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ist
  • Down
  • Up
  • Write
  • Search
후기

[Review] iFi NEO iDSD2 DAC/Amp - For Head-Fi, for Desk-Fi, and for Hi-Fi

Underground Underground
296 7 2

※ 본 제품은 사운드캣으로부터 구입했으며,

내용에는 간섭 없이 자유롭게 작성되었습니다. (내돈내산 리뷰)


iFi Audio NEO iDSD2

-For Head-Fi, for Desk-Fi, and for H-Fi

IMG_0680.jpeg.jpg 

Prologue

iFi Audio는 영국 오디오 제조사인 Abbingdon Music Research (AMR)에서 파생된 브랜드로 2012년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주로 Portable DAC/Amp와 Desk-Fi를 위한 기기와 액세서리를 개발하여 오디오파일들의 많은 지지를 받아왔습니다.

Spec이 훌륭하고 가성비는 높지만 무색무취한 음색의 Chi-Fi 브랜드의 비중이 큰 Portable/Desk-Fi 시장이기에, British Sound를 추구하는 iFi의 존재가 특별하게 느껴집니다. iFi에서는 3세대까지 나온 Hip DAC과 Zen DAC/CAN 시리즈가 널리 알려져 있으며, 거쳐블(?)이란 신조어를 만들어 낸 Diablo2도 애호가들의 뇌리에 깊이 각인되기도 했습니다. 이제는 Valkyrie에게 그 왕좌가 넘겨지며 새로운 역사가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DSC_5449.jpeg.jpg

iFi Audio의 스테디셀러 Hip DAC3

 

저는 iFi 제품군에서 NEO iDSD2 DAC/Amp를 재조명하고 싶습니다. NEO 시리즈는 2세대까지 출시되며 전 세계 유저들의 열렬한 지지를 받았지만, 국내에서 인지도는 다소 부족한 점이 못내 아쉬웠기 때문입니다. 하위 거치형 기기인 Zen 시리즈와 Portable 끝판왕인 Diablo2에 밀리고, 더 위로는 플래그쉽인 iCAN Phantom이 있어 포지션이 애매하게 보였는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DAC, Headphones Amp와 Pre Amp을 아우르는 3-In-One Solution을 희망하는 유저는 분명히 존재합니다. 아울러 5,551mW에 달하는 고출력과 Lossless Bluetooth Receiver 기능이 있으며, 10M Clock 입력을 비롯한 업그레이드 잠재력을 지닌 힘순찐의 매력도 있는 다목적 기기입니다.

 

DSC_9479.jpeg.jpg 

 iFi NEO iDSD2 DAC/Amp All-In-One

 

Unboxing & Design

- Unboxing

NEO iDSD2는 다른 iFi Audio와 마찬가지로 화이트를 배경으로 한 박스 아트를 지니고 있습니다. 좌측 상단에는 Ligature(§)로 연결된 회사명이 프린트되어 있고, 우측 중앙에는 제품 사진이, 좌측 하단에는 제품명이 적혀 있습니다.

§ Ligature(리거처) : 두 개 이상의 글자가 합쳐져 하나의 글자 모양으로 된 것을 뜻합니다. 합자라고도 불리며, 인쇄와 필기에서 사용됩니다.

 DSC_9554.jpeg.jpg

 iFi NEO iDSD2 박스 전면

 

제품 박스 상단을 자세히 보면 마치 영화 매트릭스의 포스터처럼 일본어가 세로 글쓰기로 적혀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투명한 양각으로 쓰인 글씨라 조명에 따라 오묘하게 반응합니다.

DSC_9459.jpeg.jpg

iFi NEO iDSD2 박스 전면 클로즈업

 

박스 후면에는 제품의 기능과 Spec이 자세히 명기되어 있습니다.

DSC_9553.jpeg.jpg

 iFi NEO iDSD2의 박스 후면

 

 박스 측면을 보면 5,551mW라는 헤드폰 출력에서 가슴이 웅장해집니다. 그리고 iFi의 아이덴티티인 Burr Brown Multi-Bit를 비롯한 주요 스펙이 적혀 있습니다.

DSC_9456.jpeg.jpg

 iFi NEO iDSD2의 박스 측면

 

겉 박스를 조심스레 옆으로 밀면 iFi 로고가 중앙에 큼직하게 각인된 이너 박스가 나옵니다. Apple의 패키징을 보는듯한 극도의 심플함이 마음에 들었습니다.

DSC_9460.jpeg.jpg 

 iFi NEO iDSD2의 이너 박스

 

이너 박스 커버를 위로 들어 오픈하면 드디어 NEO iDSD2를 만나볼 수 있습니다. 기기가 흔들림 없도록 잘 포장되어 있으며, 후면부 단자 부분은 별도의 고밀도 스펀지로 보호하고 있습니다.

DSC_9265.jpeg.jpg 

 이너 박스 정중앙에 있는 iFi NEO iDSD2

 

 NEO iDSD2 본체를 들어내면 하단에도 별도의 박스가 있는데, 두 개의 박스와 Active Noise Cancellation 기능을 갖춘 iFi 사의 iPower2 어댑터가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매우 반가운 부분이었습니다.

DSC_9282.jpeg.jpg 

 iFi NEO iDSD2 하단 박스

 

NEO iDSD2의 구성품으로써 Quick Set-Up 가이드, iFi 스티커, 3M 범폰, USB 케이블(B-to-A), RCA 케이블, 3.5mm-to-6.35mm 어댑터, 수직 스탠드, 그리고 리모컨이 동봉되어 있습니다. iFi답게 각종 케이블 등 액세서리 퀄리티도 별매품을 구입하지 않아도 될 정도로 수준급입니다. 다만, USB(B-to-A)는 길이가 짧고 출력 단자가 A 타입인 점은 다소 아쉬웠습니다. 아마도 데스크톱 PC와의 연결을 염두에 둔 구성이 아닌가 합니다.

DSC_9547.jpeg.jpg

iFi NEO iDSD2의 구성품

 

 

- Design

사진으로 접한 iFi NEO iDSD2는 'Neo(새로운, 현대적)'함을 넘어 ‘Avant-Garde(전위적)'에 가깝다는 인상이 낯설었습니다. 하지만 실물로 보니 어색함보다는 신선함이 더 크게 다가왔는데요, NEO iDSD2는 알루미늄 소재를 바탕으로 견고함과 기능성을 강조한 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DSC_9332.jpeg.jpg

 iFi NEO iDSD2의 전면 디자인

 

전면 패널 중앙부는 볼륨 노브를 중심으로 음각으로 파여져 있는데, 나이테와 같은 패턴을 넣어 Sandblast 처리된 섀시와 대비를 이루고 있습니다. 볼륨 노브에는 Circular Brushing으로 마감되었으며, 측면에는 Chamfering과 Knurling이 동시에 되어 있습니다.  

DSC_9280.jpeg.jpg

 iFi NEO iDSD2 볼륨 노브 주변의 디테일

 

반면 섀시의 오른쪽에는 각종 버튼과 헤드폰 출력 단자가 있으며, Sandblast 마감으로 차분한 이미지를 보이고 있습니다. 전작인 NEO iDSD1에서 추가된 XBass와 XSpace 기능은 전원 버튼 주위에 배치하여 잘 정돈했습니다. 그리고 4.4mm(BAL)와 6.35mm(SE) 헤드폰 출력 단자는 골드 컬러 파트로 마감하여 디자인 포인트를 주었습니다.

DSC_9278.jpeg.jpg

 iFi NEO iDSD2의 버튼/출력부 디테일

 

 NEO iDSD2의 후면 부를 보면 3-In-One 구현을 위한 각종 단자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른쪽부터 XLR/RCA 출력, 아날로그 동축 입력, 외부 Clock 및 디지털(동축, 광, USB) 입력, 그리고 DC 전원 입력 단자가 배치되어 있습니다. 외부로 돌출된 일부 단자들은 산화 방지를 위해 플라스틱 캡이 씌워져 있습니다.

DSC_9330.jpeg.jpg

 iFi NEO iDSD2의 후면

 

NEO iDSD2는 동봉된 스탠드를 통해 세로로 거치할 수도 있습니다. 가로 배치 시에는 ‘+’ 표식에 동봉된 3M 범폰을 부착하면 됩니다. 상단 후면부의 우윳빛 플라스틱 파트는 블루투스 신호 수신을 위한 설계라고 합니다

DSC_9336.jpeg.jpg 

 iFi NEO iDSD2의 스탠드 거치 모드

 

- UX&UI(전면 디스플레이)

1) 입력 선택

입력 선택은 USB, BT, Coax.(디지털 동축), Opt.(광입력), Line-In(아날로그 입력), 그리고 Auto가 있습니다. Auto는 기기가 자동으로 입력 신호를 감지하여 소스 선택을 하는 모드입니다. 즉, 소스 기기에 맞춰 일일이 입력 설정을 맞추지 않아도 되므로 다양한 기기와의 연결 시 무척 편리한 기능입니다.

IMG_4105.jpeg.jpg

입력 선택 화면

 

 

2) Gain 설정

Gain은 IE Match(-12dB), Normal(0dB), Turbo(+8dB), 그리고 Nitro(+16dB)의 네 단계로 조정할 수 있어 고감도 이어폰부터 저감도의 헤드폰까지 다양한 기기와 매칭이 가능합니다.

IMG_4102.jpeg.jpg

 Gain 설정 화면

 

 

3) Digital Filter

BP(Bit Perfect), STD(Standard), MIN(Minimum Phase), GTO(Gibbs Transient Optimized)의 네 종의 디지털 필터를 제공합니다. iFi 사의 공식 매뉴얼에 따르면, 하기와 같이 각종 필터가 기능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iFi의 전매특허인 Burr-Brown True Native ® DAC 설계 덕분에 Bit-Perfect로 디지털 신호가 처리되며, 아날로그적이며 음악적인 사운드를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물론, GTO와 같이 최대 384kHz로 업 샘플링하는 기능도 포함됩니다.[1] 이번 리뷰에서는 BP 모드를 메인 설정으로 활용했습니다.

· BP(Bit-Perfect) : no digital filtering, no pre or post ringing

· STD(Standard) : modest filtering, modest pre and post ringing

· MIN(Minimum phase) : slow roll-off, minimum pre and post ringing

· GTO(Gibbs Transient-Optimised) : up-sampled to 352.8/384kHz, minimum filtering, no pre ringing, minimum post ringing

IMG_4104.jpeg.jpg

디지털 필터 설정

 

Specifications & Technologies

- Specifications


Inputs

· Digital:

* USB3.0 B (USB2.0 compatible); S/PDIF (coaxial/optical)

* Bluetooth 5.4 (aptX Lossless, aptX Adaptive, aptx, LDAC, HWA/LHDC, AAC and SBC)

· Analogue: UnBAL 3.5mm

· Clock: External Sync Clock 10MHz, 1Vpp nominal, 75Ω. Sinewave or Squarewave

· Format: PCM 768kHz; DSD 512 (22.6MHz); MQA Full Decoder

Line Section

Outputs

· Balanced XLR: 19.5V max. (variable) 4.4V­ fixed

· UnBAL RCA: 10.5V max. (variable) 2.2V ­ fixed

· Output Impedance: XLR ≤100Ω; RCA ≤50Ω

· SNR: <-120dB(A) @ 0dBFS

· DNR: >120dB(A) @ -60dBFS

· THD+N: <0.0015% @ 0dBFS

Headphone Section

Output

· Balanced 4.4mm: 3.5V / 19.5V max. (12Ω - 600Ω Headphone)

· UnBAL 6.3mm: 4.5V / 9.50V max. (12Ω - 300Ω Headphone)

Output Power

· Balanced: >19.5V/650 mW (@ 600Ω); >13.3V/5,551 mW (@ 32Ω)

· UnBAL: >10.5V/184 mW (@ 600Ω); >9.5V/2,832 mW (@ 32Ω)

· Output Impedance: <1Ω

· SNR: >120dB(A) (3.3V 6.3mm/6.2V 4.4mm)

· DNR: -120dB(A)

· THD + N: <0.0015% (125mW @ 32Ω)

· Power supply requirement: DC 9V/1.5A - 15V/0.9A (centre +ve)*

· Power consumption: No Signal ~5W; Max Signal ~13.5W

Equipment Section

· Dimensions: 214 x 158 x 41 mm (8.4" x 6.2" x 1.6")

· Net weight: 916g (2.0 Ibs)

· Limited Warranty: 12 months


- Technologies [1]

IMG_0670.jpeg.jpg 

NEO iDSD2의 3가지 핵심 기술

(1)PureWave High-Res DAC (2)무손실 Bluetooth (3)Internal GMT Femto-Precision Clock

 

1) PureWave High-Res DAC with with Balanced Dual-Mono Topology

ifF NEO iDSD2에는 전작 대비 향상된 PureWave 회로를 갖추고 있습니다. Balanced Dual-Mono Topology를 지녀 Balance 신호 처리가 개선되었으며, 기존 iDSD1 대비 SNR(신호 대비 잡음비)는 8dB가 증가되어 120dB로 매우 우수한 성능을 지니게 되었습니다. 아울러 Burr-Brown Muliti-Bit DAC 기반으로 Bit-Perfect PCM 신호 처리가 가능한데, 이는 최대 32bit/768kHz까지 지원됩니다. 또한, GTO 디지털 필터를 활용하여 352.8/384kHz로 업 샘플링할 수도 있습니다.

2) 무손실 Bluetooth 지원

Qualcomm의 QCC518x IC를 통해 최신 Blutooth 5.4 기술을 탑재했으며, 최대 1,200kbps 신호 전송률을 자랑합니다. 특히, 비압축 무손실 코덱인 Qualcomm의 aptX Lossless를 비롯하여, aptX Adaptive, Sony의 LDACTM and HWA’s LHDC, regular aptX, AAC(Apple iOS devices), 그리고 SBC(the ‘plain vanilla’ Bluetooth codec) 등을 다양하게 지원합니다. 특히, aptX Lossless, aptX Adaptive, LDACTM, 그리고 LHDC 등 24 bit 전송이 가능한 코덱도 포함됩니다.

3) Internal GMT Femto-Precision Clock

기존 NEO iDSD1에서의 GMT(Global Master Timing) Femto Clock을 더욱 개선했습니다. Intelligent memory buffer와 Clock을 연동하여 지터 감소를 극대화했으며, 그 결과 20dB 이상의 향상을 달성했습니다. NEO iDSD2의 내부 Clock도 이미 매우 우수한 정밀도를 지니고 있으나, 외부 10Mhz Clock을 연결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앰프의 증폭 방식과 iFi NEO iDSD2의 장점

IMG_0675.jpeg

Class AB Amplifier Circuit Diagram[2]

 

RAA(Reference Audio Analyzer)의 앰프 증폭 모드별 비교 자료를 보면, 거치형 Solution의 장점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를 위해 대다수 헤드폰 앰프의 증폭 방식인 Class AB를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Class A는 상시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출력의 선형성과, 이로 인한 음질에서의 이점이 있으나, 변환 효율이 낮은 만큼 발열이 높은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헤드폰 앰프 중에서도 일부 거치형에서만 제한적으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반면, 입력 신호가 있을 때만 On Demand로 작동하는 것이 Class B 방식인데요, 효율이 높은 반면 음질에서의 단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3]

이 때문에 대부분의 헤드폰 앰프는 Class A와 B를 절충하여 특정 출력까지는 Class A로 작동하다가 높은 출력이 필요하면 Class B로 작동하는 Class AB로 설계합니다. 거치형 앰프는 전원의 여유가 있는 만큼 Class A 작동 범위가 Portable Devices 대비 매우 높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4] iFI NEO iDSD2는 5,551mW (@32Ω)라는 높은 출력을 내기도 하지만, 체감상의 구동력이 높게 느껴진 배경에는 위와 같은 거치형 앰프의 설계적 이점이 작용했다고 생각합니다.

IMG_4439.jpeg.jpg

엄선된 부품들로 설계된 iFi NEO iDSD2의 PCB

 

Sound

[Test Equipments]

- Headphones : Sennheiser HD660S2(Main), Sendy Audio Aiva2

- IEMs : 64 Audio Solo, Elysian Acoustics Labs Pilgrim

- Digital Transport : iPhone 15 Pro

- Source : Apple Music Classical, and Apple Music(Lossless)

- DAC/Amp : iFi Audio NEO iDSD2

- Cable : Horn Audio Essential Copper 4.4mm(HD660S2), AIM UC1 USB 2m(B-to-C)

DSC_9479.jpeg.jpg

Sennheiser HD660S2 with iFi Audio NEO iDSD2

 

NEO iDSD2의 테스트 레퍼런스로 iPhone 15 Pro(for Apple Music Lossless)와 Sennheiser HD660S2 헤드폰을 선정했으며, 이때 청감상 평균 70dB 내외의 음량으로 설정했습니다. 헤드폰이 300Ω의 임피던스와 104dB(1 kHz, 1 Vrms)의 음압을 지녔기에 4단계 Gain 설정 중 Nitro Mode에서 50~60의 볼륨이 필요했습니다. 아울러 평판형 이어폰인 64 Audio Solo도 테스트에 반영했습니다.

iFi Hip DAC3와 비교한다면 차갑지만 GO bar Kensei에 비해서는 따듯한 음색이었다고 느꼈습니다. 제 청취 환경에서는 3단계의 XBass(XBass → Presence → XBass+Presence) 중 1단계가 가장 좋았는데, 이때 더해지는 저역에는 봄을 닮은 온도감이 있었습니다. 어떤 에어 컨디셔닝도 필요치 않은 적절한 온도로, 이따금 햇살과 함께 따듯해지기도 하는...

유이치 와타나베의 'Your Breeze'를 들으면, 어쿠스틱 피아노의 다양한 표정을 느낄 수 있었고, 파트리샤 바버의 Regular Pleasure에서는 묵직한 베이스와 함께 발을 동동 굴리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iFi에서만 느낄 수 있는 중역의 두툼함 덕분에 보컬이든 기악곡이든 피로감 없이 편안히 장시간 들을 수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Remembering You‘에서 유진 프리센의 첼로 연주를 들으면, NEO iDSD2의 중역을 진한 맛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IMG_0746.jpeg.jpg64 Audio Solo IEMs with iFi NEO iDSD2

 

2주간 NEO iDSD2를 들으며 느낀 사운드적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5,6]

· DAC / 헤드폰 앰프 / 프리 앰프 기능을 동시 지원하는 3-In-One Solution

· 여유로운 앰프 구동력 (평판형 헤드폰도 대응)

· Burr Brown Multi-Bit DAC의 아날로그적인 음색

(Bit-Prefect 대응)

· 두툼한 음선과 해상도 높은 중역

· 고감도 이어폰에서 헤드폰까지 가능한 Gain 설정

· 3단계 XBass를 통한 저역의 양감 제어

- 집중 감상 음반

IMG_4434.jpeg.jpg

집중 감상 음원[ Apple Music Classical, and Apple Music(Lossless)]

 

 

1) Arne Domnérus 「Jazz at the Pawnshop (1977)」 - HD660S2 with XBass

- ‘Take Five', 'High Life'

첫 테스트 음반으로 스웨덴의 고음질 레이블인 Propius에서 발매한 오디오 파일 음반인 「Jazz at the Pawnshop(1977)」의 2014년 Remastering 버전(24bit/88.2kHz)을 선정했습니다. 이 음반은 리허설 없이 단 몇 대의 마이크로 진행되었지만, 오히려 동네 펍에서의 즉흥적인 연주와 반응이 생생하게 담기게 되었습니다. [7]

‘Take Five'에서는 킥 드럼 가죽 텐션의 움직임이 느껴질 정도였는데, Sennheiser HD660S2에서 처음 경험하는 것이었습니다. 마치 저역의 해상도가 올라간 느낌이랄까요? 강력한 구동력이 고해상도를 위한 충분조건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마저 들었습니다. 그리고 4:20경 모든 악기가 동시에 울리는 지점에서도 중역의 Muddy 함 없이 세밀하게 악기를 구분해냈는데, 이 대목은 Burr Brown Multi-Bit DAC의 Performance가 기여한 지분도 적지 않았을 것 같습니다.

‘High Life’에서는 관객의 박수 소리, 술잔 부딪히는 소리, 흥에 겨워 콧노래를 부르는 사람들이 아르네 도미네우스의 재즈 밴드와 하나가 됩니다. 5:30부터는 드럼 솔로와 함께 곡은 절정을 향해 달려갑니다. 우리 모두의 ’High Life‘를 향해서...

 

2) Gregory Porter 「Take Me to the Alley(2016)」 - HD660S2 with XBass

- ‘Consequence of Love‘, 'In Fashion'

두 번째 테스트 음반은 Blue Note 레이블에서 발매된 그레고리 포터의 「Take Me to the Alley(2016)」입니다. ’Consequence of Love‘을 들으면, Verse에서 퍼커션과 오르간, 드럼 속에서 보컬이 나오는 순간부터 “이건 뭐지?” 하고 놀랐습니다. 마치 그레고리 포터 보컬의 음상 표현과 배음으로 공기감이 바뀌는 듯한 느낌과도 같았는데요, 이 분위기는 ‘음악성’이라는 추상적인 단어로 표현할 수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또한, 알토 색소폰의 연주는 초고역의 ‘해상도’와 ‘자극성’ 사이에서 절묘한 균형점을 찾으며, 금속성의 반짝임을 들려줬습니다.

'In Fashion'에서는 스카타토로 타건 하는 피아노가 베이스 드럼과 동기화되면서 마치 타악기처럼 느껴지는 연주가 인상적이었습니다. 피아노 해머가 내리치는 Attack은 강력했지만, 경쾌한 Rhythm & Pace로 곡의 생동감이 넘치는 재생이었습니다.

3) 윤지영 「나의 정원에서(2023)」 - HD660S2 with XBass

- ‘나의 정원에서', '나의 그늘'

싱어송라이터인 윤지영은 매직스트로베리사운드 소속 뮤지션으로, 2018년 첫 싱글 「꿈」 이후 EP 「Blue Bird(2020)」 등을 통해 인디 음악팬뿐 아니라 대중들의 많은 호응을 받고 있습니다. 그녀의 첫 정규 앨범인 「나의 정원에서(2023)」에서 두 곡을 선정했습니다.

앨범 이름이기도 한 ‘나의 정원에서’를 들으면 HD660S2가 들려주는 베이스의 존재감에 새삼 놀랐습니다. 듬직한 베이스 위에 쌓아 올린 중고역이 음악을 안정감 있고 풍윤하게 만드는 느낌이랄까요? 짙은 그루브 위로 무심한 듯 내뱉는 윤지영의 보컬, 색소폰의 광채, 공기를 채운 앰비언스가 봄날 밤의 어느 소극장으로 저를 부르는 것만 같았습니다.

‘나의 그늘’에서는 단출한 어쿠스틱 피아노와 사색하듯 노래하는 보컬의 쓸쓸함이 잘 전달되었습니다. 이 곡에서는 유독 건반의 무게감이 크게 느꼈는데요, 곡의 마지막 건반 터치에서 '후욱'하며 끊어지는 약음의 Decay가 사실적으로 들려 소름마저 들었습니다.

4) Niall Horan 「Heartbreak Weather(2020)」 64 Audio Solo with XBass

- ‘Still'

마지막 곡은 64 Audio의 평판형 이어폰인 Solo로 청음 했습니다. Gain은 HD660S2의 Nitro에서 Turbo로 한 단계 낮췄습니다. 예전 Solo 리뷰에서 사용한 CMA18P DAC/Amp 대비 보컬은 한걸음 앞으로 나왔고, Sound Field는 더욱 커졌습니다. [8]

XBass 1단계를 켜자 초저역의 빈 공간이 자연스럽게 채워졌는데, NEO iDSD2가 아니었더라면 인지하지 못했을 Solo의 잠재력을 확인한 순간이었습니다. 지난 Solo 리뷰에서 느꼈던 정교한 시간축 정렬과 스피커 같은 사운드는 한 단계 업그레이드되었습니다.

나일 호란의 ‘Still'은 64 Audio Solo와 NEO iDSD2의 시너지가 극대화된 트랙 중 하나임은 틀림없습니다. 보컬의 주위를 감싸는 Ambience와, 기타 현의 섬세한 떨림, 곡의 절정에서 신디사이저의 공간계 Effect가 초고해상도 렌즈로 확대한 이미지처럼 정교하게 느껴졌습니다.

Final Thoughts 

DSC_9474.jpeg.jpg 

 iFi NEO iDSD2와 HD660S2

 

100만 원 초반 예산으로 거치형 DAC/Amp All-In-One을 고민하다가 iFi NEO iDSD2를 구입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올해 구입한 가장 성공적인 음향 기기라고 자부합니다. NEO iDSD2로 음악을 들으면 분석적인 평론을 하다가도 감상자의 자세로 바뀌게 됩니다. 작은 음악적 디테일을 놓치지 않기 위해 애쓰지 않아도 됩니다. 그저 이 DAC/Amp에 몸을 맡기면, 온 신경을 집중하지 않더라도 풍성한 정보량이 그대로 전해지기 때문입니다.

 

DSC_9404.jpeg.jpg

 Desk 위의 NEO iDSD2

 

  "For Head-Fi, for Desk-Fi, and for H-Fi..."

 

 

이 모든 것을 위한 가장 심플하고 우아한 Solution,

바로 iFi Audio의 NEO iDSD2였습니다.

Photography Equipments

-Camera : Nikon Z8

-Lens : Nikon Z 24-120/4S, Z 50mm/1.8S

Reference

[1] iFi Audio Official Homepage

- iFi NEO iDSD2 Manual

https://downloads.ifi-audio.com/wp-content/uploads/2023/09/Neo-iDSD2-User-Manual_Ver21.pdf?srsltid=AfmBOoqE3uyqsmf-nJsr4dv-YMOdqzpXzmaTCvxbwsqy4aJKRbmeWQ6k

[2] EL-Pro-Cus

- What is Class AB Amplifier : Working & Its Applications

https://www.elprocus.com/class-ab-amplifier/

[3] RAA(Reference Audio Analyzer)

- Classes of equivalent power A, AB, B and Max

https://reference-audio-analyzer.pro/en/test-amp-class-power.php#gsc.tab=0

[4] 영디비

- 진격의 AKG 파트2 - K701 , K702 , K712 pro(Class A 동작 범위에서 오는 여유로움)

https://www.0db.co.kr/REVIEW_USER/2045383

[5] the Honest Audiophile

- iFi Audio Neo iDSD 2 - Going Back to the Roots

https://youtu.be/m3FZVLfp9S0?si=Cww2AlmJ21fn-w_X

[6] TylersEclectic

- ifi Audio NEO iDSD2, my thoughts, and opinions...

https://youtu.be/5etw9ESTKJk?si=TW9lP_MemPgRYpH3

[7]<고음질 명반 가이드북 Vol.2 > 이장호 지음

안나푸르나 레코드 가이브북 시리즈

[8] Underground Review

- 64 Audio Solo : High-End 평판형으로의 초대

https://m.blog.naver.com/art_chang/223646729368

 

 

 

 

ReportShareScrap
AlpineSnow AlpineSnow님 포함 7명이 추천

Comment 2

Comment Write
profile image

와 엄청 이쁘네요....

가격은 안이쁘지만!!

16:20
25.03.31.
profile image
쏘핫
이쁘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사진보다 실물이 더 좋아요!ㅎㅎㅎ
16:42
25.03.31.
You do not have permission to access. Login
WYSIWYG

Report

"님의 댓글"

Are you sure you want to report this comment?

Comment Delete

"님의 댓글"

I want to Are you sure you want to delete?

Share

Permali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