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음향

스피커보다 헤드폰이 가성비 높긴 하지만

코코타히티 코코타히티
3331 1 10

 천만원 아날로그 오디오와 천만원 디지탈 오디오 하면 디지탈이 당연히 승자일뿐더러 앞으로도 그러리라고 봅니다

과거 진공관이나 트랜지스터가 하던 것을 이젠 쪼끄만 반도체가 다 할 수 있으니 게다가 과거 아무리 몸부림쳐도 디지탈이 아날로그는 따라 할 수 없어라는 저의 생각이 이미 바꼈습니다만

이제는 과거 회로 싸움에서 알고리즘 싸움으로 바뀐지도 오래  아닐까 합니다만 오디오 세계에서도 옛 로망만을 그리워 하는 것은 뒤쳐진거 아닐까 합니다

그래도 아직 눈에 보이는 저항 콘덴서 코일로 이루어진 앰프들이 비싸게 팔리는 것은 그 따뜻한 음 하나 아닐까 합니다

신고공유스크랩
벤치프레스좋아함님 포함 1명이 추천

댓글 10

댓글 쓰기
1등

음... 가성비는 스피커가 더 높을듯... 20만원대 엑티브 스피커가 20만원대 헤드폰 보다 소리가 좋고 (물론 공간확보비용이 엄청나지만...ㅎㅎ) 20만원대 이어폰보다 20만원대 헤드폰이 소리가 좋으니... 가성비는...^^;;; 
이/헤폰은 아무리 발버둥 쳐도 결국 스피커 스런 사운드가 목표다 보니 같은 돈이면 스피커를 사는게 더 음감에는 더 나을듯 싶네요. 물론... 스피커는 공간이 문제라... 자신의 방을 확보하는 돈이 서울에서 살게되면 억대인게 문제죠... ㅠㅠ

15:55
20.10.28.
슈뢰딩거의고양이
방도 문제지만 방음처리까지 고려하면 돈이 더 나가죠...
16:16
20.10.28.
profile image 2등

리얼리티를 따지자면, 사실 따스한 음이라는 것 자체가 왜곡이라고 생각합니다. 실제 현장음을 들어보면 그렇게 따스하지만은 않으니까요. 차가운 음도 있고 따스한 음도 있다는 현상과 기온이 낮으면 차갑게 들리고 높으면 따스하게 들리기도 하는 청자의 착각도 있고요. 결국 반도체로만 이루어진 저왜율 기기의 소리가 본질에 가깝게 다가가는데에 훨씬 합리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측정치만으로 보면 이미 수십만원짜리의 기기들이 과거 하이엔드 명기들 수준을 훌쩍 뛰어넘어 있지요.
  
그러나 합리성만으로 따져보는 건 현 시점까지인 것 같다는 생각도 드네요. 앞으로는 감성 측면도 인정해야 할 때가 다가올 듯 합니다. 합리성만 따지자면 소스 디지털 출력이 곧바로 D클래스 앰프로 가서 곧바로 드라이버를 구동하는 형태가 가장 이상적이라는 걸 알고 있으면서도, 저는 평생기기로는 결국 진공관 앰프를 구매했습니다. 화려한 왜율을 보여주겠지만, 이러나 저러나 '희안하게 좋다'면 매우 만족하니까요. :D 이러나 저러나 전제는 역시 '듣기 좋아야 한다'는 건 변치 않겠죠.
  
본격적으로 스피커를 즐기려면, 실상 탈서울 탈아파트 탈주거 해야 할 겁니다. 수십억 하는 집에 들어가도 이웃집에서 타박하면 말짱 꽝이니까요. 윗집에서 발 잘못 디뎌서 꿍!! 하기만 해도 인터폰으로 경비실에 항의하는게 우리네 현실이니. ㅠ.ㅠ 제 개인적인 관점에서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원래도 까칠했지만 요즘 들어서는 너무 심하게 날카로워져 있다고 느껴요. 오디오? 소장 날라올거 같은. ㅠ.ㅠ 뭐, 시골이나 어디 허허벌판에 땅 널찍하게 사다가 울타리 넓게 치고 방음재 빵빵하게 넣고 집 지어야죠. 
  
하이엔드 북쉘프 스피커를 좁은 방에서 소심하게 울리는 것보다는, 넓은 전원주택 거실에서 인켈, 아남, 태광, 롯데 톨보이로 시원시원하게 울리는게 좋은 측면이 더 많을 수도 있다고 생각해요.

16:42
20.10.28.
profile image 3등
집에 있는 130 만원 짜리 블투 스피커도 볼륨 절반도 못쓰는게 현실이라 개인주택 가고싶네요
16:44
20.10.28.
profile image
Love_ZARD

단독주택에 가도, 옆집으로 조금이라도 새어나가면 적게는 항의부터 시작해서 자칫 잘못하면 처음 보는 모 사이트 사람들이 집 앞에서 '사과하라'며 피켓 들고 정모하고 있는 걸 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결국 할 수 있는 건 미니스피커 사다가 니어필드로 듣는 정도가 한계이지요. 공간을 꽉 채우도록 빵빵하게 틀고도 밖으로 새어나온 소리가 이웃집까지 도달하지 않으려면 정말 시골에는 가야 되겠더군요.

16:49
20.10.28.
profile image
가성비니 옛로망이니 이런거 따지면 이바닥 취미생활 어렵죠 ㅎ
17:41
20.10.28.
profile image
오디오의 끝은 집입니다. 볼륨 확보 제대로 하려면 진짜 주택 살거나 방음 처리한 방 하나 마련해야 합니다. 스피커로 음감 하면서 뼈저리게 느끼네요.
17:51
20.10.28.
profile image

단독주택에 딸린 지하실에 청음 룸을 꾸미는게 해답인 듯 합니다. 
언젠가 여유가 되면 그런 지하실에 청음룸+취미방을 꾸며보고 싶네요.

02:24
20.10.29.
profile image

저는 왜곡같은거 신경 안쓰고 얇은 종이콘지 유닛 하나만 달고 있는 단순한 스피커를 작고 이쁜 진공관 앰프로 살살 달래가며 갖고 노는게 로망입니다. (물론 그 옆에는 액티브 모니터 시스템이 레퍼런스로 버티고 있어줘야 합니다만 ㅎㅎ)
  
제 개인적인 지론인데요, 
"힘"의 전달과 변환에서는 왜곡에 너그러울 수 있어도 "신호"의 전달과 변환 과정에서는 반드시 초저왜율을 추구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즉 녹음과정에서는 마이크에서 멀어지고 마스터 테이프에 가까워질수록 왜율이 낮아야 하며, 재생과정에서는 스피커에서 멀어지고 소스에 가까워질수록 왜율이 낮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무슨 이론적 근거가 있는건 아니고 개인적인 경험에서 이게 뒤집어진 시스템에서는 좋은 소리를 들어본 적이 거의 없기 때문에 그렇게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진공관 DAC에서 좋은 소리를 들으려면 대개는 앰프도 진공관이어야 했습니다. 진공관의 자연스러운 소리라는게 진공관의 출력임피던스와 스피커 쪽의 부하 특성이 함께 만들어내는 현상일텐데, 진공관 달린 디지털 소스기기나 프리앰프 뒷단에다가 저왜율 고댐핑 고출력 TR앰프를 통해서 스피커로 연결하면 그냥 이상한 이펙터 달린 TR소리나 마찬가지로 들렸습니다. 곡 하나가 끝나기도 전에 질려버리기 일쑤였지요. 그래서 구식 진공관 앰프(특히 소출력)는 여전히 좋아할 수 있지만... 잔재주 들어간 소스기기는 멀리하게 됐습니다.

03:36
20.10.29.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부운영자 모집 공고! 29 영디비 24.06.04.15:37 3347 +16
6월 활동 이벤트 공지 및 상품 안내! 54 영디비 24.06.03.15:27 3288 +15
5월 이벤트 당첨자 안내! 30 영디비 24.06.03.12:52 2821 +13
음향
image
AShady 34분 전16:43 36 +4
잡담
normal
문아리 44분 전16:33 37 +5
잡담
image
eoeoe 2시간 전14:22 121 +7
잡담
normal
쏘핫 3시간 전13:20 95 +6
잡담
image
COCT 4시간 전13:13 98 +6
잡담
normal
쏘핫 4시간 전13:01 42 +4
유머
image
카드값안주는체리 4시간 전13:01 88 +5
음향
normal
구아구아 5시간 전12:15 98 +12
잡담
normal
쏘핫 5시간 전12:00 54 +4
잡담
image
eoeoe 5시간 전12:00 185 +6
잡담
image
Underground 8시간 전09:12 202 +10
잡담
image
마니마니 11시간 전05:28 85 +11
잡담
normal
-답이님 12시간 전05:02 101 +8
음향
normal
박지훈 12시간 전04:38 124 +5
잡담
image
카드값안주는체리 13시간 전04:14 53 +3
유머
image
카드값안주는체리 16시간 전01:06 187 +7
유머
image
카드값안주는체리 16시간 전00:49 160 +8
잡담
image
카드값안주는체리 16시간 전00:21 36 +3
잡담
image
alpine-snow 16시간 전00:20 124 +6
잡담
image
타이거마스크 17시간 전00:03 47 +9
잡담
image
카드값안주는체리 17시간 전00:00 59 +9
잡담
normal
alpine-snow 17시간 전23:50 94 +7
잡담
image
LiNee 17시간 전23:30 49 +5
음향
normal
dashlee 17시간 전23:22 135 +10
잡담
image
LiNee 18시간 전23:11 52 +8
음향
image
플랫러버 18시간 전22:42 66 +11
잡담
image
LiNee 18시간 전22:42 44 +6
잡담
image
TEREA 18시간 전22:34 53 +8
잡담
normal
종결포기합니다 18시간 전22:34 127 +8
잡담
image
윤석빈 19시간 전22:10 3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