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ist
  • Down
  • Up
  • Write
  • Search
후기

Trekstor SoundPlug 605 측정 및 감상평

엘릭스 엘릭스
55 4 0

Disclaimer:

  • 본 게시글의 측정치는 IEC 60318-4 규격 기반의 이어 시뮬레이터인 E610A 커플러를 사용하여 500Hz, 94dB SPL 기준으로 측정하였으며, 10kHz 이후 구간은 비신뢰구간입니다.
  • 본 게시글의 모든 측정치는 동일 제품 전체를 대변하지 않으며, 게시글 작성에 사용된 단일 유닛만의 고유 측정치입니다. 

 

IMG_3998.png

@호루겔님 찬조입니다 (무료나눔)

 

1. Introduction and Build Quality

 IMG_3999.png

Trekstor에서 발매된 젠하이저의 OEM 제품이고, MX시리즈의 OEM이 아닐까 추정되고 있는 제품입니다.

1990년대 또는 2000년대에 이어버드 사용하신 분들이라면 자주 보셨을법한 생김새를 취하고 있습니다.

 

IMG_4002.png

케이스는 앞면은 투명, 뒷면은 불투명 플라스틱으로 되어있고, Trekstor 로고와 함께 Powered by Sennheiser라고 OEM 출처를 대문짝만하게 박아놨습니다. 

 

IMG_4001.png

사용 후 케이스에 이어버드를 안착하고, 아래 노브를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케이블이 말려서 정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옛날 이어버드들에서 자주 보던 메커니즘의 케이블인데, 한두번 정도 쓰다가 나중에는 귀찮아서 대충 말아다가 주머니에 쑤셔 넣고 쓰다가 단선나는게 국룰이었죠.

 

패키지 뒷면을 통해 확인된 본 이어버드의 사양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재생 대역폭: 18 - 21,000 Hz
  • 케이블 길이: 1m
  • 임피던스: 16옴
  • SPL: 113dB (1kHz/1Vrms)

 

 

 

2. Impression

 

언제나와 같이 감상은 편의상 음슴체로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이 점 양해 부탁드리겠습니다.

동봉된 솜이 세월의 풍파를 맞아 꺼내자마자 바로 삭아 없어져버려서 솜 없이 바로 들었을때의 감상평임을 유의해주셨으면 합니다.

  • 옛날 소리나는, 그야말로 "로우 파이" 리시버
  • 소리가 전반적으로 매우 밝음
  • 누가 들어도 들릴만한 좌우편차 존재. 좌측이 우측보다 조용함
  • 서브대역이 존재하지 않고, 리니어하지 않으며, 불안정하게 재생되는 저음역대. 중음역대는 전반적으로 깔끔함. 저음역대 전반적으로 일관적이지 않으며, 디스토션으로 인해 저음역대 전반적인 악기 표현이 들쑥날쑥함
  • 중음역대와 고음역대가 상당히 날카로우며, 들쑥날쑥해서 선형적이지 못함. Upper mids 및 고음역대 전반에 디스토션이 깔려있기도 해서 피로감이 빠르게 누적되어 오래 듣기 힘듬
  • 볼륨 슬라이더가 작동을 하긴 하나, 볼륨 슬라이더라기 보다는 임피던스 조절을 통한 게인 컨트롤에 더 가까운 느낌. 슬라이더를 내리면 내릴수록 좌우편차가 심해짐
  • 음역대 전반적으로 어택만 있고, 짧은 디케이 이후 서스테인과 릴리스따위는 취급하지 않는다고 말하는 듯한 표현력
  • 사이즈는 일반적인 IEM 사이즈의 무딘 이미징. 악기들의 배치와 위치는 잡히긴 하나, 깔끔한 이미징을 부여해주지 않으며, 악기 간의 분리도도 상당히 낮은 편. 거기에 중간 이미징이 상실되어 미묘함

 이상입니다. 

 

 

 

3. Measurement

 

Trekstor_SoundPlug 605_All.png

솜이 너무 오래되어 꺼내자마자 삭아 없어져버려 솜 없이 진행한 측정치입니다. 

 

저음대역이 저렇게 빠르게 롤오프 될 경우, 그에 맞춰 이어게인도 내려가지 않는다면 귀를 찌르는 고음과 빠르게 누적되는 피로도를 경험할 수 있다는것을 보여주는 측정치입니다. 

 

300Hz 이후 측정치만 보면 선형적이지만 않을 뿐 전반적으로 준수한 측정결과를 보여줍니다만, 저음이 300Hz 이후에는 빠르게 롤오프되어 사라지는, 저음 자체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 특성 상, 받쳐주지 않는 저음으로 인해 이어게인 및 고음역대가 상당히 부각되어 피로감이 빠르게 누적됩니다.  

 

사실 측정 전까지는 300Hz 위가 하만타겟과 이렇게 일치할줄은 몰랐습니다. 소리만 들으면 꽤 엉망인 구성이었습니다만, 측정 후 타겟에 올려보니 의외로 멀쩡해서 놀라웠습니다. 깎는다면 아마 1-2k의 레벨과 3-5.5k의 레벨을 전반적으로 줄여주는 작업을 하면 괜찮지 않을까 싶습니다.

 

반대로, 솜 없이 저정도이니, 필터 역할을 할 수 있는 솜을 앞에 두면 그럭저럭 들을만 해질 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4. Conclusion

 

예상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 라디오 소리라 큰 감흥은 없었습니다만, 오히려 측정 이후에 이 소리에 이런 측정치가 나올수도 있구나 하는 것을 보고, 다시금 타겟에 맞추는게 능사가 아니라, 드라이버 자체와 폼팩터 자체에 한계가 있으면, 한계점을 대역별로 어떻게 손을 보고 튜닝을 해야지 극복을 할 수 있는가가 중요하다는것을 보여주는 듯 한 모습이 아닌가 싶습니다. 

 

또한, 이어버드 형태의 IEM, 흔히 말하는 "오픈형 이어폰" 기술도 이 당시 대비 많이 발전한 것을 볼 수 있는 기회였다고 생각합니다. 저음역대 대역폭이 상당히 개선되고, 저음역대 선형성 및 디스토션도 많이 개선되어 듣기 좋아졌던 것을 지난 Aful Polar Night 찬조리뷰 당시 경험했던것을 생각하면, 수요가 있는 만큼 앞으로도 개선 가능성이 기대되는 폼팩터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흥미로운 경험이었습니다. 무료나눔을 통해 찬조해주신 @호루겔님 다시금 감사드립니다!

엘릭스 엘릭스
60 Lv. 72045/74420EXP

Headphones
  •    - Sennheiser HD800S
  •    - Yamaha HP-1 (Modded)
  •    - Stax SR-5 Gold
  •    - Sennheiser Unipolar 2000
  •    - IN2UIT C501
  •    - Dyson Ontrac
IEMs
  •    - Hidition Viento-B CIEM
  •    - Sennheiser IE900
  •    - Apple AirPods Pro 2
Speakers
  •    - Kanto Ora
Sources
  •    - Mac Mini (M2 Pro, 32GB RAM, 512 SSD)
  •    - Fosi ZD3 + Fosi ZA3
  •    - Stax SRD-6/SB
  •    - Sennheiser HER2000
  •    - iPod Video (64MB RAM, Rockboxed)
  •    - E1DA 9039S
Measurement Rigs
  •    - Ear Simulator: IEC 60318-4 Standard (711, E610A)
  •    - Pinna: KB501X Pinna (w. ITU-T P.58 Standard Stand)
Squig.link Databases

 

I believe that;

  • - Great-sounding receivers do not always correlate with their price.
  • - Good things are becoming affordable, and cheap things are improving over time.
ReportShareScrap
-Redeyesrabbit -Redeyesrabbit님 포함 4명이 추천

Comment 0

Comment Write
You do not have permission to access. Login
WYSIWYG

Report

"님의 댓글"

Are you sure you want to report this comment?

Comment Delete

"님의 댓글"

I want to Are you sure you want to delete?

Share

Permali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