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ist
  • Down
  • Up
  • Write
  • Search
후기

요즘 쓰는 것들

검은튤립 검은튤립
243 5 3

20250602_215317.jpg

1. SIMGOT EA1000 + Angelears  Curacao

2. SIMGOT EA500LM + ZiSin-309

3. SIMGOT EA500 + ivipQ-253

4. SIMGOT EW200 + NICEHCK 60saga

5. DUNU Kima2 + NICEHCK 1950saga

* 모두 개인 구입품입니다

 

​먼저 FR을 봅니다. 여러 모델의 FR을 비교할 때 보편적으로 500Hz ~ 2kHz 사이 특정 지점 혹은 구간 평균 지점에서 노멀라이즈를 하곤 합니다. Squiglink 기반 데이터베이스들도 500Hz 노멀라이즈가 기본이죠.

 graph (4) (13).png.jpg

그렇게 보면 EA500LM은 저역과 고역이 가장 많아 V자 형태에 가장 가깝고, Kima2는 가장 납작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Kima2 - EA500 - EA1000 - EW200 - EA500LM 순이 되죠.

 graph (4) (12).png.jpg

두번째 그래프는 같은 그래프의 노멀라이즈 기준을 3kHz로 바꾼 것입니다. 고역의 형태가 비슷한 모델들이라 이렇개 보는 편이 체감 음색을 비교해 보기에 더 편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놓고 보니 EW200은 서브베이스가 가장 많고, EA500은 서브베이스가 가장 적으며, Kima2는 중역이 가장 많고, EA500LM은 중역이 가장 적습니다.

아시는 분들에게는 조삼모사겠으나 그래프가 눈에 익지 않은 초심자들은 노멀라이즈를 고정한 채 비교하다 보면 때로 착시를 겪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서는 EA500이나 KIMA2가 특히 그런 경우로, 첫 그래프만 볼 때에는 저역이 적어 가늘고 가벼운 소리가 날 것차럼 보일 수 있지만 두번째 그래프로 볼 때에는 중역이 두터워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을 보다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이어폰이든 스피커든 측정된 결과를 볼 때에는 하나의 기준에 고정하기보다 관점을 다양하게 바꿔 보기를 추천합니다.

1. SIMGOT EA1000 Fermat + Angelears  Curacao

20250518_193820.jpg

Simgot EA1000 Fermat 심갓 EA1000 페르마는 위 그래프에서 본 것처럼 소개할 다섯 제품 중 중간 정도 저역과 중간 정도의 고역 양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청취자층에 선호될 만한 음색으로 완성도 있게 만들어진 제품이라고 생각합니다. 심갓에서 페르마의 정리 같은 소릴 부제로 붙인 것도 그런 의미겠죠. 그 자신감의 결과로 가격 또한 저 다섯 중 가장 비싸게 책정되어 있습니다.

EA1000의 중역과 고역의 형태는 EA500을 닮았는데 패시브라디에이터의 도움으로 EA500에는 없던 낮은 저역이 나옵니다 빠르고 단단한 저역은 아니지만 슬램과 질감이 좋아 즐겁게 들리고, 그 과정에서 EA500의 음악성을 거의 희생하지 않았다는 점이 훌륭합니다.

EA500과 마찬가지로 귀 특성이나 취향에 따라 프레젠스 영역이 밝게 들릴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단점으로 구입 혹은 매칭할 때 염두에 두는 것이 좋습니다.

EA1000에 조합해 들어 본 케이블 중 가장 좋았던 것은 Angelears Curacao 엔젤이어스 퀴라소 입니다. 단결정 동선과 은도금 단결정 동선이 조합된 가볍고 가는 케이블로 도체의 구성, 구조 외관 면에서 개인적으로 끌리는 부분은 없았지만 음질에 대한 평판이 좋고 측정 임피던스가 특히 낮다기에 구입해 봤습니다.

가는 외관에서 연상되는 것과는 다르게 소리에 제법 두께가 있고 부드러우며 밀도가 높고 안정감 있는 소리를 들려줍니다. EA1000과의 조합에서는 밝기가 추가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명료하고 깊이감 있는 소리를 내도록 돕습니다.

요즘 가장 즐겨 듣는 조합으로 추천합니다.

2. SIMGOT EA500LM + ZiSin-309 噬骨玫瑰

20250522_000633.jpg Simgot 심갓 EA500LM은 단단한 저역, 시크한 고역을 가졌지만 그 결과 중역의 입지가 좁아져 보컬이 창백하게 들리기 쉽습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이전에 추천한 NiceHCK BlackCat 조합은 아련하고 농밀한 분위기로 이를 상쇄한 반면, 이번에 소개할 ZiSin-309 조합은 EA500LM의 선예도와 선명도를 살리면서 자연스러운 소리를 내도록 돕습니다.

ZiSin은 ivipQ의 서브 브랜드로 추측되며, ZiSin-309의 부제인 噬骨玫瑰 BONE EATING ROSE 서골매괴는 뼈를 씹어먹는 장미라는 뜻인가 본데 BORN4DASTAGE 라는 아티스트의 노래 제목에서 따온 것 같습니다.

제품 소개에 기재된 정보에 의하면 극저온처리된 7N OCC, 은-팔라듐 합금 도금 7N OCC를 도체로 쓰며, 저항은 비교적 낮은 0.27옴이라고 합니다.

ZiSin-309의 음색은 대체로 중립적이며 중-고역에 걸쳐 질감이 촉촉하고 초고역은 개방감이 있다고 느낍니다. EA500LM과의 조합에 있어서는 중역의 윤곽을 다듬고 상을 뚜렷하게 만들어, 보컬이 악기에 묻히거나 듣는 사람의 뒤통수에서 들리는 현상을 어느 정도 개선합니다.

3. SIMGOT EA500 + ivipQ-253

20250518_195847.jpg

Simgot 심갓 EA500에는 아직 ivipQ-253보다 좋은 조합을 찾지 못했습니다.

4. SIMGOT EW200 + NICEHCK 60saga

20250522_000546.jpg

NiceHCK 60saga 60사가는 1950saga 1950사가에 이은 saga 시리즈로 Ultrapure Pressing OCC를 도체로 사용한다고 합니다. UPOCC라면 대만 Neotech 네오텍의 상표이므로 거기서 수입한 선재를 가공해 쓰는 것으로 보입니다. UPOCC 선재를 쓰는 이어폰 케이블은 이전에도 있어왔고 XINHS의 갈색 4심 UPOCC 케이블은 저역 슬램과 질감이 좋아 저도 좋아하는 케이블 중 하나입니다. NiceHCK의 케이블 중에도 이미 UPPCC를 사용한 제품들이 여럿 있었는데, 그 중 C4-1은 외관상으로도 60saga와 닮은 점이 있어 관계성을 의심해 볼 법도 합니다. (C4-1을 써보지 않아 소리가 어떨지는 모르겠습니다.)

60saga는 저역의 슬램과 질감에 중역의 두께를 더해주는 케이블로 Simgot 심갓 EW200처럼 가늘고 날카롭게 들리는 경우 매칭해 쓰기에 적절합니다.

5. DUNU KIima2 + NICEHCK 1950saga

20250518_222028.jpg DUNA Kima2 두누 키마2는 성능이 좋은 하드웨어를 기반으로 저역 - 중역 - 고역 간 낙차를 적게 세팅해 담백하면서도 중독성 있는 소리를 들려줍니다.

이전 리뷰에서 팔라듐, 오일 함침 계열인 ivipQ-539 케이블의 조합으로 중역에 촉촉함을 더하고 저역에 윤곽을 살리는 조합을 추천했는데, 오늘 소개할 조합은 중역과 저역보다는 고역의 디테일 픽업을 개선합니다.

주인공이 되는 것은 NiceHCK의 1950saga로 앞서 소개한 60saga와 마찬가지로 Ultra pure Pressing OCC, UPOCC를 도체로 사용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그 음색은 60saga와 사뭇 다릅니다. 웜톤 특성의 60saga와 달리1950saga는 보다 중립에 가까운 특성을 가지는데, 하이라이트라고 할 수 있는 것은 고역의 디테일입니다. 은 계열의 쨍함, 팔라듐 계열의 눈부심이 없이 성장하는 고역과 디테일은 소위 말하는 모니터링 속성을 더해줍니다. 얼핏 그래핀 계열 케이블들을 연상케도 하는떼, 그보다는 소리 끝이 조금 더 부드러우며 중역과 저역에서 더 탄력이 있다고 느낍니다. 아무튼 조합에 따라 버석하고 음악적이지 못한 소리가 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며, 느긋한 Kima2와 조합할 경우 약간의 긴장감과 쾌감을 더해주므로 추천합니다.

검은튤립 검은튤립
24 Lv. 12414/12500EXP

들려주고 듣습니다.

차별에 반대합니다.

 

https://blog.naver.com/overshot

 

WiiM Pro Plus, Oppo UDP-205 - Bryston BDA-3 - MBL Cadenza C51- Vivid Audio KAYA 45

Oppo UDP-205 - Denon AVR-X7200WA - MBL Cadenza C51 - Vivid Audio KAYA 45, Klipsch R-14S

Marantz ND8006 - Marantz PM8006 - Revel Performa3 F206

Benchmark DAC3 HGC - Sennheiser HD800S, Focal Stellia

FiiO KA5, Qudelix-5K - 64Audio U12t, Thieaudio Monarch MK2, Drop + JVC HA-FDX1, Tanchjim Oxygen, DUNU Kima2, Simgot EA1000, Simgot EA500, Simgot EA500LM, Simgot EW200, HZSOUND White Snow, Kiwi Ears Cadenza, Seeaudio Yume 2, AFUL Explorer, Tangzu x Divinus Fudu verse 1, Tangzu x HBB Wu Heyday Edition, Tripowin Olina, TinHiFi C2 2025, Truthear Hexa, Sennheiser HD25-1II, Creative Aurvana Live! SE, Koss KPH30I

Samaung Galaxy S23+ - Samsung Galaxy Buds FE, Samsung Galaxy Buds 3, Samsung Galaxy Buds 3 Pro

ReportShareScrap
yozi yozi님 포함 5명이 추천

Comment 3

Comment Write
profile image

이어폰들보다 케이블에 더 눈이 가네요 ㅎ 잘봤습니다 ㅎ

14:50
25.06.03.
profile image
후기 잘 봤습니다~
케이블 잘 참고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ㅎ
14:50
25.06.06.
You do not have permission to access. Login
WYSIWYG

Report

"님의 댓글"

Are you sure you want to report this comment?

Comment Delete

"님의 댓글"

I want to Are you sure you want to delete?

Share

Permali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