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잡담

Qualia 010 --> HD800 --> UTOPIA --> YH-5000SE

FADELART FADELART
2502 2 6

338c3b238f16ea3dcdd23938201688d8.jpg 
 

095028bece2ef9a6f42d8ab1ab3381af_resize.jpg

 
  
 Qualia 010 - SONY_2004 
 Dyanamic (Bio cellulose) 
  
  
 
 

hd800sside.jpg

 
  
 

8422188.jpg

  
 
  Hd800 - Sennheiser_2009 
 Dynamic (Ring transducer)
  
   
  
 
 

 
Utopia-2022-Mise-en-avant.jpg 
  

focal-utopia-2022-driver.jpg

 
  
 Utopia - focal_2018 
 Dynamic (Beryllium) 
  
  
  
  

001l (1).jpg

  
 

001l.jpg


 

015l.jpg  
 

008l.jpg 
 
YH-5000SE - Yamaha_2022 
 Orthodynamic 
   
  
  
 이번에 야마하 신제품을 보면서  퀄리아에서 비롯된 하우징-드라이버 일체형 구조를 그대로 이으며 마치 HD800과 Uopia를 섞어놓은 듯한 인상을 받았습니다. 재미있는 사실은 이 구조를 선택한 이전의 헤드폰들은 전부 다이나믹형 드라이버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죠.  
  
 대부분의 평판형 헤드폰들은 하우징이랄것도 없이 커다란 다이어프램이 내부를 빈틈없이 덮어 전/후면이 막혀있는 구조를 택하고있는 것과는 다르네요. 진동감소에 특화된 다이나믹형 헤드폰 구조에 평판형 드라이버를 결합시킨 제품이랄까요? 소리가 무척 궁금해집니다. 
  
 그리고 평판형임에도 320g밖에 안된다는것도 놀랍습니다... 만, 약간 디자인이 그.. 조금 부담스러운 Acoustune 이어폰의 헤드폰버전 이라는 인상을 지울 수 없습니다. ㅎㅎ 
  
 

FADELART FADELART
21 Lv. 9291/9680EXP

Headphile 2004 ~ 2024

Historique de possession :

cresyn - e700, audiotechnica - em9d, audiotechnica - ath-w1000, ultrasone - Hfi-2200, beyerdynamic - dt880, audiotechnica - ath-ad700, audiotechnica - ath-ad900, ortofon - e-q7, sony - mdr xba100/ 1-2-3, westone - w3, shure - se425, beyerdynamic - dt990pro, audiotechnica - ath-ew9, audiotechnica - ath-w1000 2nd, ortofon - e-q8, audiotechnica - ath-ad2000, beyerdynamic - t70p, dolphinear - jdr100, final e3000-T, koss - ksc75/ porta pro/ kph30i, grado - sr80x, sennheiser - hd650, focal - spirit pro, sony - mdr 1am2, audiotechnica - ath-w100, audiotechnica - ath-awas etc... Actuellement sur mon bureau : meze - Empyrean (mis en vente), softears - Turii ti, audiotechinica - ath-awkg 

 

System final de mon parcours headphile de 20ans sera...

Casque - audiotechnica ath-awkg/ Amp - Sparkos : Gemini / DAC - Chord : Qutest/ Cable - Jmaudio : RCA Exceed/ Source - Apple music

 

  헤드폰이 중심인 간소화된 시스템을 지향합니다. W1000이라는 이쁘장한 목재 헤드폰이 매료되어 이 바닥을 시작했기에 시스템 보다는 헤드폰 자체에 더 애착을 느낍니다. 좋아하는 것이 스피커가 아닌 헤드폰이라면 울리기 위해 큰 사양이 요구되지 않으며 이것이 헤드파이 특유의 핵심 매력이라는, 본질적 가치를 항상 잊지 않으려 노력합니다.

 

 

 

 

신고공유스크랩
연월마호 연월마호님 포함 2명이 추천

댓글 6

댓글 쓰기
profile image 1등
개방성이라는 관점에서 봤을 때, 구조적으로는 아직 HD800을 능가할만한 것이 없네요. 젠하이저 신제품 주기가 긴 이유인지..
06:09
22.09.20.
profile image 2등
전 신제품 디자인 좋던데, 그 부담스러운(?)
디자인이 제 취향에 잘 맞는 것 같습니다. :)
08:28
22.09.20.
profile image

서스펜션이 없는 평판형 드라이버는 스트로크를 길게 가져가기가 어렵기 때문에 배플면 전체를 진동판 면적으로 활용하는 설계를 합니다. 저렇게 베플 중심 일부만 진동판 면적으로 가져가면 음압을 확보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가운데는 주름지고 둘레는 평평한 이중 구조에 야마하만의 비밀이 있겠지요? 가격이 가격인지라 구매 계획은 없지만 참 기대되는 헤드폰입니다.

05:21
22.09.21.
profile image
idletalk
아하~ 그래서 평판형 드라이버를 떼어서 들어보면 전부 텅텅거리는 소리가 난 것이었군요..
05:36
22.09.21.
profile image
FADELART 작성자
idletalk

평판형에서 배플면 전체를 덮는 구조를 취하는 이유가 압력과 관련되어 있을 거라는 직관적인 추측은 해볼 수 있었는데 그런 이유가 있었군요. 말씀하신 주름과 이중 구조에 대해서 좀 더 찾아보니 일단 이중 구조는 아닌 것 같습니다. https://www.reddit.com/r/headphones/comments/xhvffe/new_yamaha_yh5000se_orthodynamics_driver_images/
재미있는 사실은 실제 사진에서 보이는 다이어프램에는 주름 비슷한 것이 음영으로 확인되지만 제조사 측에서 내걸어 놓은 도식에는 평평하고 또 점선처럼? 일정간격으로 두께가 다른 모습으로 표현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만약 주름이라면 댄클락 오디오와 비슷한 설계를 했다고 볼 수 있을 것 같고 아니라면 야마하 자체의 새로운 기술일거라 예상됩니다. (하지만 다이어프램 위,아래로 final의 d8000과 같은 금속 천공필름이 보이는걸 보면 final의 에어댐핑 시스템과 댄클락의 기술을 섞었다고 보입니다.)

그러나 외관과 구조의 형상만 보더라도 근래에 발매된 타사의 다양한 하이앤드 제품들을 밴치마킹했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어 뭔가 야마하만의 독창적인 기술이 접목되었을 거라는 기대가 처음보단 많이 되지않는 것 같습니다. 다만 일본 스테레오사운드 사이트의 한 기사에서 발췌된 부분을 보면 "この圧延平畳折ステンレスフィルターは、ステンレスの糸を織り込んだ素材をさらに圧力をかけて仕上げているそうだが、最適な通気性を実現するためにプレスの強さも細かく調整しているとのことだ。"   기존 평판형 헤드폰과 달리 하우징에 통기성이 있는 스테인리스 필터를 활용해 비슷한 구조의 다른 하이앤드 다이나믹형 헤드폰들처럼 통기성(개방감)에 신경쓰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만약 이 통기성과 소리의 밀도 두가지를 양립시킬 수 있다면 평판형에서는 거의 처음 있는것이라 그것도 나름대로 야마하만의 노하우로 봐줄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 이건 그냥 썰이지만 Final에서 d8000개발할 당시 야마하 개발진을 데려다 썼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19:24
22.09.24.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부운영자 모집 공고! 28 영디비 24.06.04.15:37 3274 +16
6월 활동 이벤트 공지 및 상품 안내! 54 영디비 24.06.03.15:27 3192 +15
5월 이벤트 당첨자 안내! 30 영디비 24.06.03.12:52 2804 +13
음향
image
짜짜로니 19.11.10.22:58 12만 +3
공지
normal
영디비 20.01.08.16:38 9.9만 +27
잡담
normal
아빠안잔다 20.08.10.23:31 9.4만 +1
공지
normal
WL 20.08.18.11:51 9.2만 +7
음향
normal
SunRise 21.02.11.23:04 8.2만 +25
음향
image
Stellist 20.08.07.14:11 7.2만 +4
잡담
image
goldenboy2 20.03.24.03:25 6.2만 0
음향
image
hankey 21.04.21.15:37 6.2만 +4
음향
image
로드러너 23.05.21.16:02 5.9만 +6
잡담
image
nerin 23.07.16.12:16 5.7만 +6
잡담
image
청년 23.09.28.10:26 5.7만 +8
음향
normal
Heskeybi 20.08.29.13:25 5.5만 +16
잡담
image
트리거왕 23.05.28.13:59 4.7만 +3
음향
image
청염 19.11.01.11:44 4.3만 +7
뉴스
image
김민창 19.04.22.11:41 4.2만 +3
잡담
normal
플라스틱걸 20.03.21.15:19 4만 0
잡담
image
Stellist 23.05.08.16:21 4만 +1
음향
image
완전무선매니아 20.03.08.22:18 4만 0
잡담
image
alpine-snow 23.06.11.22:28 3.7만 +6
잡담
image
포미더블 20.04.12.18:56 3.6만 0
잡담
image
Stellist 22.01.03.17:34 3.5만 +4
음향
image
완전무선매니아 20.05.28.14:06 3.5만 0
음향
image
컬리그 20.03.06.11:32 3.5만 +2
잡담
normal
awergyv1 20.05.26.19:25 3.5만 0
잡담
image
굳지 22.03.26.04:58 3.4만 +3
잡담
image
소닉유스 23.06.28.22:46 3.4만 +16
음향
normal
SunRise 22.03.24.01:15 3.4만 0
음향
image
OrangeFloyd 19.11.13.15:23 3.3만 +1
음향
image
Egdms 19.11.30.14:36 3.3만 +2
잡담
normal
noname 19.09.15.01:38 3.3만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