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 Final S4000 - Full Range Dual BA IEMs

※ 본 제품은 셰에라자드로부터 통해 지원받았으며,
내용에는 간섭 없이 자유롭게 작성되었습니다.
Final S4000
- Full Range Dual BA IEMs
Prologue
태초에 음향 기기의 시발점은 하나의 다이내믹 드라이버(1 DD ; Single Dynamic Driver)였습니다. Hi-Fi에서는 Full Range라고도 하죠. 하나의 유닛이 모든 주파수 대역을 담당하는 원시적인 구조로, 저음의 양감 확보를 위해 크기를 키울수록 분할 진동이 생기는 근본적인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현대적인 스피커들은 대부분 2개 이상의 유닛이 고음과 중/저음을 담당하도록 설계되고 있습니다. IEMs(In-Ear Monitors)에서도 같은 맥락에서 멀티 드라이버나 하이브리드 구조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네트워크를 거치지 않는 순수한 사운드를 추구하는 애호가들 사이에서 1DD는 여전히 일정 영역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Full Range BA 이어폰도 있을까요? 바로 Final S4000이 이 질문에 대한 답을 하고 있습니다.
Summary
※ 더 자세한 리뷰를 원하시는 분께서는 하기 Chapters (Unboxing & Design, Specifications & Technologies, Sound, and Final Thoughts)를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Final S4000 IEMs
- Final S4000의 장단점
(Pros)
+ 개성 있는 Full Range BA 사운드
+ 따듯한 음색
+ 넓은 스테이징
+ 쉬운 구동력
(Simgot DEW1S로 충분한 구동)
+ 스테인리스 스틸 인클로져
+ 극도로 높은 휴대성과 편안한 착용감
(Cons)
- 극저역과 초고역의 양감 부족
- 앰프의 화이트 노이즈가 잘 들림
- 4.4mm 단자 미지원
- Final S4000은 이런 분들께 추천드립니다.
· 천편일률적인 사운드가 아닌 독특한 개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분
· 낮은 자극성의 따듯한 음색을 추구하시는 오디오 파일
· 언더 이어로 착용 가능한 고음질 인이어가 필요한 애호가
Unboxing & Design
- Unboxing
Final S4000은 컴팩트한 화이트 테마의 패키지를 하고 있습니다. 화려한 이미지 대신 띠지로 모델명을 담백하게 담아 신선했습니다. 마치 S4000의 사운드 시그니처를 제품 전반에 걸쳐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Final S4000의 박스 전면
S4000의 이너 박스 역시 심플하게 구성되었습니다. S 시리즈와 제조사 로고만이 표기되어 있습니다.
S4000의 이너 박스
이너 박스를 열면 상단에 이어 버드 한 쌍이 나란히 놓여 있으며, 하단에는 케이블과 액세서리 등이 실리콘 파우치와 함께 있습니다.
S4000의 제품 패키징
S4000의 구성품으로는 이어 버드 한 쌍, 3종류의 이어 팁, 이어 가드, 케이블, 설명서, 그리고 실리콘 파우치가 있습니다.
S4000의 구성품
- Design
Final S4000은 E 시리즈를 계승한 원통형 디자인이 특징입니다.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이기 때문에 크기에 비해 묵직한 존재감이 느껴집니다.
Final S4000의 디테일
Final의 S4000과 비슷한 가격대로써 같은 Full Range 방식의 A6000과 비교했습니다. A6000은 다이내믹 드라이버라는 점에서 Dual BA 방식의 S4000과 차이가 있습니다.
Final S4000과 A6000
번들 케이블로는 Final 특유의 8심 은도금 동선이 제공됩니다. 별매로 20만 원 이상의 가격대 제품인데요, 만듦새와 핸들링을 비롯한 사용성이 뛰어납니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3.5mm만 제공되며, 4.4mm는 별매 케이블을 사야 한다는 점입니다.
8심 은도금 동선 케이블(2 pin / 3.5mm Plug)
Final 제품답게 탈부착 가능한 이어 후크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S4000의 탈부착 이어 후크 시스템
기본적으로 언더 이어로 착용할 수 있으며, 이어 후크를 활용하면 오버 이어로도 가능합니다.
S4000의 두 가지 착용 방식 : Under-Ear / Over-Ear
S4000에서도 Final의 타제품과 마찬가지로 원형 실리콘 케이스가 제공됩니다. 3점 지지로 케이스가 닫히는 구조이며, 이어폰 수납 시 진공 밀폐처럼 강력하게 고정되는 방식입니다.
실리콘 재질의 이어폰 케이스 : Open / Close
Specifications & Technologies
- Specifications
Housing
Stainless steel/blast finish
Driver
Full range BA driver 2 horizontal opposition arrangement
Connector
φ0.78 2pin
Cable
Soft silver coat cable
Sensitivity
112DB
Impedance
48Ω
Weight
28g
Cord length
1.2m
Sound quality
A straight sound with a sharp sound and clear feeling of stainless steel
Warranty period
2 years
- Technologies
Final S4000의 내부 구조
1) 톤 챔버 시스템(Tone Chamber System)
톤 챔버 시스템 및 듀얼 BA 단면도
톤 챔버란 악기의 톤과 음질을 튜닝하기 위해 설계한 빈 공간(Chmaber)을 의미합니다. BA 유닛 앞에 음향 캐비티(Cavity)를 위치시킴으로써, 하우징 소재 고유의 울림 특성이 반영될 수 있도록 의도했다고 합니다. 헬름홀츠(Helmholtz) 공명기 원리를 활용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을 강조하거나 완화하도록 설계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2) 고정밀 스테인리스 스틸 하우징
스테인리스 스틸 하우징
Final S4000의 하우징은 고강성의 스테인리스 스틸을 정밀 가공하고, 샌드 블래스트로 마감되어 만들어졌습니다. S5000의 황동 하우징 대비 더 정확하고 샤프한 사운드를 들려줍니다.
3) 신개발 Fusion-G 이어 팁
Final Fusion-G 이어 팁
Final S4000에는 새로 개발된 Fusion-G 이어 팁이 동봉되어 있습니다. 이는 트리플 하이브리드 구조로써 고밀도 폼, 소프트 실리콘, 고탄성 실리콘의 3종 소재가 혼합되어 있습니다. Fusion-G는 높은 밀폐력과 편안한 착용감의 장점을 모두 구현했다고 합니다.
Sound
[Test Equipments]
· IEMs : Final S4000
· Digital Transport : iPhone 15 Pro
· Source : Apple Music Lossless
· DAC/Amp : FiiO BTR17(Main), Simgot DEW1S
· Cable : Stock Cable(3.5mm)
Final S4000과 FiiO BTR17
-2주간 Final S4000을 들으며 느낀 사운드적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4]
· 순도 높은 Full Range BA의 Sound
가장 순수하고 원초적인 오디오의 시발점은 Full Range Dynamic Driver입니다. Final A 시리즈가 1DD 인이어라면, S 시리즈는 BA의 순수한 음에 대한 Final의 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회로에 가려졌던 BA의 온전한 음색을 느낄 수 있습니다.
· 진한 중역의 밀도감
듀얼 BA Full Range Driver가 가장 빛을 발하는 부분이 바로 중역대였습니다. 진하지만 투명하고 깨끗한 중역의 밀도감이 돋보였습니다. 보컬은 신선한 우유처럼 밀도감 높고 윤기가 있었고, 그 주변을 둘러싼 Ambience도 잘 느낄 수 있었습니다. BA 유닛 개수의 한계로 인해 극저역과 초고역은 어느 정도 Roll-Off 되었지만, 그만큼 중역의 집중력이 높아졌다고 생각합니다. Miniaturized 된 Sound Field 지만, 그 세계 안에서는 초정밀의 음향이 펼쳐진다고나 할까요?
· 극세사 같은 고역의 섬세함
Final S4000의 또 다른 사운드 캐릭터는 미스트 필터를 쓴 사진처럼 부드러운 고역 특성입니다. 단순히 초고역 유닛 부재로 인한 Roll-Off의 결과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볼륨에 관계없이 5-6kHz에서의 자극은 전혀 없었기 때문입니다. 아마도 듀얼 BA 유닛 전면에 배치된 Tone Chamber가 Helmholtz Resonator 역할을 하면서 부족한 저역의 양감은 높이고, 치찰음 등 자극적인 특정 주파수 영역은 억제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 쉬운 구동력
Final S4000은 112dB@48Ω로 음압이 높으며, 이에 따라 볼륨 확보를 위해 고출력 앰핑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메인 DAC/Amp로 활용된 FiiO BTR 17에서는 Low Gain 기준 14-18 Steps(최대 60 Steps)로 충분한 음량이 나왔습니다. BTR 17 사용 시 High Gain보다도 Low Gain에서 음질이 훨씬 좋았는데, 이어폰의 음압이 높은 만큼 섬세한 앰핑이 필요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아울러 초소형 Dongle DAC/Amp인 Simgot DEW1S에서도 구동력의 아쉬움이 느껴지지 않았을 정도로, S4000은 고효율 인이어 이어폰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Final S4000과 Simgot DEW1S
- 집중 감상 음반
집중 감상 음원 [Apple Music(Lossless)]
1) Alesso & Becky Hill 「Surrender - Single(2025)」
- ‘Surrender’
알레쏘와 베키 힐의 콜라보로 만들어진 EDM ’Surrender'를 첫 테스트 음원으로 선곡했습니다. Final S4000은 저역의 양감이 많지 않아 직관적으로 다가오는 Slam과 Rumble은 없었지만, Upper Bass 영역(80-160Hz)의 존재감은 충분했고 재생 대역 내에서의 해상도가 높아 음악에 대한 몰입감이 높았습니다. 특히, Synth Bass와 보컬은 공간적으로 Depth를 지니고 분리되었기 때문에, 3D Holographic Imaging이 돋보였습니다.
2) Françoise Hardy 「Personne d'autre(2018)」
- ‘Le Large’
두 번째로 프랑스의 샹송 가수 프랑수아즈 아르디의 'Le Large'를 들어봤습니다. 마치 어두운 배경에 켜진 촛불처럼 보컬에 집중되는 느낌이었습니다. 보컬은 적당한 두께감을 지니고 밀도 높게 공간을 채워줬고, 보컬을 둘러싼 배음은 풍성하고 따듯했습니다. 중역의 해상도가 높아 숨겨진 Synth Lines이 디테일하게 들렸습니다.
3) Haku 「Minami Shinmachi - Single(2025)」
- ‘Minami Shinmachi’
밴드 음악에 S4000을 테스트하기 위해 Haku의 'Minami Shinmachi'를 들어봅니다.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일렉 기타, 보컬, 베이스 기타가 넓게 펼쳐집니다. 드럼은 보컬 뒤 중앙에 위치합니다. Final답게 S4000도 스테이징에서 큰 강점을 보여줬습니다. 또 한 가지 특기할 부분은, 볼륨을 올려도 귀가 피로해지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4) 비비 「행복에게 - Single(2025)」
- ‘행복에게’
마지막 테스트 음원은 비비의 ‘행복에게’입니다. ‘나에게도 언젠가는 따순 봄이 오겠죠?’, ‘바람 타고 날아와주세요. 나의 파랑새.’란 가사가 멜랑꼴리한 멜로디와 함께 흐릅니다. 비비 특유의 짙은 감성과 달콤한 음색이 가슴을 파고듭니다. 특히, 곡의 말미의 ‘부디 주저 말고요.’에서는 셈여림으로 점점 작아지는 그녀의 목소리가 인상적이었습니다. S4000은 소리가 없어지는 정적의 순간을 어느 이어폰보다도 잘 묘사해 줍니다.
Final Thoughts
Final S4000 IEMs
대학교 철학 수업 중 기억에 남는 구절이 있었습니다. ‘종교는 모순 덩어리다. 하지만 그 신앙을 받아들이는 순간 그 안의 논리는 설득력을 지닌다.’ 저는 새로운 경험을 접할 때마다 잠언처럼 이 기억을 꺼냅니다. Final S4000도 비슷한 맥락에서 제게 매력적인 사운드를 들려줬습니다.
처음에는 다소 좁아진 듯한 음역이 생경했지만, 들을수록 오디오의 본질인 중역대에 집중한 S4000의 소리에 설득될 수밖에 없었습니다. Sound Field는 마치 정밀 모형처럼 다가왔고, 더 깊은 내면으로 침잠하는 자신을 발견했습니다.
유일무이한 설계와 음향을 개척했다는 점에서 일본의 ‘모노즈쿠리(ものづくり)’가 떠오르기도 했습니다. Final S4000은 Full Range BA라는 독특한 컨셉이지만 누구나 납득할 만한 보편적인 감성도 지녔습니다. 특히, 보컬의 질감을 디테일하게 묘사한다는 점이 장점이었습니다. 따라서 고유의 개성을 찾는 오디오 애호가 뿐 아니라 고급 이어폰 입문자에게도 Final S4000을 적극 추천하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Photography Equipments
-Camera : Nikon Z8
-Lens : Nikon Z 24-120/4S
Reference
[1] Major Hi-Fi (by Alex Schiffer)
https://majorhifi.com/final-audio-s4000-review/
[2] Headphone Dungeon (by Delaney Czernikowski)
https://www.headphonedungeon.com/final-audio-s4000-review/
[3] 셰에라자드 - 프리미엄 리뷰 (by 범노래)
https://www.schezade.co.kr/board/preview/board_view.html?no=1192
[4] 셰에라자드 유튜브 (by MD 스핑크스)
https://youtu.be/E5zy_JVOIbY?si=bF1lQxgdtJjebA2a
Comment 8
Comment Write




파이널은 진짜 하나같이 다 디자인이 예쁘고 음질도 좋아서 좋네요

개인적으로는 e4000 e5000이 더 소장가치가 있을듯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