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음향

헤드폰, 이어폰의 DD는 기술발전에 한계가 온걸까요?

결이8709 결이8709
3360 0 22

스피커는 아직 DD가지고 온갖 기상천외한 시도를 많이 하던데..

이어폰, 헤드폰 DD는 뭔가 획기적인 기술 발전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신품이 더이상 안나오는거 같습니다 
 

당장 젠하이저는 HD800S 이후 확실한 발전이 없고 베이어다이나믹은 T1의 마이너체인지 이상 못하고 있고

포칼도 유토피아, 스텔리아 만든이후 유닛 재질하고 하우징 구조정도만 고쳐서 튜닝하는정도라  
 DD 방식 이어폰, 헤드폰에선 뭔가 획기적인 기술 발전이 더 이상 안보이는거 같아요
  
굳이 더 있다하면 보이스 코일이나 진동판에 "그래핀" 소재를 적용하는 연구정도가 있을거 같네요 
  
현재 주요 헤드폰 제조사들이 전부 "평판형"으로 넘어가고 심지어 "정전형" 까지 신품이 나오는걸 보면 
평판형과 정전형은 기술발전의 여지가 더 남아있는듯한데 DD의 미래는 어떻게될지.. 
 

신고공유스크랩

댓글 22

댓글 쓰기
profile image 1등

dd는 아무래도 여기서 개선의 여지가 많지는 않죠. 거기다가 유선헤드폰 시장도 좋질 못하니...

17:05
21.12.01.
profile image
lIllIlIlIII
일반인 기준에선 그냥 버즈나 에어팟 같은걸로 종결지어버리다보니... 요즘 시기엔 유선종류는 정말 매니악한 영역이 되어버린것같네요
17:17
21.12.01.
profile image
결이8709 작성자
윤석빈
뭔가 획기적인건 나오기 어렵지않을까싶습니다..
18:12
21.12.01.
profile image 3등

HD800처럼 획기적인 구조를 들고오지 않는 한 비슷비슷할 거예요.

17:42
21.12.01.
profile image

최근 10년 사이에 엄청난 발전이 있었다고 생각하는 건 저 뿐인가요??? ㅎㅎㅎㅎ

20:35
21.12.01.
영디비
이어폰쪽은 쿼드비트가 그 시작을 울렸다고 생각합니다. 기존 dd론 확보하기 어려웠던 초고역대 재생과 적은 분할진동을 가능하게 만들었었죠 그러면서 다른회사들도 쿼드비트를 따라 여러제품들이 나오고 (디락 오퍼스 ix시리즈등등) 저가형 시장도 엄청 발전하고 중국시장도 들어오면서 dd의 성능이나 시장이 엄청 발전하게 되었죠

헤드폰쪽은 신소재 덕분인지몰라도 클리어나 유토피아 hi x65등을보면 이젠 오픈형 헤드폰에서도 극저역재생이 가능한 제품이 있구나라고 확실히 많이 발전되었다는게 보이긴합니다.
22:03
21.12.01.
영디비
드라이버 재질도 이런저런 시도가 많이 있었고
그외에 헬륨홀츠 공명기 같은것도 새로운 기술도입일텐데...
방식 자체에 뭔가 혁신적인 변화가 없어서 변화가 없다 생각하는거라면...
그정도로 혁신이 발생하면 그건 DD가 아닐거 같습니다 ㅎㅎ
22:28
21.12.01.
영디비
이어폰쪽은 엄청 발전하긴했는데.... 헤드폰쪽은 아무래도 DD 특성상 사이즈가 크다보니.
평판형쪽으로 많이 발전한것 같아요.

근데...평판형들은 분할공진에 좀 문제가 적나요? 얇아서 긍가?;
DD는 가볍고 튼튼해야되는걸로 아는데.... 평판형들은 얇은 막 그걸로 소리를 낸다는게 신기방기.
23:49
21.12.01.
profile image
kalstein
다이나믹은 전도선코일이 붙어있는 동그란 부분에만 힘이 가해져서 분할공진이 일어나는데
평판자력형은 면 전체에 전도선이 고르게 펼쳐져 있어서 분할공진이 없거나 극히 적습니다.
정전형은 진동판 자체가 모두 힘을 받고요.
06:18
21.12.02.
profile image
kalstein
원래 얇으면 얇을수록 분할진동에 불리합니다. 다만 구동력 확보에 유리하죠(무게가 줄어드니)
평판형과 정전형이 얇은 이유는 분할진동을 구조상 거의 신경쓸 필요가 없어서입니다.

종이를 손가락으로 한점만 잡고 흔들면 펄럭입니다.
다이나믹이 이에 비유될수 있고 펄럭임이 분할진동이라고 보시면됩니다.
종이가 넓으면 넓을수록 잘 펄럭이고, 종이가 얇으면 얇을수록 잘 펄럭입니다.

근데 종이가 아무리 얇고 넓어도 종이를 두손의 손바닥으로 위아래를 전체적으로 붙잡고 흔들면 같은 사이즈의 종이를 흔들어도 안 펄럭입니다. 평판형과 정전형은 이에 비유될수 있습니다.

그래서 평판형과 정전형은 다이나믹처럼 강성과 경량화를 둘다 잡는 모순된 개고생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다이나믹은 분할진동을 잡을려고 강성을 늘리지만, 강성을 늘리면 무게가 늘어나는데,
무게를 팍팍 늘리면 힘주는대로 드라이버가 움직여지지 않을테니 당연히 구동력 부족이란 딜레마가
생기는데, 평판형과 정전형은 드라이버사이즈를 맘 놓고 틀리고, 맘 놓고 경량화해도 분할진동이 없습니다.
09:59
21.12.02.
profile image
영디비
발전이라기 보단 상평준화가 아닐까요? 이미 좋은 진동판 디자인은 이미 존제 했지만 아주 고가 제품들만의 것이였으니까요
04:56
21.12.02.
profile image

시장성에 따른 R&D 투자 여부의 문제는 있겠지만, 
DD 쪽은 구조상 아직 다양화의 여지가 많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헤드폰은 하우징 기술도 더 파볼 여지가 한참 많은 것 같고요. 
중요한 건, 돈이 되느냐가 아닐까 싶습니다. 돈이 안 되면 유지조차 못하니까요.

21:35
21.12.01.
profile image

기술발전이라기보단... 물리적으로 체급을 넘을 수 없어서 그렇다.. 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 체급을 넘기 위해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강화하는게 돈도 덜들고 시도하기 쉽기도 하고요.

00:54
21.12.02.
profile image

음.... 스피커에 기상천외한 시도를 많이 한다구요....? 
 그 반대 아닌가요...? 메이저 업체의 제대로 된(꽤 잘 팔리는) 스피커  
 중에 그런거 남아있는지 의문입니다. 
  
 당장 말씀하신 그래핀 사용한 드라이버는 스피커에선 찾아보기도 힘듭니다. 
 이어폰에서나 잘 보이죠.  헤드폰에선 말씀하신 포칼 정도가 있겠구요.

09:50
21.12.02.
profile image
청염
드비알레 정도가 좋은 예 아닐까요? 트위터도 아크방전을 통해 만든 스피커도 있고요..
14:36
21.12.02.
profile image
nerin

아크방전은 지금 주제인 DD가 아니니 아예 다른 이야기인데다,  
완제품으로서 잘 팔리는 제품을 이야기해야 맞는것 같으니 패스하고..

드비알레는 다른 스피커들에 비해서 굉장히 독특하고 신선한 제품은 맞습니다만,
스피커 DD 드라이버 혁신이 일어났다고 볼만한 경우인진 모르겠습니다.  
 
 그나마 극저역 재생이 사이즈에 비해서 잘된다는 부분 정도..... 
 이것도 드라이버의 개선보단 드라이버를 제어를 더 잘하게 되었기 때문에 
 High excursion을 구현한거라 소프트웨어나 드라이버 외적인 개선에 가까운게 아닌가 싶네요.

17:32
21.12.02.

아참 그리고 스피커는... 오히려 발전없지않나요 ㅎㅎ DSP 넣는게 큰 발전이라면 발전일수도있긴합니다만... 그건 기존스피커 가지고도 할수있는거라. 
 그나마 kef의 meta 가 조금 뭔가 새로운 시도라고 봅니다. 

10:17
21.12.02.
kalstein
스피커는 홈팟이 가장 발전된 형태일겁니다.
22:39
21.12.02.
-karsh
아 그렇죠. 홈팟이 있었네요... 근데 홈팟도 첨에 말한대로는 좀 제대로 안 돌아간다는 얘기도 얼핏들은거 같아요 ㅋㅋ
23:01
21.12.02.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월 활동 이벤트 공지 및 상품 안내! 44 N 영디비 4시간 전15:27 89 +11
5월 이벤트 당첨자 안내! 25 N 영디비 7시간 전12:52 86 +13
음향
image
Heskeybi 20.09.02.13:57 3228 +10
음향
image
마키세크리스 20.06.06.15:50 2617 +3
음향
image
-시로에몽 22.03.12.14:55 1133 +1
음향
image
KONGKONG 23.06.26.18:24 359 +2
음향
image
hankey 20.07.31.15:52 4616 +2
음향
image
엔디제이디제이 23.05.03.23:34 323 +5
음향
image
로우파이맨최노인 23.11.08.21:19 1258 +10
음향
image
KIMBBAM 18.05.06.01:14 5218 +2
음향
image
문아리 22.07.22.19:23 2652 0
음향
normal
문아리 22.12.29.09:48 257 +1
음향
image
SunRise 21.03.13.01:43 1801 +2
음향
image
SunRise 20.10.14.22:27 2380 +1
음향
image
mnmnmn 20.10.14.22:17 2463 +1
음향
normal
청년 22.10.31.17:15 1158 +2
음향
image
Андрей 21.10.10.13:46 1178 0
음향
normal
알린 21.12.23.22:59 710 +2
음향
image
Vuryier 21.02.02.19:12 1033 +1
음향
normal
SunRise 22.12.28.00:39 1481 +4
음향
normal
JustYOLO 20.10.02.20:21 957 +5
음향
image
문아리 21.12.27.17:37 961 +7
음향
image
무선수집가푸우 23.10.07.19:11 187 +6
음향
normal
풍악을울려라! 22.09.09.14:51 2572 0
음향
image
문아리 22.07.10.11:05 1182 +1
음향
image
문아리 22.12.08.18:00 366 +3
음향
normal
문아리 22.02.18.22:36 907 +1
음향
normal
-beyjin 21.01.24.09:24 2091 0
음향
image
alpine-snow 20.09.03.00:38 1816 +6
음향
normal
플랫러버 23.03.20.10:22 495 +2
음향
image
SunRise 21.09.26.16:39 2461 +2
음향
normal
하롱이 20.12.15.15:14 2381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