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뉴스

MQA가 파산 절차에 들어간다고 합니다.

불량 불량
1753 7 25

영문 기사입니다만 대충 내용을 이야기 하자면 파산 절차에 들어가고 있고 매각을 추진중이라 합니다.


Mqa 음원에 대한 검증을 철저히 막다보니 해골물이냐 아니냐 논쟁이 많았죠. 


 https://www.whathifi.com/news/mqa-is-going-into-administration

불량 불량
40 Lv. 32120/33620EXP

IEM: Sony IER-Z1R, 64 Audio U12T, Sennheiser IE900, Etymotic Research EVO, Thieaudio Clarvoyance, Hidition NT6 (Original Ver), Shure SE846, AKG N5005, CFA Andromeda 2020, CFA Ara, CFA Black Star, UE Triple-fi 10

Headphones: Focal Stellia, Focal Clear MG, Sennheiser HD800S, Audeze LCD-GX, Audeze MM500, Audeze LCD-2 Rose wood

Amp: THX AAA 789

DAC: ifi iDSD Diablo, Sabaj D5, Fiio BTR5, Fiio Q5, Qudelix 5K, ifi Go Blu, Fiio BTR7

Audio Interface/Mixer: Zoom Livetrak L-20

Mic: Neuman TLM102

신고공유스크랩
idletalk idletalk님 포함 7명이 추천

댓글 25

댓글 쓰기
profile image 1등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mqa....
11:18
23.04.11.
profile image 2등

이거 파산되면 MQA 지원기기들 다 무쓸모 되는 건가요?

11:22
23.04.11.
profile image
플랫러버
역으로 생각하면 앞으로 dac 가격이 내려가는건 아닐까요....?(라고 행복회로만 돌려봅니다)
11:25
23.04.11.
3등
하이파이 음원시장 산만하게 만든 주범..
11:25
23.04.11.
profile image
wjw450
MQA를 무슨 소리가 좋아지는 무안단물 처럼 생각하시는 분들이 계시더군요 ㅎㅎ
11:36
23.04.11.
에르마리트
flac 이상 구분 가능한 사람들 대단해요 정말.. ㅎㅎ
11:43
23.04.11.
profile image
mqa 라이센스가 무료로 풀리면 좋겠네요. 안드로이드 에서 인수하면 또 차별화 될텐데... 어쩔려나요.

음질과 별개로 현존하는 탑 압축 및 전송 포맷일텐데 오히려 기대되는 느낌이네요.
11:42
23.04.11.
profile image
MQA가 ALAC이나 FLAC 대비 용량 이득이 큰가요??
12:01
23.04.11.
profile image
Imfinzi
24Bit 96kHz 마스터면 16Bit 44.1kHz flac보다 큰 경우도 많을걸요?
제일 많이 까이는 레퍼토리가 “손실압축인데 용량만 많이 잡아먹는다”거든요
12:15
23.04.11.
profile image
클레로
그럼 MQA는 장점이 없네요? ㅋㅋ
12:20
23.04.11.
profile image
Imfinzi
뭐...소비자한테는 없죠
제 생각엔 스트리밍할 때 트래픽은 줄이고 싶은데 손실압축이나 16Bit는 저급하다며 절대 안 쓰는 사람들 때문에 24Bit 무손실 “퀄리티”라는 검증 안 되는 애매한 말로 포장하는 마케팅의 산물 같거든요
겸사겸사 하드웨어 인증값으로 돈도 벌고...
12:32
23.04.11.
profile image
클레로
음, 제가 아는 mqa 내용과 상이하네요. 메리디안에서 처음 지원할 때 본 내용이긴 한데, mp3같은 파일은 비가청 대역이라고 하는 고음부를 삭제하는 반면에, mqa는 해당 대역대를 -120db ~ -168db (16bit - 24bit 사이대역)으로 변환해서 인코딩합니다.

극 저음량 대역이고 일반 16bit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대역이라, 나중에 복화화를 통해서 고음역대로 복원합니다.

이 인코딩 디코딩 로직이 mqa 라이센스고, 보통은 처리속도가 늦기때문에 하드웨어 칩에 별도 로직을 박아 넣는것이고, 소프트웨어 적으로는 1차 언폴딩만 지원하죠.

기술적으로는 문제가 없습니다
13:40
23.04.11.
profile image
Pitta
기술적으로는 그래야 하는데, 실제로 출력될 때에는 그 20~24Bit의 가청 불가능한 대역의 고주파음이 가청 가능한 영역에서 나타난다는 결과가 있었죠
언폴딩 과정에서 노이즈와 디스토션이 나타나는 것도 있었구요
그러한 부분에 대한 의혹 제기에 대해 MQA 측은 해당 부분들을 테스트한 음원을 삭제하고 입을 닫는 것으로 대응했습니다
오히려 이후의 검증 시도 자체를 집요하게 막았죠
비슷하게 마케팅용이라고 말 많은 하이레조도 최소한의 검증 장치를 자체적으로 만들어 신뢰를 잃지 않고자 하는 추세인데 MQA를 신뢰하지 않고 이런 소식에도 크게 아쉬워하지 않는 반응이 많은 것에는 기술적으로 문제가 없다면서 그것을 증명하는 것은 극구 거부하는 태도가 주 원인이라고 생각해요

그리고 저는 개인적인 견해로는 16Bit Flac정도는 어렵지 않게 스트리밍과 저장이 가능할 정도의 환경이 갖춰진 이후인데도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자의 트래픽 절감’(실제 공식적인 MQA의 주 목적이죠)을 위해 소비자가 추가금을 지불해 더 상위의 요금제를 사용하고 전용 하드웨어 인증 비용까지 사실상 소비자가 지불하는 구조 자체가 넌센스라고 느껴지거든요
14:05
23.04.11.
profile image
클레로
오, 적어주신 덕분에 좀 더 찾아봤네요. MQA 측에서 제시한 이론 조차 제대로 구현이 안되어 있는 것이군요. 흠 저게 어렵나? 싶을 정도로 단순한 경우에도 문제를 많이 만들었었네요. 결국 양자화 된 숫자를 인코딩 디코딩 할텐데, 암호화 복호화 같이 정해진 rule 로 하면 될텐데.... 지금도 그런가 싶긴하네요.

저는.. Tidal은 탔지만 MQA는 안쓰는지라, 공돌이로 기술에 대한 찬양을 너무 했네요.
18:25
23.04.11.
profile image

그런데 또 저는 같은 앨범의 같은 곡을 애플 무손실과 타이달 MQA로 비교해 들어보면 MQA가 더 낫더라는...  
 그래서 타이달을 못버렸습니다.
 뭐가 어쨌거나 해골물일지라도 이왕이면 MQA 풀 디코더 사려고 하면 비슷한 사양에도 기기 가격이 훌쩍 올라가는 건 좀 불만이었죠. 
 매각된다고 해도 이런 현상이 사라지지는 않겠죠?

12:41
23.04.11.
profile image
굳지
가청영역까지 왜곡이 들어가서, MQA가 홍보하던 것처럼 무손실 압축이 아닌, 손실압축, 용량은 오히려 커지는 경우도 있던 소스입니다.
다만 그 왜곡이 누구 귀엔 좋게 들릴수도 있고 하는거라 스스로 무손실 압축 포맷이라 우기는 경우가 아니면 딱히 틀렸다 하긴 좀 그렇고요.
예전에 듣기로, iFi GTO 필터가 거는 왜곡이 MQA의 왜곡과 거의 동일하다 하더라고요. 애당초 해당 필터가 MQA와 협력해서 만들어졌다 알고있고요.
이미 기기가 있으시다면, GTO 필터 걸고 좀 더 싼 서비스로 듣는게 낫다 생각합니다.
06:12
23.04.12.
profile image
김팽달
이미 MQA 기기 세팅은 끝낸 상태이고 타이달도 정상적인 루트의 구독은 아닙니다.
그냥 제가 듣기에는 스포티파이나 애플무손실 보다는 제일 낫게 들리는 편이라 이대로 가려고 해요.
그냥 해골물이면 어떻습니까 ㅎㅎㅎ
09:51
23.04.12.
profile image
라이센스 장사를 그렇게 했는데 파산한다고요? mqa 진위와 별개 문제 같은데요...
12:51
23.04.11.
profile image
아마티
저도 이상하게 생각합니다
16:44
23.04.11.
profile image

하이레졸루션 인증 같은 느낌이 듭니다

12:58
23.04.11.
profile image
제가 보기에는 mqa 회사는 사라져도 mqa라는 기술 자체는 살아남을거라 봅니다. aptx처럼 말이죠.
13:36
23.04.11.
profile image

사필귀정이라고 말하고 싶지만, 얘네들 하는거 보면 망했다는 소리도 구라고 수뇌 몇몇이 먼저 돈 챙겨서 발뺐을겁니다. 말/행동, 겉/속 뭐 하나 정직하게 일치하는게 없었어요.
간판은 고음질 프리미엄 스트리밍 서비스지만 내실은 까짓거 진짜 무손실이랑 별차이 없다며 우회결제로 싸게 듣는 손실음원 서비스였고, 진짜 수익원은 디코더 장치에 불들어오냐 마냐로 찝찝함 자극해서 돈 버는 라이센스 장사질이었지요. 꾼은 꾼을 알아본다고 정작 찐 하이엔드 브랜드는 상대를 안해줬다는게 웃픈 사실...

23:35
23.04.11.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월 활동 이벤트 상품 안내! 32 영디비 24.05.16.16:29 1198 +13
뉴스
image
음감텅이 22.01.03.01:16 3774 +2
뉴스
image
영디비 19.01.08.07:56 4210 +2
뉴스
image
atnerva 24.05.22.13:47 345 +9
뉴스
image
영디비 18.02.23.12:42 3450 0
뉴스
image
박두영 17.06.14.17:47 4566 0
뉴스
normal
귀린이 18.07.18.12:33 3411 +1
뉴스
normal
Aconitine 19.08.01.11:54 904 +1
뉴스
file
발짐 18.10.13.18:06 4294 +5
뉴스
normal
Bigboy 22.04.22.21:57 1026 +2
뉴스
image
파랑니 18.10.06.03:37 4700 +3
뉴스
image
숙지니 24.05.07.19:54 1388 +10
뉴스
normal
-맨발 23.09.15.23:39 361 0
뉴스
normal
musote 17.01.25.17:17 4019 0
뉴스
normal
musote 17.02.09.12:00 4336 0
뉴스
normal
musote 17.02.21.12:00 3953 0
뉴스
normal
musote 17.02.14.12:00 4639 0
뉴스
image
녜므륵 18.02.16.20:48 4763 0
뉴스
normal
yoonC 23.12.06.10:17 521 +1
뉴스
image
rjdjdn 22.08.02.10:29 2512 0
뉴스
image
누구게 23.08.22.10:52 1668 +2
뉴스
image
Frankian 23.08.02.20:48 3257 +4
뉴스
normal
종결포기합니다 24.04.07.20:28 223 +4
뉴스
normal
osysy 19.04.06.11:04 7003 +3
뉴스
image
쏘핫 24.05.24.12:41 312 +3
뉴스
normal
나만의하쿠 18.01.10.10:06 4032 +2
뉴스
normal
제라퓨 20.12.17.17:51 1605 +3
뉴스
image
완전무선매니아 19.03.19.13:33 5914 +1
뉴스
normal
완전무선매니아 19.03.09.00:27 7877 +3
뉴스
image
전자음 19.01.04.06:53 4606 +1
뉴스
normal
SouthofHeaven 18.03.03.00:19 415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