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잡담

5월의 지름 (2) - 파이널 A3000

더블유
116 7 9

A3000 (1).jpg

대충 찍은 박스 샷으로 시작.

지인이 5월 첫 주차에 일본간다는 소식에 부랴부랴 부탁해서, 지인 찬스로 공수해온 A3000입니다.

작년에 K702 구할 때도 느낀 거지만, 일본 제품들은 요즘 엔저에 외국인 면세 10%까지 붙으면 진짜 국내가랑 체감되는 차이가 장난 아닙니다 -ㅅ-;

 

A3000 구성품.png

구성품은 케이스, 이어폰 본체, 파이널 E팁 5단세트입니다. 여담으로 박스에서 처음 꺼낼때 군데군데마다 전부 비닐로 스크래치 방지해놓은거 보고 피규어 까는 줄 알았습니다. 너거들 E시리즈에서는 이정도로 정성 들여서 포장했던 것 같지 않은데

E팁 5쌍을 종류별로 주는건 참 좋긴 한데, 예전에는 파이널 E팁이 넉넉하면 참 든든했었는데, 요즘 이어폰 상당수는 노즐 굵기가 한 굵굵하는지라 여분의 E팁이 무쓸모가 되는 경우가 많단 말이죠 꺼흑.

 

 

쉘 1.png쉘 2.png

쉘 디자인이 특이하게 생겨서 귀 형상에 따라 착용감에서 호불호가 갈린다고 하는데 저는 다행이도 적당하게 맞았습니다. 무지성으로 시착해보지도 않고 지른거라서 안심했습니다 ㅋㅋㅋ;;

 

 

 

 

 A3000 케이스 샷.png

소리는 역시 1DD의 명가 파이널이란 감탄이 우선 나오는 소리입니다.

새로 바뀐 파이널의 명명법에 따르면 3000이란 명칭은 보통 세미엔트리나 엔트리에 붙는 명칭으로 여겨지는 편인데,

A시리즈는 급이 다르다를 보여주고 싶었는지 가격도 E3000이랑 자릿수가 다르긴 함 최하위모델인 A3000부터 그 표현법이 기존 파이널 이어폰들과는 궤를 달리합니다.

여러모로 완성형에 가까운 소리를 엔트리모델에서부터 들려줍니다. 이러면 A4000이랑 5000에 대한 기대감이 더 커지는데 씁

상급기들과 비교할 때, 비교적 양감이 확보된 저음을 통해 균형 있게 잡힌 톤밸런스와 오밀조밀한 공간조성감이 특징이라는 표현을 리뷰들에서 종종 볼 수 있었는데, 제 생각으로는 어디까지나 상급기들과의 비교에서 해당 표현을 써야한다고 봅니다. A3000도 기본적인 톤밸런스 자체는 시원푸르슴한 공간감각을 가진, 하늘빛에 가까운 한색계통의 소리거든요.

 

보다 구체적으로 이야기해보자면 시원시원하게 뻗어나가면서도 섬세하고 여리여리한 중고음역대를 기본으로 가져오는 가운데에서, 적당한 양감과 타격감을 가진 저음이 그를 뒷받쳐줍니다. 그리고 공간감각과 입체감면에서 B시리즈에서 파이널이 시도했던 실험이 성숙한 단계에 다다랐구나를 엔트리모델에서부터 느낄 수 있습니다. 6.4mm 싱글 다이나믹 드라이버 답지 않게 기본적으로 가져오는 넓은 공간, 음상이 아래에 부드럽게 깔리는 저음, 은은한 잔향감을 가지고 주변부에서 맴돌면서 입체감을 조성하는데 기여하는 고음부에 공기감을 부드럽게 머금은 초고역까지, 표현력 자체는 E시리즈에서 진일보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E시리즈의 그것은 머리맡에 놓인 스피커를 이어폰으로 옮겨와서 듣는 듯한 감각이었다면, A시리즈의 이것은 애초에 무대 자체를 이어폰에 어울리도록 가다듬어서 낸 느낌이랄까요.

특히 여리여리한 선율을 가지고 청감적으로 시원시원하게 펼쳐내 보이는 공간이 참 매력적입니다. 톤밸런스를 한색 계열로 가져간 이유가 보이는 감각이랄까요.

 

그리고 이 모든게 풀레인지 다이나믹 드라이버 특유의 자연스럽고 유기적으로 조직된 소리를 바탕으로 하는지라, 재밌으면서도 편하고 여리여리하면서도 시원시원하고 입체감도 한 스푼 첨가된 소리입니다. 분명 A시리즈의 엔트리인데 이정도의 퀄리티라니...이러면 총알을 모아서 4000이랑 5000도 살 수 밖에 없게 되자나...

 

물론 파이널이 언제나 그렇듯, 사용하면서 느낀 단점도 만만찮긴 합니다. 그 중 가장 크게 느낀 점을 이야기해보자면, A3000이 감도가 꽤 낮은지라 어느정도 출력이 받쳐주는 기기를 요구하더군요. 제가 가진 기기로 예시를 들면 32옴 120mw, 2vrms의 K3S에서는 음상이 정돈되지 않고 저음이 힘이 실리지 않는다는 느낌을 받은 반면에, 32옴에 2.6~3.5vrms에 211mw의 ifi uno에서는 정돈된 음상과 힘이 실린 저음이란 차이를 느꼈거든요. 이거 이어폰이자나 파이널아...왜 헤드폰스러워...

앰프에 큰 돈 쓰기 싫은데, 자꾸만 앰프 뽐뿌 불어넣는 놈들이 구해지네 쓰글.

물론 제 입장에서는 아예 특정 음원과 장르만 강제하던 아다지오, 헤븐, 피아노포르테나, 다른 제품을 사용하다가 오면 어느정도 뇌이징시간이 필요한 E시리즈에 비하면 양반이라고 생각하긴 합니다. 일단 끼고 음악을 틀기 시작하자마자 '아, 이것은 좋은 소리다.' 라는 감상이 드는 제품들이 있는데 A3000도 거기에 들어갈 수 있다고 보거든요. 그리고 자꾸만 커져가는 A4000과 A5000에 대한 기대감

더블유
9 Lv. 1955/2000EXP

생각나는대로 작성중

 

* 현역

- 유선이어폰

젠하이져: MX300(구 아이리버 CDP 번들), MX400, MX500

AKG: K319
유코텍: ES303, ES703, IM400, RE-1pro, IL1000, RE-3

소니: MDR-E888

크레신: E700(핸드폰 번들)

에티모틱: ER4S

우성음향: EXS-X15

이어나인: EN1

JDR: 돌피니어

파이널: E500, E1000, E2000, E4000, 아다지오2

트루스이어: 홀라, 크리나클 제로, 헥사

수월우: 쿽스, 츄, 츄2

KZ: PR1, AS16pro

키네라: 판다몬 1.0, 와이번

IKKO: OH2

아즈라: AIM C

씨오디오: 유메 울트라

NiceHCK: YD30, EB2S

7hz: zero

하이디즈: 갤럭시 ms-1

 

- 유선헤드폰

데논: D1001, D510, D340

오디오테크니카: ATH-ES3, ATH-M30x

젠하이져: HD600

AKG: K612, K702

코스: ksc75, ksc35, kph30, kph40

 

- 꼬다리 DAC

하이비: FC1, FC3

피오: KA2

샨링: UA1 plus

트루스이어: 시오

아이코랏: 매직아크 

넥슘: 아쿠아

기타: 리얼텍 칩셋 사용 젠더 2종

 

- USB 전원 거치형 DAC/AMP

IFI: 우노

피오: E10K, K3S

 

- 무선

앱코: ATF1000

크리에이티브: 아웃라이어 v3

오디오테크니카: ATH-M20xbt

 

 

* 곁을 떠나간 친구들

- 이어폰

젠하이져: CX200(고장), MX400-ii(발굴 중)

우성음향: EXS-X10 사이렌 BA탑재 구버전(고장)

UE: UE600(고장), 트파(방출)

유코텍: CS313(발굴 중), ES903(발굴 중), ES503(무나)

소니: MDR-EX35lp(고장), MDR-EX300sl(무나), MDR-EX650(무나)

크레신: C230(발굴 중)

필립스: SHE9650(단선 및 유닛 본드 접합 떨어짐), SHS3200(발굴중)

하파맨(헤드다이렉트): RE0(방출)

 

- 헤드폰

크레신: C320H(발굴 중)

필립스: SHP9400(발굴 중)

 

- 플레이어 및 앰프

소니: A845(지인이 물을 부음)

피오: A3

 

- 무선

모비프렌: 피넛(충전접점 녹), S710(단선)

QCY: T1C(세탁기...), T8(충전접점 녹), T10(충전접점 녹)

코원: CX5(유닛 페어링 문제)

코스: kph7(충전 문제)

크레신: BT120NC(무나)

에이프릴스톤: A20(충전접점 녹)

 

* 보관소

유코텍: ES103(단자 단선)

베이어다이나믹: dtx11ie(단선 추정)

슈어: SE215spe(유닛 결합부 본드 배어나옴)

모비프렌: E1000, E3100, NB5100(세 제품 모두 장시간 미사용), 페블(패드 교체가 까탈스러워서 방치 중)

신고공유스크랩
배고파정말 배고파정말님 포함 7명이 추천

댓글 9

댓글 쓰기
profile image 3등

A 시리즈 착용감이 귀에 맞으신다면

5000꼭 사용해 보세요. 많은 분들이 

4000<3000<<<5000이라고 하네요.

07:32
24.05.19.
iHSYi
헉 파이널 A시리즈에서는 4000보다 3000이 절대적으로 더 좋나요? 아니면 가격대에 비해서 좋은건가요?
09:00
24.05.19.
profile image
곡예사
저는 바로 5000으로 시작해서
직접적인 경험은 없는데 많은 분들이
4000보다는 3000 이 좋다고 하시고
가격차이도 크지 않아서 상위호환이 아닌
취향에 따른 튜닝차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09:05
24.05.19.
profile image

지름 축하드립니다. 엄청 자세한 후기도 잘봤습니다. 

07:34
24.05.19.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월 활동 이벤트 상품 안내! 32 영디비 24.05.16.16:29 1235 +13
잡담
image
라인이120 1시간 전15:05 33 +4
잡담
normal
purplemountain 1시간 전14:38 65 +6
잡담
image
플랫러버 2시간 전13:51 81 +13
잡담
image
오마이걸 2시간 전13:28 28 +3
잡담
normal
쏘핫 4시간 전12:01 153 +6
잡담
image
Magnesium 5시간 전10:52 165 +9
잡담
image
숙지니 5시간 전10:12 64 +7
잡담
image
COCT 7시간 전08:32 80 +5
잡담
normal
FADELART 8시간 전08:03 69 +6
잡담
image
COCT 8시간 전07:53 94 +5
잡담
image
COCT 8시간 전07:35 62 +3
음향
image
SBLIFE 8시간 전07:28 74 +7
뉴스
image
Gprofile 12시간 전03:10 82 +7
잡담
image
Gprofile 14시간 전02:00 51 +8
잡담
normal
DECALPHA 14시간 전01:52 89 +5
잡담
image
-towhgdk 14시간 전01:49 76 +6
잡담
normal
종결포기합니다 14시간 전01:41 69 +8
잡담
image
더블유 15시간 전00:21 99 +7
잡담
image
오마이걸 16시간 전00:06 96 +9
잡담
normal
kalstein 16시간 전00:05 114 +7
잡담
image
쏘핫 16시간 전23:20 307 +11
잡담
image
eoeoe 16시간 전23:12 76 +11
잡담
normal
벤치프레스좋아함 16시간 전23:10 90 +10
잡담
image
오마이걸 17시간 전22:41 72 +7
잡담
image
호루겔 17시간 전22:39 90 +8
잡담
image
로우파이맨최노인 17시간 전22:28 148 +13
잡담
normal
purplemountain 18시간 전21:33 85 +7
잡담
image
벤치프레스좋아함 19시간 전21:05 114 +12
잡담
normal
iHSYi 20시간 전19:23 203 +8
잡담
image
플랫러버 20시간 전19:21 78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