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음향

소니캐스트 덱 소개글 (feat. 스펙업?)

nalsse
5463 10 39

 
안녕하세요, nalsse입니다. 
  
 
오늘은 usb dac 양산 직전 시제품이 나왔다는 소식을 듣고 소니캐스트에 놀러갔다왔습니다. 
  
이번 후기는 리뷰보다는 소개글이라 생각해서 자유게시판에 흔적을 남깁니다ㅎㅎ 
 
 
좋은소식부터. 요약하면,
  
1. 올해 저가형 꼬다리의 게임체인저가 될만한 칩이 최초로 소니캐스트제 꼬다리로 등판하게 되었는데요, 소니캐스트에서 200대 정도 생산하여 usb 꼬다리덱으로 충분히 낮은 가격대로 선보인다고 합니다. 대략 예상가격은 4만원 언더. 정확한 가격은 아직 미확정이고, 4월 첫 주차에 출시 예정입니다. 돌아가는것 보니까 출시 지연없이 한 10일 내에 출시될듯합니다. 
  
2. 완제품 형태로 제작된 것이 스펙업이 되었습니다. 금속하우징으로 밀봉되면서 차폐도가 높아진 영향이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노이즈레벨이 2uV -> 1.2uV로 개선되어, 32옴 부하 / 1Vrms 출력에서의 SNR 실측치가 118db로 많은 개선이 있었습니다. 
  
 
현장에서 실측하는 사진을 몇 장 찍어왔는데 
 

20210327_132410_HDR.jpg

이런식으로 측정이 이루어집니다ㅎㅎ

 
 꼬다리덱 생김새를 좀 더 키워보면 
 

20210327_132414.jpg

요렇게.

 
케이블이 너무 낭창낭창하게 유연해서 케이블부분 개선 후 지체없이 출시된다고. 
  
  
 대충 실측할때 사진도 찍었는데, 사진찍는데 재능이 없어서ㅎㅎ 그래도 확대하면 잘 보입니다ㅎㅎ 
 

20210327_132441.jpg 이건 노이즈레벨 측정한건데, 깜박하고 재생시 노이즈레벨 사진을 안찍었네요. pc 전면 usb포트에 연결했을때 기저노이즈가 1.05uV, 재생시에는 1.2uV가 나옵니다. 잘 만들어진 dap들에서 low gain 으로 설정했을때 이정도 수치가 나올겁니다. 저가형 꼬다리 덱으로서는 상당한 수치라고 봐도 됩니다. 참고로, 0디비에서 사용하는 ap장비의 기저 노이즈 레벨이 1.2uV, 소니캐스트에서 사용하는 ap장비의 기저 노이즈레벨이 0.8uV나옵니다. 이정도 수치여서 1Vrms 출력에서도 118db의 SNR이 가능한거.
  
 

20210327_132458.jpg 최대출력은 1Vrms 정도 나오고,
  
 

 20210327_132517.jpg 32옴 부하 연결 후 1Vrms출력시 SNR 실측치는 118db. 이정도 수치가 나와주면 1Vrms가량의 소출력 dac이지만 보급형 거치형 앰프에 물려쓸만한 정도의 가성비 덱 수준입니다. 아톰/젠캔/L30 앰프+소니캐스트 꼬다리덱. 요런식으로 구성하면 입문하시는 분들께서 활용하시기에 좋겠죠. 현장에서 젠캔에 보조배터리랑 위 꼬다리덱 연결해서 들어봤는데 저렴한 입문용 구성임에도 큰 불만없이 쓰기에 좋았습니다. 입문시 이렇게 구성하는 경우 아쉬움을 느끼고 좀 더 본격적인 dac을 들였을때 꼬다리덱은 이어폰 전용으로 쓰면 되니 중복지출이 없어집니다. 저렴이 액티브스피커를 pc에 물려서 쓰시는 분들 중 가격 부담때문에 pc 내장 사운드카드를 사용해서 잡 노이즈에 고통받으시는 분들에게도 아주 저렴하게 해결 가능한 솔루션이 될 거고요. 
  
  
 이어폰을 하이게인 설정된 고출력 꼬다리에 붙여서 사용할 때와 소니캐스트 usb dac처럼 로우게인 설정된 소출력 꼬다리에 붙여서 사용할 때의 차이를 Audio Science Review의 소출력시 성능표를 참고하여 설명드리자면, 
 

Lowest noise IEM headphone amplifier review measurements.png

 
 기저 노이즈 레벨을 공개하는 제품이 아주 드문데, 드랍 thx aaa 789 앰프가 밸런스단에서 2.4uV, 언밸런스단에서 1.2uV 노이즈 레벨이라고 스펙 공개가 되어있습니다. 이 제품을 기준으로 위 표를 읽으면, 789앰프 밸런스단 앞뒤로 있는제품들의 노이즈레벨이 2.4uV 전후, 언밸런스단 앞뒤로 있는제품들의 노이즈레벨이 1.2uV전후임을 알 수 있습니다. 소니캐스트 꼬다리는 실측 1.2uV 노이즈레벨을 가지므로 50mV출력시 789앰프 언밸런스단 정도의 SNR비를 가지게 되겠지요. 90db수준일 것으로 예측 가능합니다. 다른 꼬다리들이 어디에 위치하는지 확인해 보시면 깨끗한 소리를 싸게 뽑아낸다는 측면에서 소니캐스트제 꼬다리덱이 어느정도 경쟁력이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보통 이어폰들을 200~400mV정도의 전압에서 실사용을 많이하게 되는데, 이 실사용 환경에서 94~96db정도의 다이나믹 레인지를 요구하는 cd스펙을 온전하게 표현 가능한 매우 실용적인 제품입니다. cd스펙을 제대로 실출력해 내는게 사실 그리 만만한건 아니죠.    
 
 * 위 표는 50mV출력이라는 극단적인 상황을 가정해서 측정이 진행된 거라, 실 사용 전압에서는 체감되는 차이가 상당히 줄어들긴 하니 감안하고 해석하시면 되겠습니다.
  
  
 발표된 스펙 중, 요즘 유행하는 mqa 미지원, 예전에 유행했던 dsd 음원의 미지원, 32비트는 지원하지만 192khz로 제한된 샘플링 레이트. 요정도가 약점인 것 같은데, 가격과 소비자들이 꼬다리덱 실사용시 192khz 이상을 쓸 일이 있는가 하는 측면에서는 큰 약점은 아닌것 같습니다. 꼬다리덱이 주로 쓰이는 아이폰, 안드로이드에서는 48khz까지밖에는..ㅠㅠ 안드로이드에서 우회지원이 가능하다고는 합니다만, 참 번거롭죠. pc에서도 384khz쓸일이 있는가 하면 제 경우에는 없기도 하고요. 4만원 언더라는 가격에서 이부분이 단점이 될 수 있는가 생각해도 그건 아닌것 같고 그렇습니다. 2배가격에서는 문제가 되겠지요. 실용성에 집중한 가성비 제품으로 접근하시면 되겠습니다.
   
 
 이 제품의 초도판매 물량이 200대정도로 기획되어 있는것 같은데, 이 제품은 
  
 1. 기존 꼬다리덱에 ba 등 이어폰을 붙여 쓰는데 기저노이즈가 들려서 신경 쓰이는 분. 
 2. 꼬다리가 없는데 이어폰 전용 꼬다리가 필요하신 분. 
 3. 거치형 앰프 입문하시는데 예산을 최대한 저렴하게 가져가고 싶으신 분. 이어폰도 쓰시면 금상첨화.(*주의! 헤드폰 운용이 주목적이라면 소캐 덱보다는 노이즈 좀 더 나오더라도 2V 이상 나오는 메이쥬덱 같은 제품들이 유리합니다. 사용하시는 제품에 맞춰서 고르시면..)

 이런분들에게 잘 어울리는 제품입니다. 이어폰용 usb dac 출시 후 디렘 프로 해외판 200대정도 한정수량이 한국에 먼저 풀리게 되는데, 여기에 이 usb dac이 mmcx케이블 형태로 번들됩니다. 이런 mmcx케이블 형태가 더 용이하신 분들은 민원을 적극적으로 넣어주세요. 상시판매분으로 usb-c dac이 내장된 mmcx케이블이 판매될 수도 있는거 아니겠습니까ㅎㅎ 
   
  
 이상 소개글을 가장한 제품 리뷰글이었습니다. 
  
 끝. 
 
  
 ------------------------------- 
 아, 참! 이 제품의 출력임피던스는 0.3옴정도입니다. 구매에 참고하셔요.

신고공유스크랩
hankey님 포함 10명이 추천

댓글 39

댓글 쓰기
profile image 1등

와! 드디어! 정말 솔깃한 소식이네요. ㅎㅎ  
 개인적으로 헤드폰을 꼬다리 댁으로 구동할 일은 정말 적어서, 이런 제품이 나오길 원했는데 딱이네요. 
판매 시작하면 아마 거의 바로 구매할 듯 싶습니다. 케이블도 내구성좀 괜찮게 나오면 싶었는데, 다행히 꽤 튼튼해 보이는군요. 아주 기대됩니다. ㅋㅋ  
 케이블은 아직 판매는 아니라지만...꼭 많은 분들의 항의(?)를 통해 판매가 진행되었으면 합니다. SL에 물려놓고 항상 가지고 다니기 좋을 것 같네요.

03:04
21.03.28.
nalsse 작성자
Heskeybi
usb-c케이블도 써보니까 참 편리했습니다. 간편한 사용을 좋아하는 분들에게 lg폰 설자리가 점점 없어져가는..
10:34
21.03.28.
profile image 2등

이제는 후퇴할 수 없습니다
제가 갈 길은 오로지 w2뿐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03:16
21.03.28.
nalsse 작성자
정우철
w2 예정이시면 w2가셔야죠! 얘는 보급형!
10:32
21.03.28.
3등

다 좋은데.... tempotec꺼 sonata hd pro 가 4만원선이라 ㄷㄷㄷ 과연 경쟁 가능할런지는 또 모르겠네요.

03:25
21.03.28.
nalsse 작성자
kalstein
그 제품도 잘 나온제품이죠ㅎㅎ 소량으로 200대만 선 출시한다고 하니 시장반응보고 추가공급여부가 결정될 것 같습니다.
10:50
21.03.28.
profile image

페리오딕오디오 로듐이 국내 정식 출시해서 유통할 계획이 있더군요.... 제가 써본 저가형 꼬다리 중에는 제일 좋은 것 같네요.

08:26
21.03.28.
nalsse 작성자
마사크레
페리오딕 오디오에서 usb dac도 나왔었군요! 최대출력이 1v인것을보니 그 제품도 이어폰용으로 나온 제품인가봅니다. 좋은 경쟁이 될 것 같아요ㅎㅎ
10:54
21.03.28.
nalsse 작성자
윤석빈
보급형으로 나온거라 필수기능아닌것은 싹 빼고 저렴하게 나왔습니다ㅎㅎ
10:57
21.03.28.
profile image
nalsse
추후엔 4.4도 지원되면 좋겠습니다
11:04
21.03.28.
nalsse 작성자
윤석빈
고급형 dac도 보급형dac반응이 좋으면 기획이 시작될 것 같습니다. 하나하나 단계를 빏아가야해서ㅎㅎ 고급형에는 원하시는 대부분의 것들이 다 들어가게 될 듯 해요.
11:11
21.03.28.
profile image
nalsse
아무래도 ifi제품처럼 밀도가 꽉 찬 제품이면 더 좋겠죠ㅎㅎ
11:19
21.03.28.
nalsse 작성자
윤석빈
아하! 착색파이시군요! 저도 착색 좋아합니다ㅎㅎ
11:52
21.03.28.
profile image
nalsse
플랫한데 미드 scoop되서 드라이하고 차가운거 생각보다 별로더라구요ㅋㅋ
12:09
21.03.28.
profile image
메이주 덱 프로랑 비교했을 때 어떤 제품이 우위가 될까요?
10:06
21.03.28.
nalsse 작성자
Crispin
이어폰에만 쓰시는 상황이라면 이 제품이 좋고, 헤드폰 운용도 겸해야한다면 최대출력이 더 높은 메이쥬가 유리합니다.
11:00
21.03.28.
profile image
선이 생각보다 기네요 ㄷㄷ
단선 가능성은 적어지겠습니다. 주머니에 넣고 쓰려니 메이주는 너무 짧아요.
12:16
21.03.28.
nalsse 작성자
SunRise
잭과 플러그 부분을 제외한 순수 케이블 길이를 재보지는 않았는데 눈대중으로 노출된 케이블 길이가 8cm정도 되어보였습니다. 10cm짜리 케이블을 사용해서 가공을 한 것 같아요.
12:40
21.03.28.
이번 emu0204와의 저가댁 단두대매치에서는 생존자가 있기를 바래봅니다.. 편의성과 출력은 일단 이겼는데 과연 소리는?
12:29
21.03.28.
nalsse 작성자
벤치프레스좋아함

청감상 0204수준은 되는듯 합니다. 지터대책이 부족한 0204보다는 usb연결시 소리가 좀 더 깔끔한 것 같고요. 레이턴시 측정을 해봤으면 pc사용시의 우열관계를 좀 더 확실하게 말씀드릴 수 있을것 같은데, 그거 체크하는걸 깜박했네요ㅎㅎ 음감용으로는, 비슷한 성능이 정말 작은 사이즈로 구현되는걸 보고 깜짝 놀랐었습니다.

12:37
21.03.28.
nalsse 작성자
벤치프레스좋아함
저렴이 제품이라 따로 청음회가 있을것 같지는 않고, 1주일쯤 후에 바로 발매가 될 듯 합니다!
12:53
21.03.28.
profile image
음향에 입문 시키고 싶은 지인들이 선물로 주고 차이를 잘 느껴보라기에 딱 좋은 선물 같아요. 가격대도 그렇고 국내 배송이라 주기에 부담 스럽지 않고요.
12:44
21.03.28.
nalsse 작성자
용용이
저도 이생각을 했습니다. 꼬다리덱이 은근 단선문제로 as가 필요한 경우가 있는데, 한국에서 정식유통되는 제품들은 이 부분에서 상당히 유리한 것 같아요. 주변 선물용으로 과하지 않고 딱 좋습니다. 사진을 잘 못찍어서 티가안나는데, 실제로 보면 외관이 싸구려처럼 보이지는 않더라고요.
12:53
21.03.28.
이미 LG 폰을 쓰는 분들에겐 그닥... 역시 저가형이군요. 2Vrms, DSD, MQA 등을 바라는분들에겐 아쉽겠네요. 요즘 삼성폰 처럼 3.5단자가 없어 불편한 분들에게는 희소식일듯...
12:54
21.03.28.
nalsse 작성자
슈뢰딩거의고양이
이어폰 전용 보급형 dac이라 로우게인이 적용되었습니다. 저는 lg g8을 쓰는데, 이어폰 연결시 무저항잭을 쓰지않으면 소캐 덱보다 품질이 떨어지더라고요. 꼬다리로 이어폰만 연결하시는 분들 중 dsd, mqa가 필요하신 분들은 현재로서는 cs43131들어가는 좀 더 비싼 제품을 구매하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이 제품은 실용스펙에 초점을 두고 최대한 원가절감한 제품이라..

저임피던스 제품 연결시의 실출력 음질, 괜찮은 케이블 요정도가 소캐덱이 중국산 꼬다리들보다 우위에 있는 점이고, 부가기능이 필요하신 분들은 돈 좀 더 쓰셔서 다른제품 가셔야죠ㅎㅎ ibasso dc03같은 모델이 요즘 떨이되어서 6~7만원정도로 직구 가능한데, 그 제품도 괜찮아보였습니다.
13:01
21.03.28.
profile image
nalsse
제리하비 오디오처럼 이어폰에 고출력 요하는 제품엔 사용이 어렵겠군요
14:23
21.03.28.
nalsse 작성자
윤석빈
jh오디오 제품들의 감도를 감안하면 소캐 꼬다리로도 구동안될 이유는 별로 없어보이는데, 그정도로 비싼 제품 쓰시는 분들이 이 제품을 사용할 이유가 별로 없어서(고가dap이나 10만원이상의 고급형 꼬다리덱으로 운용하실 것이므로) 완전 별개의 시장으로 바라봐야 할 것 같습니다. 이 제품은 보급형 엔트리모델에 해당하는 제품이어서요.
14:37
21.03.28.
profile image
nalsse
JH오디오가 실제 공연장의 느낌을 이어폰으로 가장 잘 표현하더군요. 근데 낮은 볼륨에선 그맛이 안나더라구요ㅋㅋ
14:41
21.03.28.
nalsse 작성자
윤석빈
jh오디오 제품들 감도, 임피던스를 보니까 소캐꼬다리로 음압이 안나올 이유가 없어보여요. 저게 허접해보여도 30mA정도 전류는 내주는 제품인데, 120데시벨 재생시 jh오디오 플래그쉽 제품이 요구하는 전류량이 10mA정도밖에 안됩니다. 전압은 아주 넉넉하고요. 구동면에서는 문제없을거에요ㅎㅎ

n5005같은 제품은 소캐 꼬다리로는 문제가 좀 될거고요.
14:53
21.03.28.
profile image
nalsse
ㅋㅋㅋㅋㅋㅋㅋㅋ제가 청음시 좀 많이 크게
들어서 그럴수도 있겠네요. 록산느 들었을때 힙댁에서 파워매치 켜고 볼륨 1시까지 올렸을때 진짜 라이브 현장같은 소리가 났으니까요ㅎㅎ
15:49
21.03.28.
profile image
nalsse
포지셔닝이 입문용 가성비 제품이라고 생각 하면 말씀하신대로 jh오디오 정도 쓸 유저를 겨냥한 제품이라고 보긴 어려울거 같아요. ㅋㅋ 이런 제품은 일단 혹 하는 디자인과 접근이 쉬운 가격 설정이 중요 할 거 같아요.
14:51
21.03.28.
profile image
슈뢰딩거의고양이
원래 소캐가 하이엔드 브랜드는 아니죠. 적절한 포지션인 것 같습니다.
13:37
21.03.28.
profile image
SunRise
나중엔 하이엔드도 도전해봐야하지 않을까요ㅋㅋ
14:47
21.03.28.
profile image
윤석빈
한국에서 불가능...ㅜㅜ
17:03
21.03.28.
일단 하나 사봐야 겠네요 ㅎㅎ
19:35
21.03.28.
nalsse 작성자
풍악을울려라!
이어폰 용으로 괜찮습니다ㅎㅎ
15:04
21.04.03.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부운영자 모집 공고! 28 영디비 5일 전15:37 1458 +16
6월 활동 이벤트 공지 및 상품 안내! 54 영디비 6일 전15:27 1260 +15
5월 이벤트 당첨자 안내! 30 영디비 6일 전12:52 977 +13
음향
normal
SunRise 21.02.11.23:04 8.2만 +25
음향
image
영디비 24.04.22.15:02 586 +24
음향
image
SunRise 24.05.22.00:24 323 +22
음향
image
SunRise 24.01.20.03:34 733 +21
음향
image
SunRise 24.05.05.16:07 712 +21
음향
normal
SunRise 24.05.03.09:38 332 +20
음향
image
SunRise 24.03.08.13:16 1735 +20
음향
normal
moaisoo 23.12.29.02:29 1193 +19
음향
image
호루겔 24.05.30.01:20 319 +19
음향
image
nerin 23.09.05.16:01 2732 +19
음향
image
로우파이맨최노인 24.05.25.19:36 516 +19
음향
normal
SunRise 23.12.03.12:46 733 +19
음향
image
호루겔 24.02.26.18:09 1789 +19
음향
image
Heskeybi 21.10.03.22:00 1.5만 +19
음향
image
Hibiki 24.04.06.16:20 1083 +19
음향
image
nerin 24.02.28.00:32 1157 +19
음향
image
SunRise 24.05.23.19:38 145 +18
음향
image
SunRise 24.04.30.18:51 869 +18
음향
image
SunRise 21.09.13.14:48 8406 +18
음향
normal
플랫러버 24.04.13.01:37 351 +18
음향
image
idletalk 24.03.05.05:30 729 +18
음향
image
베랑 22.01.10.18:24 2370 +18
음향
image
불량 23.04.28.05:03 2666 +18
음향
image
SunRise 24.05.03.19:28 418 +18
음향
image
로우파이맨최노인 23.11.22.17:50 507 +18
음향
normal
SunRise 23.10.21.01:38 678 +18
음향
image
문아리 22.01.26.23:01 5499 +17
음향
normal
SunRise 24.05.27.19:32 359 +17
음향
image
로우파이맨최노인 24.05.13.01:23 685 +17
음향
image
로우파이맨최노인 24.06.03.01:02 957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