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밸런스 연결에 관하여...

불량 불량
7620 1 12

2.5mm 밸런스 단자를 기본으로 하는 제품을 사용하다보니 밸런스 연결에 대하여 조금더 깊은 궁굼증이 생깁니다. 제가 이해 하는선에서 벨런스 연결은... 

 
1) 좌우 채널을 따로 출력 해주는 방식이어야 (좌 우 총 2개 출력단) 유의한 의미가 있다.
 
2) + 신호와 와 - 신호의 상호 작용으로 전기적으로 일어나는 잡음이 사라진다.
 
3) 출력이 커진다
 
4) 임피던스 커브에 따라 특정 주파수 대역에 증폭이나 감쇠가 일어난다.
 
이정도인데 추가적으로 벨런스 출력이 가지는 장점이 있나요? 혹은 잘못 알고 있는 부분이 있는지요?...
 

불량 불량
40 Lv. 32125/33620EXP

IEM: Sony IER-Z1R, 64 Audio U12T, Sennheiser IE900, Etymotic Research EVO, Thieaudio Clarvoyance, Hidition NT6 (Original Ver), Shure SE846, AKG N5005, CFA Andromeda 2020, CFA Ara, CFA Black Star, UE Triple-fi 10

Headphones: Focal Stellia, Focal Clear MG, Sennheiser HD800S, Audeze LCD-GX, Audeze MM500, Audeze LCD-2 Rose wood

Amp: THX AAA 789

DAC: ifi iDSD Diablo, Sabaj D5, Fiio BTR5, Fiio Q5, Qudelix 5K, ifi Go Blu, Fiio BTR7

Audio Interface/Mixer: Zoom Livetrak L-20

Mic: Neuman TLM102

신고공유스크랩
터럭 터럭님 포함 1명이 추천

댓글 12

댓글 쓰기
profile image 1등

  
 1)은 아래 문서를 보고, ES100과 케이블, 드라이버 유닛이 각각 따로인 걸로 이해하고 있는 중입니다만, 영어가 짧다보니 잘못 이해했을 수 있겠죠.
 - 시험은 물건너 오고 있는 중인, FiiO의 2.5mm mmcx 밸런스 케이블이 도착하면, SE215와 연결해서 들어보려구요.. 둘 중의 하나가 망가져도, 여분이나 대안이 있으니깐.. 그래도 망가지지도 말고, 구분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크허허... ^^;;;
  
 https://docs.wixstatic.com/ugd/fb72a4_f6e284067322400193a13fd9a863e4ce.pdf 
  
  
4)는 제품의 (주파수별 임피던스 중, 최고값 - 최저값) /8 보다 큰 저항을 추가하거나, 해당하는 변화가 있어야, (사람 귀로 구분하기 시작한다는 +1 dB) 이상의 음압 변화가 생기는 걸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Objective2 앰프 설계에 대해 설명 중..)
 
 2. 직렬 연결된 저항의 전압 배분 (임피던스 박스, 저항 튜닝, 출력 임피던스, 정전압 구현) 
 http://goldenears.net/board/CT_Reco_Prod/4199621#comment_4199791 
 

03:32
18.06.02.
profile image
불량 작성자
터럭
1번 글을보니 es100은 좌우를 완벽히
분리 해준거 같네요 ㅎㅎ

4번의 경우 벨런스가 아니라도 같은 변화를 주죠. 근데 궁굼한건 소니 mdr z7의 벨런스 vs 싱글앤드 측정치를 보는데 출력임피단스에 차이가 크지 않음에도 벨런스쪽 저음이 증가 하더군요.. 어디서 듣기론 진동판의 공진점이 낮아진다는데 그게 무슨 원리인지 궁굼하네요
03:46
18.06.02.
profile image
불량

혹시나 싶어 MDR-Z1R의 리뷰를 봤는데, 케이블 구분 없이 그냥 측정치만 나왔네요. 영디비 님이 까묵했거나 Z1R은 변화가 미미하거나..

03:57
18.06.02.
2등
정확히 알고 계시는데요. 특정 BA제품 아니면 출력을 높이는것 외에는 큰 차이는 없더군요. 저는 고저항 헤드폰용으로 2.5-3.5 변환 케이블을 씁니다. 오로지 출력을 위해서 쓸뿐 다른 차이는 크게 다가오지 않아요. 2.5단자가 보통 출력이 2-3배 높더군요.
13:21
18.06.02.
profile image
불량 작성자
예림이아빠
그렇군요! 최근엔 이론공부를 크게 안하고 그냥 생각없이 듣기만 하니까 이런 새로운 부분에 대해 모르는게 너무 많터라구요 ^^;;
14:31
18.06.02.
불량
재품을 전문으로 만드는 분 아니면 그냥 즐기세요. 내귀에 좋으면 그만입니다. 대부분 마케팅 수단에 지나지 않으니 너무 이론 집착할 필요 없어요. 자동차 튜닝의 결론은 순정이라죠. 음감의 마지막은 결국... 번들? ㅋㅋ
15:36
18.06.02.
profile image
불량 작성자
예림이아빠
어느정도 알아야 덤탱이를 안쓰다보니 ㅋㅋㅋㅋㅋ 합리적으로 즐기기 위해서도 어느정도 공부는 필요한거 같에요 ㅋㅋㅋ
15:44
18.06.02.
profile image 3등

1 2 3번 모두 맞습니다
4번은 대체로 맞는 편인데 만들기에 따라서 그렇지 않을 수도 있어요
그리고 3번과 4번은 서로 연관이 있고 조금 더 해설이 필요한 항목입니다
우선 3번에 관해서, 출력이 커진다고 해도 되지만 정확히는 전압이 2배로 높아지는거에요
밸런스드가 +와 -를 동시에 보내는건데, 그 두가지 신호가 최종적으로 합쳐져서 *2가 되거든요
다음 4번, 전압이 크니까 옴의 법칙에 따라서 임피던스도 같이 커집니다
es100스펙에도 나와있는데 일반적인 조건의 출력임피던스가 2옴정돈가 하고 밸런스드 상태에서는 딱 두배로 5옴인가로 나오죠?
그리고 다들 아시듯 출력임피던스가 높을수록 스피커 드라이버의 고유한 임피던스커브에 의한 주파수왜곡이 커집니다
2옴에서 5옴으로 가는 그 정도갖고 들어서 표시날만치 음색이 바뀌지는 않을거라는 생각이 듭니다만 측정하면 약간 다를거에요
어쨌든간에 출력임피던스가 5옴이면 뭔가 손해를 보는게 아닌가 싶겠지만, 4극연결로 인한 메리트가 훨씬 더 큽니다

13:47
18.06.02.
profile image
불량 작성자
정우철
자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 +와 - 가 합처저서 2배가 되는데 그게 출력 임피던스에도 해당이 되는군요 :0 몰랐던 사실입니다. 한가지 더 알아갑니다!
14:33
18.06.02.
profile image

1,2,3번 이론적으로는 모두 맞는 얘기입니다.  
   
 1번은 이득이 아닌 밸런스드 출력을 만들기 위한 구성입니다.
 
 2번이 밸런스드 연결을 만든 가장 큰 이유입니다. 현장에서 라인을 길게 사용할 때, 케이블에서 외부 노이즈 유입이 많이 되는데, 유입된 노이즈를 없애기 위한 방법으로 개발이 된거였죠. 
하지만 이어폰/헤드폰은 케이블이 워낙 짧은 편이라 노이즈 유입이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기대할 수 있는 효과는 아닙니다. 
  
3번이 이어폰/헤드폰에서 가장 이득이라 볼 수 있는 부분입니다만... 
제가 측정해 본 몇 기기는 밸런스단에서 두 배의 출력이 나오지 않습니다. 
어떤 이유인지는 모르겠지만, 대부분 제대로 안만드는 것 같습니다.  
THD+N도 많이 개선되는 제품은 못봤습니다.
   
 4번은 밸런스단의 임피던스는 확실히 두배가 됩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기본이 1옴 이하면 밸런스에서 2옴 이하가 나오고 문제는 없습니다.
 
추가로 그라운드를 공유하지 않기 때문에, 크로스토크가 좋아집니다. L에 +/- 별도 선, R에 +/- 별도 선으로 구성하죠. 
 
 결론적으로 큰 기대는 하지 마시길...

21:34
18.06.02.
profile image
불량 작성자
영디비
상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역시 생각하고 있던 범주에서느크게 벗어나진 않는군요. 그냥 기분이 좋아진다 정도로 생각하면 될꺼 같네요!
15:13
18.06.03.
영디비
추가적으로 질문하나 해도 될까요? 신호전달시 벨런스드 체널당 케이블은 3선으로 그라운드를 공유하며 hot,cold 신호가 역위상으로 들어가 출력단에서 역위상을 adder회로가 정위상으로 만들어 노이즈를 제거한다고 알고 있어요.
헤드폰 출력단에서의 벨런스드는 라인이 체널당 2개인데 -를 접지로 공유하지 않고 분리하여 +,- 신호가 중첩되어 증폭 되므로 2배의 출력이 가능하다고 알고있어요. 2선이기 때문에 역위상처리를 하는것이 아니라서 노이즈 억제 기능은 없구요.
다른 분들이 +단에서 정위상 신호가 들어가고 -단에서 역위상 신호가 들어가서 드라이버의 코일이 adder 기능을 해서 노이즈가 제거 된다하던데 맞는말인가요?
08:01
19.06.29.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최종 글
5월 활동 이벤트 상품 안내! 32 영디비 24.05.16.16:29 1246 +13 첫째부활
질문
normal
힙찔2 4시간 전14:37 162 0 JNK
질문
normal
로넬로 5시간 전13:32 99 0 iHSYi
질문
normal
풍악을울려라! 15시간 전03:33 52 0 쏘핫
질문
normal
반포자이입주민 16시간 전02:49 69 +2 숙지니
질문
normal
시간의각인 17시간 전01:32 64 0 박지훈
질문
normal
첫째부활 20시간 전22:27 46 +1 쏘핫
질문
normal
금강선 1일 전15:13 78 0 금강선
질문
normal
ReinaKim 1일 전11:36 73 +1 purplemountain
질문
normal
홀란드는홀란해 1일 전07:18 47 0 쏘핫
질문
normal
사천짜장면 1일 전03:15 38 0 오마이걸
질문
normal
7초 1일 전00:04 50 0 iHSYi
질문
normal
시간의각인 2일 전13:58 55 +1 시간의각인
질문
normal
베르캄규 2일 전11:31 79 +4 베르캄규
질문
image
BGMzero 2일 전09:41 88 +1 BGMzero
질문
normal
라이티어 3일 전18:34 120 +1 오마이걸
질문
image
arnold 3일 전18:26 61 +1 SunRise
질문
normal
가성비가중요해 3일 전17:31 130 0 SunRise
질문
image
Noextraname 3일 전16:43 104 +1 Noextraname
질문
normal
오공공오오우너 3일 전12:33 101 +6 purplemountain
질문
normal
ReinaKim 3일 전12:04 60 +2 오마이걸
질문
normal
JaeYoung 3일 전02:28 70 0 JaeYoung
질문
normal
은갈치 4일 전18:17 95 +1 Gprofile
질문
normal
-초보초보 4일 전14:16 53 +3 -초보초보
질문
normal
wnstjd0606 4일 전22:42 85 +1 wnstjd0606
질문
normal
라온소리 5일 전11:34 190 +5 eoeoe
질문
normal
곡예사 5일 전10:00 102 0 곡예사
질문
normal
발러 5일 전02:45 98 0 Larry
질문
normal
-towhgdk 5일 전01:50 75 0  
질문
normal
빈번 5일 전00:01 96 +2 빈번
질문
normal
시간의각인 6일 전18:03 39 +1 시간의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