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장비

스탁스 최초의 플래그십 헤드폰 [SR-Omega]

로우파이맨최노인 로우파이맨최노인
356 10 14

 20240511_224849.jpg

 

  1993년 일본의 정전형 헤드폰 제조업체인 스탁스에서 최초의 플래그십 라인업으로 출시한 SR-Omega(SR-Ω). 뭔가 고급스러움과 장인정신의 멋을 강조하기 위해서인지 이 제품부터 헤드폰을 나무박스에 넣어주기 시작했습니다. 기존 제품들은 죄다 스티로폼 박스에 넣어주었죠. 여튼, 제가 구한 매물은 최상급이 아니기 때문에 나무 박스부터 세월과 열화의 흔적이 만연합니다. 

 

 

 

 20240511_224912.jpg

 

 부속품은 매우 단순합니다. 헤드폰 본체와 2.5m 길이의 케이블 하나...그리고 설명서 뿐이죠. 요즘에는 1.8m짜리 짧은 케이블도 같이 넣어주고 있습니다만, 이 시기에는 짧은 케이블을 선호하는 소비자에 대한 배려가 없었던 것 같습니다. 

 

 

 

 

20240511_225048.jpg

 

 헤드폰 본체입니다. 아쉽게도 군데 군데 사용감과 세월의 흔적이 있습니다. 먼지도 많이 묻어 있어 열심히 닦아주어야만 했습니다. 누런 찌든때가 곳곳에 붙어있더군요. 기존 사용자분은 돈이 많은 분이셨나 봅니다. 이 비싼 헤드폰을 애지중지하면서 다루지는 않은 듯 보이니 말이죠. 

 

 한 가지 주목할 만한 것은 드라이버 외부 방사음을 정렬해주는 가이드가 이미 이 제품부터 적용되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설계는 약 30년 후에 출시된 신형 플래그십인 SR-X9000이라는 제품에도 적용되었습니다. 

 

 

 

 20240511_225055.jpg

 

 

 이번에 구한 제품의 번호는 440번입니다. 약 600여 개가 생산된 오메가 중에서는 후기에 속한 물건입니다. 해외 포럼을 들러보면 고작 600여 대만이 생산된 오메가 제품 내에서도 초기형과 후기형의 음색차이가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주로 공간감이나 고음의 특성이 다르다고는 하는데...초기형을 추가로 구해서 비교 청음을 해본다는 것은 제겐 너무 무리한 시도인 것 같아 여기서 마무리 지으려고 합니다. 여튼 미국 형님들의 수집욕과 매니아적인 열정은 타에 추종을 불허할 정도로 엄청난 것 같습니다. 

 

 그리고 한 가지 말씀드리자면, 이 오메가는 비교적 고가 라인에 속한 플래그십 헤드폰이지만 빌드 퀄리티 자체는 좋지 못한 것으로 정평이 나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바로 헤드밴드가 플라스틱인 것인데요, 갸뜩이나 강도가 약한 플라스틱 재질에 두께마저 얇아서 사용 중 부러지는 경우가 다반사라고 합니다. 실제로 일본 옥션이나 해외 유저들의 수집품 사진을 보면 헤드밴드가 두 동강이 난 오메가를 종종 볼 수 있습니다. 문제는 부러지면 스페어 부품을 구할 수 없다는 것...본인 역시 헤드밴드가 부러질까봐 노심초사 하고 있습니다. 

 

 

 

 20240511_225109.jpg

 

 헤드폰 옆면입니다. 케이블은 옆으로 끼우는 방식이며, 3핀 구조입니다. 하우징 및 가이드는 은색의 금속 재질로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이어컵 자체가 상당히 큽니다. 드라이버의 크기 역시 90mm 로 상당히 큰 편에 속합니다. 

 

 

 

 

20240511_225440.jpg 

 SR-X9000(오른쪽) 과의 비교샷입니다. 오메가의 이어컵이 약간 더 큽니다. 반면, 이어패드의 경우 X9000이 더 두껍고 귀에 안착되는 구멍이 더 넓습니다. 그러나 직경은 비슷해서 X9000 이어패드를 오메가에 이식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때문에 오리지널 이어패드가 상했는데, 마침 구할 수 없다면 급한대로 X9000 이어패드로 교체 후 사용은 가능한 것이죠. 물론, 세부적인 형상이 다르므로 소리의 변화 역시 상당히 많이 발생하게 되지만 말입니다. 

 

 

 빌드 퀄리티와 디자인을 보면, X9000 이 보다 현대적이고 견고해 보입니다. 특히 X9000의 경우 헤드밴드가 금속 재질로 되어 있어 부러질 걱정은 없다는 것이 특징이죠. 

 

 

 20240511_225601.jpg

 

 아무리 봐도 디자인은 X9000이 한 수 위죠. 오메가 디자인은 구시대의 감성이 남아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두 제품의 소리 차이는 어떨까요? 아직 열심히 들어보고 있습니다만, 쉽게 결론을 내기 힘들 것 같은 느낌이...   

 

로우파이맨최노인 로우파이맨최..
48 Lv. 46467/48020P

HEADPHONES 

JVC HA-MX100-Z 

SENNHEISER HD800S ♡♡

HIFIMAN SUSVARA ♡☆☆

STAX SR-Ω ♡♡♡

STAX SR-X9000 ♡♡♡

STAX SR-LAMBDA PRO ♡

STAX SR-LAMBDA PRO CLASSIC

 

DAC•AMPS

iBasso Audio DC03PRO

Fosi Audio DS1

Tempotec Sonata BHD Pro

HIFIMAN EF600

STAX SRM-D50(Suitable for students)

STAX SRM-1 MK2 PRO

JDS LABS ELEMENT III MK2(Boosted)

신고공유스크랩
숙지니 숙지니님 포함 10명이 추천

댓글 14

댓글 쓰기
profile image 1등

당시에는 짧은 케이블을 선호하는 사용자들이 없었어요.

오디오 시스템을 책상 위가 아닌 거실 장식장에 놓던 시대라서 3m보다 짧으면 곤란했습니다.

책상에 앉아서 음악을 들을 수 있게 된건 그로부터 몇 년 뒤 멀티미디어PC라는 개념이 생기고 나서였죠.

23:35
24.05.11.
profile image
idletalk
아 그런 측면도 있었겠군요. 고견 감사합니다. 거실 장식장과 소파나 의자 간 거리가 긴 경우가 많을테니 케이블은 긴 것이 이상적이어었겠네요
23:46
24.05.11.
profile image
벤치프레스좋아함
존경할 만한 건...아닙니다. 벤치프레스님도 의지만 있다면 언제든 구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23:47
24.05.11.
3등
오메가에 붙은 하트 세개를 보니 엄청나게 마음에 드시나 보군요...!
23:45
24.05.11.
profile image
Magnesium
일단은 그렇긴 한데, 계속 듣다 보면 몇 달쯤 후에는 바뀔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ㅎㅎ
23:48
24.05.11.
로우파이맨최노인
둘 다 정말 진심으로 대단히 멋진 기기들입니다...!
23:50
24.05.11.
profile image
멋집니다.
또 다음 이야기를 천천히 기다리겠습니다.
00:14
24.05.12.
profile image
뮤직마니아
진심으로 대단히 감사합니다. 뭔가 살짝 부담되네요;;;(막귀라...)
00:34
24.05.12.
profile image
로우파이맨최노인
노인님이 막귀면 저는 망귑니다. ㅋㅋㅋ
00:38
24.05.12.
profile image

비교 후기를 한국에서 볼 수 있다는 것에 그저 감사할 뿐입니다.

02:00
24.05.12.
profile image
SunRise
저야말로 진심으로 대단히 감사합니다. 열심히 들어봐야겠네요
02:06
24.05.12.
profile image
엄청난 기기 두개를 다 소유한 분이 같은 커뮤니티에 있다니.. 소리 비교 후기가 엄청 기대되네요.
06:51
24.05.12.
profile image
멋지네요. 신구 종결기의 향연 ㅎㅎ
11:03
24.05.12.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