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음향

예상대로 QN1 칩셋 탑재!? WF-1000XM3의 프레스 이미지가 리크!!

마키세크리스 마키세크리스
5051 6 24

안녕하세요, 마키세 크리스입니다.

여전히 완전 와이아레스 시장은 전국시대와도 같습니다. 이런 말을 하기 시작한것도 1년이 넘은것 같네요. 그렇지만 세부적으로 보면 꼭 그런것도 아닙니다. 고급형 완전 와이아레스에는 난공불락의 에어팟이 1위를 놓치지 않고 있고, 여기에 대항할수 있는 회사는 그렇게 많지 않지요. 때문에 애플을 타도하지는 못하더라도, 2위에 올라서는 것이 누구인가가 더욱 중요한 일이 되었습니다. 소니 역시 그 가운데의 하나로 시작부터 WF-1000X를 전개했지만, 아시는 것처럼 연결 이슈를 해결하지 못하고 굉침해버렸습니다.

그렇지만 WF-1000X는 연결 이슈가 있다는 것만으로 잊혀지기에는, 독보적인 음질과 노이즈캔슬링이라는 무기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후계기를 기다렸고, 그래서인지 WF-1000XM3가 전개된다는 소식을 전해드렸을때에는 한동안 많은 분들이 관심을 보여주시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몇 시간전, 독일의 통판 사이트를 통해 WF-1000XM3의 프레스 이미지가 리크. 조금 늦었지만 자세하게 분석해보았습니다.

WF-1000XM3 / WF-1000X 
 

WF-1000XM3의 가장 큰 특징은 버튼이 없다는 것입니다. 그러면 조작은 어디로 하는가하면, 유닛의 절반 정도를 점유하고 있는 원에 비밀이 있습니다. 첫번째 완전 와이아레스로 있었던 WF-1000X가 버튼 UI를 채용하고, 실질적으로 두번째 완전 와이아레스라고 할수 있는 WF-SP900은 탭 UI를 더했지요. WF-1000XM3는 WH-1000X 시리즈와 동일한 터치패드를 채용하는 것으로, 버튼이 없는 심레스한 디자인으로 되고 있습니다. 즉, 1000X 헤드폰의 제스쳐 콘트롤에 대응하고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다만 완전 와이아레스 이어폰이다보니 터치패드가 소형화될수 밖에 없는데, 이 경우 제스쳐 인식의 정확도가 중요할 것 같습니다. 더블 탭을 했는데 스와이프로 인식한다거나 하면 곤란하겠지요. 정확한 것은 실기를 확인해야 알수 있겠지만, 현재로서는 살짝 우려가 있습니다. 또한 엑스페리아 이어 듀오와 같이, 기본적인 제스쳐는 양측에서 동일하지만, 특정 조작에 대해서는 좌/우가 다를 가능성이 있어보입니다. 볼륨 콘트롤은 좌우 동일하지만, 재생 UI는 우측 유닛, NC UI는 좌측 유닛에 분산되지 않을까 싶네요.

그러고보니 '심레스한 디자인'은 WH-1000XM3의 디자인 테마였습니다. WF-1000XM3 역시, 약간 매트한 텍스쳐의 미들 톤을 채용하면서, WH-1000XM3에 채용되었던 코퍼와 골드의 포인트 칼라를 채용. 1000X라는 패밀리 페이스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전체적인 form은 WF-SP900의 알약 모양으로 다듬어, WF 시리즈의 플래그십이라는 위치와, 1000X 시리즈의 완전 와이아레스라는 양쪽의 이미지 모두에 어울리고 있습니다. 특히 선대기의 특징이기도 했던 LED가 삭제되었는데, 정확히는 숨겨졌습니다. 자세한 것은 밑에서 다시 볼게요.

이외에도 신경쓰이는 것이 있다면 포워드 노이즈캔슬링 마이크의 소형화. 소니 로고의 'SO'와 크기가 동일했던 종래기에 비해, WF-1000XM3의 포워드 마이크는 'S'와 크기가 동일하지요. 형상도 원형에서 타원형으로 되었던 본가와는 반대로, 타원형에서 원형으로 되고 있는데, NC 성능에 어떤 변화가 있을지는 역시 실기를 확인해야 알수 있을것 같습니다. 다만 밑에서 이야기할 '어떤 변화'에 따라서, 적어도 NC 성능의 저하는 없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역시 외형상의 변경이지만 그다지 눈에 들어오지 않는 것으로는 노즐부의 변경이 있습니다. 노즐이 유닛 후미에 있던 WF-1000X와 다르게, WF-1000XM3는 노즐을 약간 전면 배치하고 있는 것이 알수 있지요. 이것은 WF-SP900과도 유사한 구조인데, WF-SP900의 전례를 생각한다면 후미에는 조도 센서가 탑재되어, 유닛을 귀에서 뺐을때에 음악 재생을 중단하는 기능이 추가될 것 같습니다. 또는 본가와 동일한 피드백 마이크가 탑재되어, 완전 와이아레스 최초로 듀얼 노이즈캔슬링에 대응할 가능성도 있겠지만, 트레이드 오프를 생각했을때에 이쪽은 현실성이 낮아보이네요.

한가지 신경쓰이는 것은 노즐 주변부의 구조입니다. 노즐이 원추형으로 되면서 알수 없는 디테일이 추가되었는데, WF 라인업에는 없었던 설계입니다. 소니 전체에서도 WI-SP500 정도가 원추형의 노즐을 채용하고 있어, 상당히 이례적인 설계라고 할수 있겠네요. 이 부분이 어떤 역할을 하고, 어떤 의도의 설계로 되고 있는가는, 역시 실기를 확인해야 할것 같습니다. 
 

 
케이스 역시 종래의 소니의 완전 와이아레스의 흐름을 따라가고 있습니다. WF-1000X의 케이스는 조금 더 길었지요. WF-1000X의 케이스가 휴대에 어렵다는 목소리가 있었고, 다른 WF 라인업이 정방형에 가까운 케이스를 채용하고 있으니, WF-1000XM3 역시 동일한 디자인으로 된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고급감을 위해 WH-1000XM3에 채용된것과 동일한 수지를 채용. 커버에는 포인트 칼라의 몰딩을 채용하고 있네요. 이것에 따라, WF-1000XM3에는 본체 칼라에 맞는 케이스가 동봉될것으로 생각됩니다.

또 하나의 변경점은 케이스에 LED가 탑재된것. 사실 소니의 완전 와이아레스들은 본체 LED를 케이스에서 보이도록 하여 충전 상태를 확인하는 재미있는 설계를 채용하고 있었는데, WF-1000X만은 예외였습니다. WF-1000XM3도 이런 설계를 이어가나 했는데, 케이스에 LED를 별도로 탑재한 것 같네요. 케이스가 소형화된 것에도 WF-1000XM3의 연결사용시간은 24시간으로 대폭적으로 향상되었습니다. 1회 사용시간이 6시간이니까, 3회의 추가 충전이 가능한 것입니다. 이 때문인지 유닛 중량은 각 8.2g으로 약간 증량되었지만, 큰 차이를 느끼지는 못할것으로 생각됩니다. 
 

 
외형상의 변경점에 대해서 많은 부분을 이야기했지만, 사실 WF-1000XM3에 기대되는 것은 겉보다는 속입니다. FCC 인증 결과에 따르면 WF-1000XM3는 최신 규격으로 있는 블루투스 5.0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또한 개발이 지연된 퀄컴의 신형 칩셋이 탑재될 가능성이 높아, '방구석 여포' 라는 말은 이제 없을 것 같네요. 그리고 WH-1000XM3의 쇼케이스에서 프로젝트 리더 와타나베 나오키씨가 암시했던 것처럼 QN1 칩셋이 탑재되고 있어, NC 성능 역시 대폭적으로 향상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미지를 리크한 곳에 따르면 24비트 192KHz의 Hi-Res 재생에도 대응하는 것으로, NC, 음질, 연결성 등 전부분의 성능 향상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한가지 신경쓰이는 것은 리크된 이미지 속의 Headphone Connect 앱입니다. 아시는 것처럼 연결된 기기명의 아래에는 블루투스 마크, 연결 코덱, 배터리 잔량 등이 표시되지요. 그런데 배터리 잔량의 좌측에 표시되는 것이 4글자의 대문자로 보여지고 있습니다. 블루투스 5.0의 저지연성과 QN1e 칩셋 탑재 등에 따라서, 완전 와이아레스 최초로 LDAC에 대응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생각되는 곳입니다.

IFA 2019에서 공개될 예정의 제품의 가운데에서, 아마 가장 많은 분들이 기대하고 있을 WF-1000XM3를 간단하게 분석해보았습니다. 이번의 리크로 외형, NC 성능과 연결사용시간의 향상 등 다양한 정보가 리크되었지만, 이미지만으로는 알수 없는 정보도 남아있습니다. WF-SP900과 동일한 1BA가 되는가, 종래기의 DD를 유용하는가 등이 그 예시라고 할수 있겠지요. 또는 추측의 영역으로만 남겨둔 다양한 변경점이 실제로 해당되는가도, 아직은 알수 없는 곳입니다.

리크를 통해 분석해본 WF-1000XM3는, 많은 분들이 WF-1000X의 후계로서 기대하던, WF 시리즈의 플래그십인 동시에 1000X의 이름에 아깝지 않은 모델로 될것 같습니다. 많은 분들이 IFA 2019로 생각되는 발표를 기다리지 못하고 있고, 개인적으로도 WF-1000XM3의 본기 (本気) 가 정말로 기대됩니다. 그러면 새로운 소식이 들어오는대로 다시 분석해보겠습니다.

이상. 
 

마키세크리스 마키세크리스
16 Lv. 5620/5780EXP

소니 모에 크리스의 소니 연구소 https://blog.naver.com/so-02g 

Sony IER-M9 / Sony WH-1000XM4 / Sony SRS-RA3000 / Sony MDR-1AM2 / Sony XBA-N3AP / Sony WF-1000XM3 / Sony WF-SP900 / Sony h.ear go 2 / Sony Xperia Ear Duo / Sony WH-H800 (h.ear on 2 mini Wireless) / Sony STH50C

Sony Xperia 1Ⅱ / VAIO SX14 / Sony Xperia 1 / Sony Walkman ZX300 / Sony Xperia XZ1 Compact / Sony Walkman NW-A100TPS / Sony Walkman NW-A45 Sphere Edition / PSP go / PlayStation Vita (PCH-2005)

Sony α6400
 

신고공유스크랩
꼬북이 꼬북이님 포함 6명이 추천

댓글 24

댓글 쓰기
1등
하우징 모양은 기존에 WF 700,900를 계승하는듯한 느낌이네요. 일단 소니 이어폰은 가격방어가 잘안되니 리뷰보고 천천히 생각해봐야겠네요. ㅎㅎ 그런데 WI 후속은 얘기가 없나보군요..
06:37
19.06.22.
profile image
나만의하쿠
개인적으로는 WF-SP900이 음질이나 성능 등에서 '노이즈캔슬링 없는 WF-1000XM2' 라고 생각합니다. 이러면 디자인의 방향성이 대충 맞아요. WI는 고급형 넥밴드 이어폰에 대한 수요가 완전 와이아레스와 상당 부분 겹치기 때문인지, 아직은 후계기에 대한 소식이 없네요. 발표일이라고 생각되는 IFA 2019까지는 시간이 남아있으니 좀더 기다려봐야 할것 같습니다.
06:47
19.06.22.
profile image 2등

제게는 가격이 가장 관건인데..
번역기인지 문장이 매끄럽지 못하네요. ^^

06:39
19.06.22.
profile image
터럭
가격은 일단 동결인것 같습니다. 이미지가 리크되었던 통판 사이트에는 249유로로 표시되어 있었다고 하고, 소니코리아에서도 WF-SP900가 299,000원이니 신형 1000X를 그것보다 낮게 설정하기는 어려울것 같습니다.
07:02
19.06.22.
profile image 3등

소니 헤드폰의 제스처 컨트롤은 참 편리했는데 저 작은 터치 패드에서 정확하게 인식이 될려나 모르겠네요. 
그리고 나중에 배터리 성능이 떨어지는걸 감안해서 배터리 타임이 8시간 이상은 나와주길 바랬는데 좀 아쉽습니다. 
그래도 2세대 ba가 들어갈테고 노캔 성능 더 좋을테고 연결성에서는 불평 나올 일은 없을것 같아서 기대되네요. 
(근데 과연 LDAC을 지원할런지 의문이네요. 코드리스 이어폰은 연결성이 되게 우선시 되는 제품이라...)

06:55
19.06.22.
profile image
크라이드
일반적인 완전 와이아레스 이어폰의 크기를 생각해보면 터치패드에 손가락 하나만 달랑 들어갈것 같습니다. 이렇게 작은 터치패드를 채용한 전례가 없으니 아직은 어떻게 될지 모르겠지만, 일단은 우려가 큽니다. 사용시간은 8시간을 기대했지만 6시간이 되었다고 하면 짧겠지만, 3시간의 2배인 6시간으로 되었다고 하면 깁니다(?)
본문에서는 BA일지 DD일지 모르겠다고 하지만, 여러가지의 조건을 생각했을때에 종래기의 DD가 유용되는 가능성이 더 높아보입니다.
07:14
19.06.22.
profile image
마키세크리스
터치패드 크기는 크게 문제는 안될겁니다. 제가 TWS이어폰 중 가장 작은 EARIN M2만 해도 사실 터치패드는 큰 문제는 없었거든요.
07:20
19.06.22.
profile image
완전무선매니아

일반적인 터치 방식이면 큰 문제 없을텐데 소니의 제스처 컨트롤 방식이면
오작동이 많지 않을까? 싶기도 하네요. 특히 이전 / 다음 트랙 같은 기능이나
볼륨 조절 같은건 상하좌우 방향으로 스와이프 할텐데 패드 자체의 크기도 작고
이어버드를 귀에 꽂으면 터치 패드의 상하좌우가 귀에 꽂은 각도에 따라 달라질꺼라서
일반적인 탭방식의 터치 컨트롤보다 불편할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아마 적용한다고 해도
코드리스 이어폰용으로 조작 방법을 바꾸지 않을까? 싶은데 어떻게 나올지 궁금하네요.
(earin m2는 사진으로만 봐서 잘 모르는데 소니꺼랑 비슷한 터치 방식인가요?)

07:32
19.06.22.
profile image
완전무선매니아
그렇군요. 혹시 소니랑 비슷했나? 싶어서 질문 드렸습니다.
m2 나왔을때 엄청 사고 싶었는데 당시 가격이 ㅎㄷㄷ했던 기억이 나네요.
그나저나 터치 방식은 조작감이랑 정확도때문에 탭 방식외에는 쉽지 않을것 같은데
과연 XM3은 어떤 제스처 방식으로 나올런지 궁금해지네요.
07:59
19.06.22.
profile image
마키세크리스
sp-900에 2세대 ba 넣어줬으니 WF-1000XM3에도 넣어줄꺼라 생각했는데...
만약에 dd들어간다면 저는 패스해야겠네요. ㅠ.ㅠ
07:22
19.06.22.
profile image
크라이드
WF-SP900에 탑재된 BA는 IER-M시리즈의 것과 동일합니다. 그런데 NC 모델은 패시브 노이즈캔슬링을 위해서 베이스를 조금 더 강조하거든요. 모니터에 가까운 M시리즈의 BA를 탑재하기에는 어려운 곳이 있지요.
07:38
19.06.22.
profile image
마키세크리스
네. 저도 M시리즈의 2세대 BA라길래 sp-900 고민했었는데 사실 XM3때문에
기대하면서 존버중이었거든요. 근데 말씀대로라면 확실히 BA 탑재는 힘들수 있겠네요. 아쉽~~~
07:54
19.06.22.
profile image
크라이드
개인적으로 wi 1000x LDAC를 사용했는 s7에서 노트9으로 기종을 바꾸니 끊김이 확실히 덜해 졌습니다.
그래서 5.0 5.0이니 끊김이 거의 없어지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09:25
19.06.23.
profile image
일단 공개된 정보만 보면 너무 행복합니다....아 기대가 크면 실망도 큰데...ㅜㅠ
07:06
19.06.22.
profile image
풍악을울려라!
2년의 기다림에 대한 답으로는 충분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RF 성능도 WF-SP900에서 큰 발전을 보여줬으니, 걱정하지 않아도 될것이라고 생각합니다.
07:35
19.06.22.
profile image

어플앱 글자가 4글자였군요.. 몇글자인지 보려다가 포기한 부분이었거든요. 혹시 어플앱 있는 사진에 같이 있는 스마트폰이 엑스페리아1인가요? 그 사진보면 LR 둘다 연결되어 TWS PLUS를 은연중 암시하는 것 같았거든요 그럼 QCC302X칩과QN1E칩을 동시에 집어넣은 것이라고 봐야될듯합니다. 만약 TWS PLUS 구동으로 LDAC이 무난히 끊김없이 된다면.. TWS PLUS는 많이 중요한 요소가 되겠군요.(기존의 TWS모드는 아무래도 LDAC구동은 힘들것이라고 보는 입장입니다). 그러나 DK님 최근 댓글만 봤을 때는 LDAC은 힘들것이라고 댓글을 주신것도 기억이 나네요. 엠바고때문에 정보를 못푸신 분이라.. LDAC이 화두가 될지도 모르겠네요. 

07:14
19.06.22.
profile image
완전무선매니아
엑스페리아 1은 아닙니다. 카메라의 위치가 완전히 다르고, 프레임의 형상도 약간 다릅니다. 그런데 디스플레이 자체는 21:9 아스펙트비인것을 보면, IFA 2019에서 공개될 겨울 모델이 함께 리크된것이 아닌가 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여튼 엑스페리아 1이 TWS Plus에 대응하고 있는데, 그 이후에 전개되는 본가의 오디오 모델이 TWS Plus에 미대응할리는 없지요.
07:41
19.06.22.
profile image
마키세크리스
tws plus인것보면 적어도 aptx는해줘서 다행이네요ldac은 기대치를 낮추는 상황이라서요
07:45
19.06.22.

나오면 들어보고 바로지릅니다

07:48
19.06.22.
profile image

기다린다 기다린다 하던 게 벌써 2년이 다 되었네요... 
정말 기대하고 있습니다 ㅎㅎ

08:54
19.06.22.
profile image
곧 출시가 된다고 하오니 기대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다만 전작에 비해 연결안정성과 통화품질 개선/사용시간/조작 편의성에 중점을 맞춘것 같아 보이며, 지원코덱에 대해서는 기대보다 실망감이 크실 것 같네요. 가격은 30만원을 넘지는 않을 것 같아 보여 다행입니다.
15:12
19.06.27.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부운영자 모집 공고! 28 영디비 24.06.04.15:37 3314 +16
6월 활동 이벤트 공지 및 상품 안내! 54 영디비 24.06.03.15:27 3241 +15
5월 이벤트 당첨자 안내! 30 영디비 24.06.03.12:52 2819 +13
음향
image
짜짜로니 19.11.10.22:58 12만 +3
음향
normal
SunRise 21.02.11.23:04 8.2만 +25
음향
image
Stellist 20.08.07.14:11 7.2만 +4
음향
image
hankey 21.04.21.15:37 6.2만 +4
음향
image
로드러너 23.05.21.16:02 5.9만 +6
음향
normal
Heskeybi 20.08.29.13:25 5.5만 +16
음향
image
청염 19.11.01.11:44 4.3만 +7
음향
image
완전무선매니아 20.03.08.22:18 4만 0
음향
image
완전무선매니아 20.05.28.14:06 3.5만 0
음향
image
컬리그 20.03.06.11:32 3.5만 +2
음향
normal
SunRise 22.03.24.01:15 3.4만 0
음향
image
OrangeFloyd 19.11.13.15:23 3.3만 +1
음향
image
Egdms 19.11.30.14:36 3.3만 +2
음향
image
Luminα 22.05.14.22:05 3.2만 +2
음향
image
Luminα 22.03.24.02:15 3.1만 +5
음향
image
Stellist 19.11.09.14:36 3만 +2
음향
normal
유시 22.03.24.12:00 2.9만 0
음향
image
SunRise 22.03.20.17:12 2.8만 0
음향
image
무선수집가푸우 22.05.29.17:40 2.7만 0
음향
image
문아리 23.09.02.13:06 2.6만 +7
음향
image
노란벽돌 19.07.17.07:24 2.6만 +8
음향
image
Stellist 20.07.18.11:21 2.6만 +3
음향
image
은우아빠 20.06.23.14:55 2.5만 +5
음향
image
SunRise 22.03.10.14:11 2.5만 +1
음향
image
Imfinzi 22.06.11.09:56 2.5만 +2
음향
image
익명 22.07.08.03:12 2.5만 +1
음향
image
페퍼소스 20.08.06.17:20 2.4만 +4
음향
image
SunRise 22.04.11.13:28 2.4만 +6
음향
image
Grape_Kun 19.08.30.11:30 2.4만 +3
음향
normal
마사크레 20.01.18.09:54 2.4만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