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한 앰프에 동시에 2개 이상의 헤드폰을 연결할 경우 간섭 문제?

idletalk idletalk
4579 0 18

헤드폰 단자가 2개 이상 달려있는 앰프들이 있습니다.  
중립적이고 정확한 증폭 기능을 수행한다고 알려져 있는 제품들 중에 예를 들자면, 
벤치마크 DAC3, 그레이스 M920 같은 제품들이 있지요. 
  
여기에 대역별로 1) 임피던스 변화가 큰 다이나믹 헤드폰과, 
2) 임피던스 변화가 거의 없는 평판자력형 헤드폰을 동시에 연결해서 둘중 하나의 헤드폰만을 청취한다면, 
청취하지 않고 있는 다른 헤드폰에 의해서 청취하고 있는 헤드폰의 음역밸런스가 영향받게 되나요? 
 
1)은 2)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 같은데,  
반대로 2)은 1) 때문에 영향을 받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상식적으로 회로에 대역별로 저항값이 달라지는 코일이 병렬연결되어 있는 거나 마찬가지 아닌가요? 
앰프에 헤드폰을 여러대 연결하고 비교청음을 하는 일이 흔한데 그러면 안 되는 것 아닌지요...? 
앰프부가 독립되어 있다면 문제가 아니겠지만 그런 제품을 흔히 보지는 못했습니다.
 
이 문제에 대한 측정 실험 결과가 있을까요?

신고공유스크랩

댓글 18

댓글 쓰기
profile image 1등

비교 청음이라... 
  
 이런 경우가 많이 있을까요?

03:02
19.01.24.
profile image
idletalk 작성자
영디비

이거 왠지 제가 이상한 질문을 한 거 같이 흘러가는데 ㅎㅎ
제가 개인적으로 이런 방식으로 비교청음을 자주 한다는 얘기가 아니고요,
누구든지 진지하게 듣는다면 하나만 꽂아서 듣는게 일반적인 경우겠지요.

그런데 이 동영상 한번 보세요. https://youtu.be/GqjGRQpt2Zg
HD600과 HD700을 언밸런스 단자에 동시에 꽂아놓고, 밸런스단에는 HD700이 하나 더 물려있습니다... 이게 다 서로 영향 안받고 독자적으로 구동되려면 출력단이 8개 필요한데... 진짜 그래요? 틸 옹도 그렇고 앰프 소개하시는 분도 업계 전문가일텐데, 이게 일반적인 경우가 아니라면 지적을 해야 하지 않을까요? 아니면 제품 소개하는 인터뷰니까 그냥그냥 좋게 넘어간거지만, 저 상태로 청음을 하고 "첫인상"을 평가하지는 않았을 거라고 봐야 하나요?

여러분 만약 사람들 많은 헤드폰 미팅이나 청음매장에서 저렇게 세팅되어 있으면 그냥 듣나요? 아니면 다른 헤드폰 다 빼고 들어보실건가요? 
  
p.s. 앞에 계신 분이 답글을 지우셔서 도입부 연결이 약간 이상한데 그냥 그대로 놔 둘게요;;

09:26
19.01.24.
profile image 2등

출력단의 임피던스가 만약 바뀐다면 1쪽의 소리만 변하겠지요
제 생각에 그런 식으로 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일단 부담이 심하지 않다면 발열만 약간 심해지겠지요
그리고 양쪽이 동시에 신호품질이 나빠질 수 있습니다
임피던스가 낮아서 전류를 더 많이 챙겨가는 쪽의 소리가 더 심하게 망가질 수도 있고, 반대로 높은 전압이 필요한 고임피던스쪽의 출력에서 파탄이 날 수도 있습니다
혹은 에러 발생으로 기기가 셧다운되거나 그러지 않더라도 소리 출력을 자체적으로 중단시켜버릴 수도 있구요
심하게는 전력 공급한다고 허덕거리다가 어디 한구석이 타면서 고장이 나는 식으로 가는 경우도 충분히 가능해요
하지만 전력용량이 아주아주 넉넉한 고출력기에서는 위 상황중 아무것도 일어나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혹은, 별 탈이 없더라도 헤드폰 단자중에 예를 들어 가장 나중에 꽂은 하나로만 소리가 나도록 설정이 되어있을 수도 있구요
지금 제가 쓰는 기기는 어떤 원칙인지는 잘 모르겠는데 일단 다 꽂아보고 소리를 내보니 한군데로만 나오네요

03:18
19.01.24.
profile image
idletalk 작성자
정우철
다만 둘 다 구동한다고 하더라도 임피던스가 극단적으로 낮은 헤드폰 2개를 동시에 연결한거 아니면 앰프 내구성 문제는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앰프들이 16옴부터 600옴까지 다양한 헤드폰에 대응하게 되어 있고, 출력도 3db만 오르락 내리락해도 벌써 2배 차이인데... 그정도로 하드웨어에 무리가 되지는 않겠지요.
다만 병렬로 연결된 헤드폰 2개가 상호간 일종의 네트워크 필터로 작용해서 소리를 변화시키지 않느냐는게 걱정입니다.
그러데 정우철님 사용하시는 앰프는 알아서 한 군데로만 나온다니... 좋은 앰프는 이런 문제를 고민할 필요가 없나 봅니다;;;
09:37
19.01.24.
3등
질문자께서 틀린 내용이라 하셔서 잘못된 정보 전달이 우려되어 내용 삭제 했습니다.
03:50
19.01.24.
profile image
idletalk 작성자
예림이아빠
출력임피던스에 250옴의 저항이 걸리는건 저항을 직렬로 연결할 때 아닌가요?
헤드폰 2개 꽂는건 병렬 연결이죠...
09:43
19.01.24.
idletalk
그런가요? ㅎㅎ 괜히 시간 버리면서 고민했네요. 질문하시는 분이 답을 다 아시는듯한데...
10:08
19.01.24.
profile image
idletalk 작성자
예림이아빠

저도 잘 몰라요. 제가 T1, HE500, M903 있어서 직접 실험을 해볼 수도 있었는데...
아뿔싸 한쪽 헤드폰단 내부에 이미 100옴 저항을 연결해놔서 제대로 된 실험이 안 돼요ㅜㅜ 
(그리고 제가 제 귀를 웬만하면 잘 안&못 믿습니다...)
사실 이런 문제를 검증한 측정치가 있으면 좋겠다 싶어서 리뷰 요청란에 쓰려다가...
너무 혼자만의 궁금증인 것 같아서 먼저 질문 게시판에 올려보았습니다.

10:22
19.01.24.
profile image
idletalk 작성자
idletalk
해드폰 앰프 기판에서 출력단자로 가는 배선을 뽑아서 100옴 저항을 붙였습니다.
말씀하신대로 T1에서 톤밸런스는 큰 차이가 없는데 (아주 살짝?) 배경이 좀 덜 깔끔하게 들려요. 짧게 바꿔 들으면 그게 그거 같고, 한참 음악감상 하고나서 얻는 느낌 차이는 꽤 크게 옵니다. HE-500은 더 차이가 안 나는 것 같고요.

제가 처음 질문한대로 동시에 꽂아놓고 듣는건...
제 귀로는 도통 차이를 모르겠다는 겁니다.
앰프 개조를 해버렸으니까 제가 원하는 실험 조건도 안 나오고요.
그리고 제 경험이 문제가 아니라, 정확한 이론적 설명은 어떠한지, 그리고 측정으로 나오는 결과는 또 어떠한지 궁금하다는거죠.
제가 전공자도 아니고 주섬주섬 얻은 전기 지식을 가지고 만든 가설을 확실할 수도 없고요...

p.s. 대댓글로 쓴 글인데 댓글을 지우셨네요... 그냥 그대로 올릴게요.
15:51
19.01.24.
profile image

소스기기의 출력 임피던스가 매우 낮다면, 주파수별 임피던스 차이가 큰 제품을 병렬로 연결했더라도, FR이 측정 리뷰상의 FR과 차이가 별로 나지 않을 겁니다. 약식으로 계산하는 경우, 제품별 임피던스의 1/8 미만이 안전한 걸로 나오니까, 병렬인 경우는 약 2배의 영향을 상정하면, 1/16미만이어야 FR의 변화가 1 dB 미만이 되겠죠.  
 
모바일용으로 출시되는 헤드폰의 임피던스도 32옴 남짓이니, 소스기기의 출력 임피던스가 2옴 미만이면 병렬 연결이라도 FR 차이가 1 dB 미만이 되어, 사람의 청감으로는 구분하기 어렵겠다고 생각되는..
  
 출력임피던스란? (NwAvGuy 번역글) 
 

16:31
19.01.24.
profile image
idletalk 작성자
터럭
헤드폰을 한 앰프에 병렬로 연결하면, 헤드폰측에서 앰프 출력 임피던스가 2배가 된 것, 혹은 앰프 측에서는 헤드폰 임피던스가 반이 된 것과 같은 효과가 난다는 뜻이군요. 댐핑팩터도 반이 되겠고요.
그래서 대역별로 영향이 다르게 가더라도 1db 이내에서 머무는 범위 또는 댐핑팩터 8이상이라면 큰 문제가 없을것이다...
...이렇게 이해하면 맞게 이해한 걸까요?

그리고 NwAvGuy 번역글도 읽어보았는데 전기적, 기계적을 합해서 전체적인 댐핑이 적어지면 적어질수록 링잉(ringing)이 생기게 된다는 중요한 구절이 있네요.!
평판형은 기계적 댐핑이 거의 없는 것으로 아는데, 그러면 앰프의 출력임피던스에 따라서 톤밸런스 변화는 거의 없다고 하더라도 임펄스 응답이나 디케이 패턴은 엄청나게 달라질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내일 시간이 나면 이 부분에 유의해서 잘 들어봐야겠네요
21:22
19.01.24.
idletalk
결국 그레이스 디자인 M903이라는 300만원 짜리 앰프를 분해해서 헤드폰 출력단자로  연결되는 라인에 100오옴 직렬저항을 붙였습니다. 그렇게 만든 앰프에서 헤드폰을 두개 동시에 연결해서 음감을 하는데 사운드가 달라진것 같은데 이와 같은 테스트의 측정 결과가 있나요?가 질문의 요지인거에요?
--;;;;;;; 
저항을 붙이면 좋다고 누가 그러던가요? 단자 외부에 추가로 장착하는 저항잭을 주문하면 되는데 저항을 붙인다고 300만원짜리 앰프를 분해해서 저항을 납땜했다구요?
내가 이래서 영디비님에게 출력임피던스 좀 제대로 정리해서 올려달라고 한건데... 

제가 몬가 이상한 질문 같아서 달았다 지웠다를 좀해서 윗글들이 차례가 안맞았네요. 읽으시는 분들께 죄송하구요. 담부터 이해가 안가는 글에는 댓글 안달겠습니다. --;;;;
22:15
19.01.24.
profile image
idletalk 작성자
예림이아빠
그게 아니고 순정상태 기준으로 헤드폰 2개를 동시에 연결했을때 어떻게 되느냐가 질문의 요지이지요.

예림이아빠님께서 직접 해보면 되지 않느냐고 말끔하셔서 저는 개조를 했기 때문에 제대로 된 실험을 못 한다고 답했던 거고요.

이런 혼란이 올까봐 애초에 본문에는 제 앰프 개조 얘기는 언급도 없었습니다. 저 위에 링크한 동영상에 나오는 것도 젠하이저에서 직접 출품한 순정상태의 앰프잖아요...
22:26
19.01.24.
profile image
idletalk 작성자
예림이아빠
그리고 저항연결해서 더 좋아지려고 한게 아니고요. 출력단자 2개인데 그중 하나쯤은 다른 소리를 들어보는 것도 좋겠다 싶어서 한 겁니다. 베이어에서 만드는 앰프도 출력임피던스가 100옴이잖아요.

그리고 기판에 배선 연결부가 나사조임식으로 되어 있어서 납땜 안해도 돼요. 헤드폰단자쪽에서 오는 구리선하고 저항다리는 꼬아서 압착하고 수축튜브로 싸주면 됩니다.

그리고 댓글로 대화하는데 기존 쓴 댓글을 자꾸 삭제하시면 저만 이상한 사람 된 것 같고 기분이 좀 그래요. 제가 쓴 글도 자꾸 다른 뜻으로 이해하시고...

과학적 사실관계를 질문하는데 제가 언급하지도 않은 제 의도나 희망사항 같은 것은 왜 문제삼으시는지 모르겠네요.

ps. 그래도 댓글 달아주시는게 좋아요. 대화하면서 즐거웠습니다. 관심 주셔서 감사해요. 
22:39
19.01.24.
idletalk
댓글 지운거는 죄송하구요. 띠엄띠엄 읽으시는분들에게 잘못된 정보가 가면 오디오쪽 미신만 커지니 지웠습니다. 두리뭉실한 질문보다는 팩트를 정확히 질문 하셨으면 답도 단순합니다.
질문하실때 칩셋 구성도나 분해한 사진을 첨부하셔으면 공돌이 감성을 자극하시면 앰프 구성과 칩셋의 특성도 찾아봅니다.
담부터는 빙빙 돌리지 말고 직설적으로 상황을 설명하시며 질문해주세요.


위글에 궁금하신 내용이 대부분 있네요. HD800 저항별 측정치도 있네요. 참고하세요. K420 때문에 출력 임피던스가 낮아야 좋은건지 좀 높아도 되는건지 논란 거리긴 한데...HE-500에 대한 설명도 나오구요. 다 읽어보시면 HE-500은 변화없고 T1은 저음부분 1db 미만 증가 있다는 예상이 나오네요. 결론적으로 사용하시는 헤드폰 2종은 출력 임피던스를 높일 이유가 없습니다. 쓰시는 앰프는 단자별 앰프가 구성된 고가의 제품으로 예상되는바 걱정없이 잘 쓰시면 됩니다. 다만 저항값이 낮은 제품들은 약간의 저항추가로 음색 조정이 된다고 하는데... 저도 고민 추가...ㅎㅎ 헌데 임피던스가 낮은 제품들은 대부분 임피던스가 평탄해서 큰 차이가 없겠고...ㅎㅎ 

HDVA600에 출력 임피던스는 공식적으로 밝히지 않아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100오옴은 아닌듯한데 어디서 찾으신건지...정확한 수치는 제작사 Support 팀에 문의 하시는게 정확합니다. 공식적으로 밝히지 않는 경우는 대부분 밸런스 기준 20오옴 내외던데...
(제가 헛갈렸어요. 젠하이저가 아니라 베이어다믹 A2가 출력임피던스를 0과 100오옴중에 선택 가능하군요)

ps. 저항은 떼세요. 단자 외부에 추가하는 저항 그리 비싸진 않아요. 
23:49
19.01.24.
idletalk
또하나 찾았네요. 베이어다이나믹 A2 앰프에 출력임피던스가 0,100오옴 표시가 있군요. 이걸 보고 저항작업하신거군요.
맞나요?
02:26
19.01.25.
profile image
idletalk 작성자
예림이아빠
일단 장문의 답변 감사합니다.

... 죄송하지만 제가 처음 포스팅한 질문을 문장 그대로 다시 읽어보셨으면 합니다.

제 시스템에 무슨 문제가 있으니 해결해달라는 질문이 전혀 아니예요.ㅜㅜ

ps. 달아주신 링크는 아주 유용했습니다. 원래 질문했던 내용인 “헤드폰 2개 병렬연결시 일어나는 일”에 대한 정보는 없지만, 터럭님 댓글 아래 대댓글에서 궁금했던 내용인 “임피던스 차이가 임펄스 및 디케이 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잘 설명되어 있네요.
출력임피던스가 반드시 낮아야만 좋은건 아니라고 하네요. 헤드폰쪽 임피던스 변화가 적어서 톤밸런스가 심하게 무너지지 않는다면 높은 출력임피던스에서 최적의 크리티컬 댐핑을 찾을 수도 있다는 얘기군요!

ps2. 그리고 평판자력형 헤드폰이 기계적 댐핑이 거의 없다는건 제가 잘못 알고 있던거였습니다. 진동판이 가볍고 넓어서 많은양의 공기와 부딪혀서 오히려 기계적 댐핑이 크다고 합니다. 

ps3. 다시 보니까 제가 앰프에 추가한 저항은 100옴이 아니라 120옴이었습니다. 구닥다리 취급받는 IEC 61938 규격에 따르면 표준 출력임피던스가 120옴인데 그거 따라해본다고 이렇게 됐네요. 옛날에 헤드폰스테이션 시절 고급앰프였던 코다 ha-1, ha-2도 0옴단자, 120옴단자 이렇게 두 개 달려있었던 기억이 납니다. 
02:52
19.01.25.
idletalk
엉뚱한 답변 죄송하구요. 저는 상황에 맞는 답변 드린건데 엉뚱한 답변이 되었네요. 죄송합니다.
요즘 제품은 출력 임피던스 0오옴에 맞춰 크리티컬 댐핑으로 만들어 지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어폰은 드라이버가 작으니 더 신경쓸 필요 없구요. 오버 댐핑이 무조건 좋은건 아닌데 엉뚱한 미신 만들까 걱정되네요.
요즘 DAC에서는 오히려 언더댐핑 처럼 사운드 조절해주는 필터도 있습니다.
되도록 하나의 헤드폰만 꼽고 쓰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상식적으로도 두개 동시에 꼽는게 더 좋지는 않겠지요.
저는 이만....
04:25
19.01.25.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최종 글
부운영자 모집 공고! 28 영디비 6일 전15:37 1510 +16 Aconitine
6월 활동 이벤트 공지 및 상품 안내! 54 영디비 24.06.03.15:27 1305 +15 햄최삼
5월 이벤트 당첨자 안내! 30 영디비 24.06.03.12:52 1003 +13 iHSYi
normal
파랑니 16.09.28.07:52 3988 0 영디비
normal
헤메 16.09.30.00:32 3857 0 NOX
normal
KIMBBAM 16.10.30.03:19 3390 0 KIMBBAM
normal
KIMBBAM 16.11.12.17:30 17499 0 lIllIlIlIII
normal
라르손 16.11.17.22:19 5766 0 우아한피조물
image
라르손 16.11.19.01:06 4186 0 영디비
normal
라르손 16.11.21.01:31 11556 0 우아한피조물
normal
라르손 16.11.21.20:22 9246 0 라르손
normal
라르손 16.11.22.17:45 5746 0 라르손
normal
라르손 16.11.23.00:49 6546 0 라르손
normal
라르손 16.11.23.18:18 4831 0 Sirius
normal
라르손 16.11.23.19:54 4774 0 라르손
normal
라르손 16.11.24.22:27 11226 0 HurryPotter
image
라르손 16.11.27.02:52 9010 0 우아한피조물
normal
라르손 16.11.28.21:11 4194 0 모자
image
KIMBBAM 16.11.30.11:40 3576 0 KIMBBAM
normal
가아라 16.12.02.01:55 4548 0 예림이아빠
image
라르손 16.12.03.00:31 4163 0 INSsoulJK
image
KIMBBAM 16.12.05.02:17 4672 0 KIMBBAM
image
라르손 16.12.11.11:54 4016 0 우아한피조물
image
영디비 16.12.14.11:42 4675 0 AP2
image
라르손 16.12.15.00:44 4187 0 SoilEars
image
라르손 16.12.18.17:27 5647 0 우아한피조물
image
라르손 17.01.06.01:17 3176 0 영디비
normal
KIMBBAM 17.01.07.04:03 3829 0 SoilEars
normal
라르손 17.01.09.20:22 4133 0 KIMBBAM
image
라르손 17.01.16.16:22 4058 0 KIMBBAM
normal
이상준 17.02.23.07:22 5282 0 이상준
normal
hhayun 17.02.27.11:07 4301 0 영디비
normal
SunRise 17.03.11.22:46 3828 0 KN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