Fiio KA2

ifi audio xDSD Gryhon

Bluesound Powernode Edge 

Fiio Ka17
Roseselsa RS9039

Sony Walkman NW-ZX707

Qudelix 5k

Fiio BTR7

 

Playlist

 

 

ReportShareScrap
idletalk idletalk님 포함 8명이 추천

Comment 10

Comment Write
profile image
우와 멋지고 정성들인 팁!
개인 위키를 오프라인으로 구축할까 고민중인데 잘 봤습니다. 감사드립니다 ^^
04:22
4일 전
eoeoe Developer
로드러너
가볍게 오프라인으로만 사용하실거면 Obsidian 노트도 한번 알아보세요.
위키식 내부 문서간 링크 제대로 지원하고, 그냥 폴더 하나만 지정하고 쓰는 프로그램이라 훨씬 손이 덜가고 안정적입니당
09:02
4일 전
profile image
그만해요. 이제 잠 깼다구요.. ㅜ ㅜ
08:58
4일 전
You do not have permission to access. Login
WYSIWYG

Report

"님의 댓글"

Are you sure you want to report this comment?

Comment Delete

"님의 댓글"

I want to Are you sure you want to delete?

Share

Permali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