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ist
  • Down
  • Up
  • Write
  • Search
후기

ie500pro 간략사용기 + ie시리즈 모델별 인상?

키큰사람 키큰사람
272 11 6


스테이지 보컬 모니터링에 좋다고 해서
반년 넘게 장태 매복하다가 매물 잡아서 영입 후 들어보는 중입니다

 

박스에 monitoring engineer's choice라고 적혀있네요 ㅎ

많은 것들이 이해되는 문장입니다.

IMG_2129 중간.jpegIMG_2130 중간.jpeg

 

 ---------------------

모니터링 엔지니어는
foh엔지니어와 구분됩니다

 

Foh엔지니어는 관객들이 음악을 감상하기 적합하게 소스를 믹싱합니다.
반면에 모니터링 엔지니어는 연주자들이 모니터링을 잘 하게 각 소스들을 믹싱합니다. 그리고 큐로 내보내는 믹싱 결과물이 여러개죠. 예를 들어 보컬을 위한 모니터링 큐, 드러머나 연주자를 위한 모니터링 큐… 이런식인데 보통 대규모 공연이면 8-10개 가량의 큐를 믹싱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믹싱의 목적도 대비되죠
Foh 엔지니어는 믹싱의 목적이 “관객이 감상하기에 적합한 믹싱본”을 만드는게 목적이고
반면에 모니터링 엔지니어는 “연주자가 모니터링이 잘 되게 믹싱하는 것”이 그 목적입니다. 상대적인 정교함도 떨어질 수 밖에 없고요. 요즘이야 디지털믹서 주지만 불과 10년 전만 해도 그냥 아날로그 믹서 하나 던져주는 경우도 많았어요 ㅎ

참고 : https://www.mixingmusiclive.com/blog/what-does-a-monitor-engineer-do

 

 

------------------

 

다시 ie500으로 돌아와서…
간단 청취소감은

iii.png.jpg800.png.jpg

 

- 아주 뛰어난 착용감. 컨슈머라인업보다 훨 귀에 잘 맞음. 이어폰 형태가 더 귀에 밀착하는 디자인
- 새로운 하우징 구조를 적용하면서 ie800s에서 자극대역을 더 빼버린 소리. 저역공진점도 살짝 내려간듯

- 드라이버 품질은 최상위급
- 저역 품질 최상위급

- 중역대 몰빵 대역밸런스.
- 하지만 또 그렇게 중역만 들리진 않고 적당히 음감할 만 하다. 요즘 기준 오히려 에티모틱 시리즈보다 음감에 좋음. t-100보다도 음감에는 적합한 톤밸런스
- 한 처음에는 톤밸런스가 어색한데, 톤밸런스 자체는 10분정도면 익숙해지고 그 다음엔 드라이버 성능으로 인해 오히려 적당한 톤밸런스로 느껴지게 된다.
- 젠하이저 최상위 드라이버인듯 톤밸런스를 무시하는 깡성능으로 모든 소리가 아주 잘 들린다
- 그런데 볼륨 설정이 좀 미묘해야 함. 고역을 좀 더 듣고 싶어서 볼륨을 올리면 800-1000 대역이 귀를 공격하는 희안한 경험을(왜냐면 보통 치찰음이나 극저음, 혹은 극고음이나 이어게인 대역이 귀를 공격하지 이 대역이 문제되는 경우는 한번도 경험 못해봤기 때문에 ㅋㅋ) 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폰에서 슬라이더로 볼륨조절을 미묘하게 해서 적절한 밸런스를 찾아야 한다. 그냥 볼륨 버튼으로 하면 대게 안 맞는 경우를 느낄 수 있다. (이 제품의 원래 용도인 라이브무대를 생각하면 마스킹 때문에 제대로 들릴지도. 이건 사용해봐야 알수 있을 듯)

- 보컬은 부드럽고 풍부한, 무게 중심이 낮은 보컬 스타일 그러면서도 해상도가 훌륭함. 노이만 kms105 마이크를 떠올리게 하는 보컬 질감과 표현력

- 귀에 자극이 없다. 오래 청취하기 좋다
- 하지만 음감만이라면 대체제가 많다. 특히 젠할인저가 적용되는 ie600의 실제 영입가가 훨 더 싸진 형국이라…

 

--------------------------

 

 

또한 이렇게 ie500을 진득히 들으니
이제는 젠하이저 ie 각 시리즈의 특성이
명확히 정리되는 듯 합니다
(이하는 뇌피셜)

 

1. ie100pro(=ie40pro) : 2018년 출시. 젠하이저 왈, “Confidence for any stage, any ear, any time“. 프로무대에서 범용적으로 쓸 수 있는 입문기. 스테이지 모니터든 믹싱이든 아무데나 써도 기본 이상은 함.

 

2. ie400pro : 2019년 출시. 젠하이저 왈, “Delivers clarity with presence and power for the big stage“. 악기연주자 특히 드럼이나 베이스 등 스테이지 모니터에 최적화. 음원의 존재감과 에너지감 전달에 가장 특화되어 있어서 연주자 입장에서 본인의 연주에 몰입하기 좋게 만들어 줌.

 

3. ie500pro :2019년 출시. 젠하이저 왈, “The monitor engineer's choice” 모든 소리가 아주 잘 들림. ie800s 밸런스에서 자극대역 제거. 믹싱이 잘 안 된 소스들을 한꺼번에 들을때 과포화되서 모니터링을 방해할 수 있는 극저역과 이어게인 과감히 컷! 그 결과로 중역대 해상도가 극상. 저역도 해상도도 극상. 중역대는 보컬의 배음이 많으니 보컬 모니터링에도 좋음. 귀에 자극대역을 쏙 빼서 고음압으로 청취시 청력보호 가능. 출시 당시 믹싱용이나 이런 용도는 ie800s가 담당하는 라인업 구조였었던듯?

 

4. ie300 : 2021년 출시. ie800s의 마이너버전. 새로운 인이어 하우징(현재 ie 라인업에서 범용적으로 사용중) 적용. 새로운 하우징은 하만타겟에 가까운 저역 반응을 만들어주는 것으로 추정. 범용성을 가진 젠하이저 음색의 입문기. 음감에 적합하게 재미 한 스푼 추가요

 

5. ie900 : 2021년 중반기 출시. ie800s의 고성능화. 이것이 젠하이저 사운드의 극치이다! 믹싱보다는 마스터링과 음감에 최적화. hd800s 급 포지셔닝.

 

[[[2021년 소노바가 젠하이저 컨슈머 사업부 인수]]]

 

6. ie600 : 2022년 출시. 소노바 입김 작용. 산업규격을 맞춘 젠하이저 인이어. Hd600과 동일 포지션. 고성능이면서도 믹싱과 음감에 적합한 톤 밸런스.

 

7. ie200 : 2023년 출시. 산업규격을 맞춘 입문기 모델. 믹싱과 음감에 적합한 톤 밸런스. hd560s 급과 유사한 포지셔닝(톤밸런스 좋은 마이너 버전)

이상은 출시년도 순입니다 ㅎ

 

--------------------

 

Ps., w80도 궁금하군영 ㅋㅋㅋ

 IMG_2128.PNG.jpg

ReportShareScrap
Underground Underground님 포함 11명이 추천

Comment 6

Comment Write
W80은 예전 구버전 기억이긴 합니다만
(제가 첫 장기입원 스타트했던 시기에 친구가 혜화쪽 샵 럭키박스로 걸려서 한 두달 빌려서 들어봤죠.
전 그때 유코텍 ES1103이 나왔습니다.)
스테이징감도 좋고, 화려하고 뭐 다 좋긴 한데 양념이 너무 과한 소리였다는 기억이 있습니다.
재미있고 비싼 소리기는 하지만 취향상 메인으로 쓸 정도는 아니라서 친구한테 딜 자체를 안걸었었죠.

100은 40하고 미묘하게 다릅니다. 기억보정이 되어 그런걸지도 모르겠지만요.
40 pro은 100 pro와 200의 중간 어디쯤 되는 느낌이었습니다.
(폼 필터 삭아버릴떄까지 오래 잘 쓰긴 했습니다. 그 폼 필터가 젠코 AS담당하고 처음으로 싸운 계기기도 하죠.)
14:02
25.06.06.
profile image
호루겔
역시 젠하이저 마스터!ㅎ
40pro와 100pro는 같다는 말도 있고 해서 그냥 퉁쳐서 적어봤습니다.
제가 들어본 건 100pro 입니다 :)

저는 이어폰 돌아가면서 듣는 타잎이라
메인 이어폰이 있는 이상
이제는 개성 강한 이어폰이 좋습니다ㅎ

그래서 기회가 되면 w80 중고 쿨매 잡아볼까 싶어서
매복중입니다 ㅎㅎ

댓글 감사합니다.
14:09
25.06.06.
profile image

저는 ie400, 500 인상이 딱 한마디로 머리속에 남아있습니다.

400 악기
500 보컬

 

둘다 엔지니어용

14:45
25.06.06.
profile image
플랫러버

그런맥락에서 Ie500은 좀 희안합니다.
ie400처럼 v 형태로 만들면 악기 중심 튜닝이 되는건 많이 봤는데
ie500처럼 이어게인을 저렇게 깎아놓고 보컬이 잘 들리는건 희안한? 경험이네요 ㅎㅎ

이어게인을 파 놓으니 보컬의 에너지감이 포화되지 않고 입자감이 고와지면서 풍부한 보컬 존재감이 잘 느껴집니다 ㅎ

15:00
25.06.06.
저 그래프는 어디 사이트에서 보는건가요?
17:29
25.06.06.
kesia
https://graph.hangout.audio/iem/5128/
https://graph.hangout.audio/iem/711/
5128이 신형 측정기지만 데이터는 구형 711쪽이 더 많아요
15:29
25.06.10.
You do not have permission to access. Login
WYSIWYG

Report

"님의 댓글"

Are you sure you want to report this comment?

Comment Delete

"님의 댓글"

I want to Are you sure you want to delete?

Share

Permali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