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듀만콘댐(다중듀서)에 효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예림이아빠
4979 2 64

 요즘 디렘이 아주 핫합니다. 하만 타겟의 99%로 소프트웨어 적으로 튜닝을 해서 화제인데요... 
 영디비를 즐겨 보시는 분들은 다들 아시는 터럭님의 EQ를 보면 OW 기준으로 하만타겟으로 바꿔주는 EQ를 거의 모든 제품에 대해서 cappricio에 올려주십니다. 너무 FM대로 만드시다 보니 12K 이상부분을 10dB까지 올리시는 경우도 있는데요... 저는 다운로드 받아서 12K 이상대역에대해서 조절한 부분은 제외하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12K 이상대역을 크게 손대면 이상하게도 공간감이나 고음부분 디테일이 망가지는 경우가 종종 있더라구요. 
 터럭님께서 올려주신 신형 이어시뮬레이터 기준의 EQ를 12K 이상부분만 살짝 손본후 디락 mk2와 KZ AS10을 비교해보았습니다.  아시는것처럼 디락 mk2는 단일 DD제품이고 KZ AS10은 4종 5개의 BA를 이용한 다중듀서 제품입니다.  OW 표준 EQ를 적용한 후에 청음해보면 비슷한 음색인데 고음부분에서의 디테일에서는 두 제품이 차이가 많이 납니다. 특히 고음부에서는 디락mk2는 좋게 이야기하면 자연스럽고, 나쁘게 이야기하면 뭉쳐서 들립니다. KZ AS10은 좋게 이야기하면 악기의 분리도가 좋고 나쁘게 이야기하면 고음악기 부분이 좀더 날카롭게 들립니다.  디락mk2는 영디비에서 측정된 제품이 아니고 KZ AS10은 영디비에서 측정된 바로 그 제품이다 보니 EQ의 정확도는 아마도 KZ AS10이 살짝 높다고 생각은 됩니다만... 
 FR을 동일하게 맞추었을 경우 완전 밀폐형 제품의 경우 단일 DD와 다중듀서 제품에서 디테일의 차이가 난다고 저는 느끼고 있습니다. 댐퍼가 적용되면 공간감등 다른 요인이 너무 커서 완전 밀폐형만 이야기 하고 싶네요...ㅎㅎ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완전 밀폐형 인이어 이어폰의 경우 FR이 같을경우  
 단일DD와 다중듀서는 사운드 차이가 없다가 1번... 차이가 난다가 2번....

신고공유스크랩
남쪽새 남쪽새님 포함 2명이 추천

댓글 64

댓글 쓰기
profile image 1등
FR이 같으면 같은 제품이죠 ㅎ
02:33
19.05.29.
profile image 2등
착용 편차라는 심각한 변수를 제외하면 아무래도 구분하기 어려울겁니다.
02:37
19.05.29.
백구

백구님도 1번... 그조~~ 착용편차도 크죠.. 같은 팁을 쓰면 좀 비슷해질라나...

02:38
19.05.29.
profile image 3등

FR이 완전히 같을 수가 없기도 하고 FR그래프만으로 해상력이나 디테일까지 모두 알 수는 없다고 보는 쪽이라.. 1번도 아니고 2번도 아닌 애매한 입장인가요?ㅋㅋ 그래도 FR이 '완벽'하게 같다면 같다고 볼 순 있습니다. 
  
그런데 FR이 같아도 결과적으로 헤드폰이나 이어폰의 하우징 구조등에서 사람이 물리적으로 느끼는 사운드 외적인 감각까지 더해져서 조금 다른 소리로 느낄 수 있다고 봅니다. 대표적인게 오픈형 헤드폰에서 차이인데 FR은 오히려 고음이 더 빠지게 나오는 클리어가 FR상으로 더 선명하게 나와야할 HD660S보다 더 선명하고 매끄러웠는데 이게 드라이버와 귀 사이의 거리랑 하우징 등의 물리적 차이 때문인 것 같거든요. 추측일 뿐이긴 합니다만 스피커도 FR로 플랫하다고 하더라도 스피커마다 느껴지는 공간의 차이나 이런것들이 있는걸로 봐서는..

02:48
19.05.29.
KIMBBAM
완전 밀폐형 이어폰도 변수가 적기는 하지만 내부공간 면적 같은 변수가 분명히 있기에 완전히 같다고는 볼 수는 없죠. 사운드의 크기도 똑같이 맞추었다고 하기 힘들어서... 저도 2번인듯 한데... 볼륨 살짝더 올리고 나면 1번인가? 해서 긴가민가하더라구요... 그래서 의견을....
KIMBBAM님도 1번....
02:56
19.05.29.
profile image
예림이아빠
전 확실하지 않다에 걸도록 하겠습니다 ㅎㅎㅎ
05:09
19.05.29.
드라이버 질감도 차이가 있다고하더군요
스무딩된 그래프를 비스무르하게 조절하는거라서 같기는 힘들겠으니
완벽한 비교는 어렵겠지만
하우징질감도있을수있겠고 드라이버질감도있을수있겠고
디락만드신 이박사님도 그래프로 측정이 잘 안되지만
사람은 잘 느낄수있는 부분들이 있다고 하더군요
03:02
19.05.29.
후대장
후대장님은 2번...후언니는 1번? ㅋㅋ
03:20
19.05.29.
일단, 측정장비가 다르면 eq를 동일하게 맞추는게 어렵습니다. 동일한 커플러를 쓴다고 하더라도 b&k, gras같은 업체들의 귓바퀴 모양이 다르고, 이도부분의 설계도 미묘하게 다른부분이 있어서 인이어의 경우에도 100프로 같은결과가 나오지가 않아요. 이걸 eq로 동일하게 맞추는건 매우 어렵습니다.
다중듀서와 단일듀서간에는 fr이 동일하게나오는경우 다른 물적 특성이 같다는 전제 하에서, 표준적인 설계를 지킨 인이어에서의 위상차이는 구분하기어려우므로 소리차이를 느끼기 어렵다고 봅니다. 의도적으로 위상을 왜곡시켜서 공간감 비슷한걸 얻어내는 시도를 하는 이어폰도 있었던것 같습니다만, 기본적으로는 이렇다고 생각합니다.
dd와 ba같이 물성이 근본적으로 다른 경우에는 fr이 동일하다고 하더라도 차이가 있고요. 저는 고음은 ba, 저음은 dd쪽 소리가 마음에들더라고요. dd쪽이 저음쪽에 잔향이 조금 있는 편이라 약간 더 자연스러웠습니다. 익숙한 소리라해야하나.. 이런점때문에 저음 유닛을 dd를 쓰는 하이브리드 유닛이 나오고있다고봅니다. 정전형과 dd의 경우에도 바로 그 차이가 나타나더군요. 반응특성 자체가 달라서 정전형의 고음표현은 독보적이더라고요.
03:13
19.05.29.
예림이아빠
일단 드라이버 재질 자체가 다르기때문에 2번이 맞다고 봅니다. 측정해보면 dd와 ba간 물성차이로 잔향특성같은게 꽤 차이나거든요. 응답속도가 달라서 몇곡 들어보면 비교적 쉽게 알아차리겠더라고요. 요즘 dd가 강성이 많이 좋아졌다고는 하지만 ba만큼 좋지는 않아서요.
순수하게 ba 이어폰간 차이를 논한다면 저는 1번으로 갑니다.
03:26
19.05.29.
nalsse
듀만콘뎀은 보통 하이브리드나 멀티 BA를 말하는 것이니 2번 고르신것 같은데... 흑백논리... 둘중하나...ㅋㅋ
03:29
19.05.29.
예림이아빠
저 조건이라면 2번!요
03:31
19.05.29.
profile image

eq질을 별로 안좋아하지만 개인적으로 느낀건 소리를 안내는 것과 못내는 것은 다르다는 겁니다. 
소프트웨어적으로 아무리 컨트롤 하려고 해도 리시버의 기본 피지컬? 잠재력?이 따라주지 않으면 한계가 있더라구요. 
DD와 BA의 차이 뿐 아니라 같은 DD나 BA끼리도 어떤 재질이냐, 구경이냐에 따라 소리가 달라진다고 생각합니다! 

03:29
19.05.29.
profile image
예림이아빠
넵 2번이요! FR을 100% 일치시킨다고 해도 여러 측정 가능한 변수들이 다르다면 완벽히 같은 소리를 내주질 않을것 같아요 ㅎㅎ
06:37
19.05.29.
profile image
Eusraea
그건 EQ로 FR을 얼마나 비슷하게 맞출 수 있는가의 문제인 듯합니다.
EQ를 더한 후 측정 - 최종 고막에 닿는 소리 - FR이 같다면, 느낌 차이가 미미할 걸요? 다른 측정 항목들이 조금 다르다 해도...
06:53
19.05.29.
profile image

2번요.

저는 FR이 사운드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고 봅니다만, 그게 전부는 아니라고 봅니다.

THD나 위상왜곡, CSD를 통한 잔향등이 그 변수라고 보지요. 그런 변수들이 의미가 없었다면 측정할 팔요조차 없겠지요. FR 이외의 변수를 긁어모았을때 일반 청자가 분간 가능한 유의미한 차이를 만들수 있는가? 라고 물으면 대답은 YES라고 봅니다.

저는 일단 FR에서 나오지 않는 CSD의 잔향의 영향만으로도 분간 가능한 차이가 생긴다고 보구요.

그 외에도 다중듀서는 위상왜곡 문제 때문에 이신렬 박사님한테 까인 인터뷰도 있는데, EQ를 먹이면 FR은 나아지지만 위상왜곡 문제가 추가된다는데, 그걸 감안하면 충분히 유의미한 음질 차이가 있었을수 있다고 봅니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tudio51bank&logNo=220879688021&categoryNo=12&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kr%2F

03:40
19.05.29.
profile image

음... 저는 1번 쪽으로 기우뚱~~ ㅎㅎㅎ
예림이 아빠님의 이도 모양에 따라 이어 시뮬레이터를 만들어 FR을 측정하면 착용 편차에 의한 음색 변화가 더 적겠죠. EQ 조절을 서로 같다고 할 만한 수준 (1 dB 이내 쯤!?)으로 조절한다면 차이를 느끼기 힘들 겁니다.   
신형 이어 시뮬레이터에서 측정한 여러 헤드폰끼리 비교하면, 삽입 깊이 차이 등에 의한 영향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울 겁니다...
 ... 아마!!??   ^^;;;

03:57
19.05.29.
터럭
터럭님은 예상대로 1번...ㅎㅎ
이어폰이 팁이나 삽입정도에 따라 휙휙 사운드가 달라지니 완벽하게 FR을 맞추기는 어렵겠죠...우문이니 현답을 하시면되요.
04:01
19.05.29.
profile image
예림이아빠

저는 아마도 통계 내 - 흔한 일반인인 듯... ㅋㅋㅋ  
 물론 저도 EQ로 음색을 맞춘 여러 제품간에 느낌같은 느낌 차이가 있긴 합니다만..
  

FR_Diff_Detection.jpg

  
 

04:05
19.05.29.
터럭
모에요... 1번 2번 둘중 하나 골라야 해요... 트와이스의 yes or yes가 아니라... yes or no....
터럭님 귀에는 본인이 만든 EQ를 걸어 완전 밀폐형 인이어 이어폰을 들어봤을때... 단일 DD와 다중 듀서 이어폰의 사운드가 차이가 난다 안난다?
04:12
19.05.29.
profile image
예림이아빠

저는 역시 1번 쪽...
폼팁 끼운 3BA짜리 EDC3와
번들 실리콘 팁의 1DD 크레센트 (Crescent)로 비교..해 봐도.. 
 오히려 실리콘 팁의 크레센트 음색이 더 명료한 느낌입니다. ㅎㅎㅎ

04:24
19.05.29.
profile image
FR뿐만 아니라 sr이나 csd 등의 다른 특성들도 고려해보아야 할 것 같아서.. 저는 2번. 그런데 청감상 그걸 잘 구별할 수 있을 것 같진 않네요.

개인적으로 다중 듀서 제품들을 몇개 써보고 썩 좋아하진 않지만..
04:17
19.05.29.
profile image

소리만으로 저는 구별 못할듯. 근데 이어폰이나 헤드폰은 착용감(편리성)이란 변수가 주는 체감이 너무나 큽니다.

04:23
19.05.29.
완벽하게 같게 만든다 쳐도 2번요ㅎㅎ
정확히는 표본에 따라 구분이 어려울 정도로 차이가 없는 경우도 있고 아닌 경우도 있을 것 같네요.
04:50
19.05.29.
profile image
여담으로 KZ 쪽 물건은 퀄리티 컨트롤이 좋기 힘든 가격이라서.... 제품 편차라는 변수도 있습니다
04:56
19.05.29.
청염
너무 선입견 갖지는 마세요... 지금 영디비에 올라와 있는 KZ AS10은 알리에서 최저가로 43불에 구매한겁니다. A급 양품 이런거 아니에요. ^^;
05:19
19.05.29.
profile image
예림이아빠
음.... 저는 선입견을 가질수 밖에 없네요(....)

KZ의 경우엔 드라이버 스펙이 가격에 비해서 너무나도 저렴한 브랜드거든요.
그런데 그러면 제일 먼저 희생되는 부문이 QC가 될수밖에 없습니다.

아무리 양품 측정치가 몇개 풀려도 그건 뽑기가 운 좋으면 측정치 좋을수 있는 것인 반면,

예전 정모에서 웨이블릿 사장님 말을 들어도, 같은 드라이버를 써도 단가차이 10배는 날수 있는데, 이런거 제품 10개 쯤 조사해보면 단가 많이 넣고 만드는건지 아닌지를 바로 알지만 1개만 뜯으면 알수가 없다고 말씀하시다보니 더더욱 그럴수밖에 없네요.

QC를 잘 할려면 아무래도 사람을 갈아넣어야하다보니까, 인건비가 깨질걸 감안해야한다고 보거든요. 불량으로 날라가는 물건들의 단가들도 계산해야하구요.
14:58
19.05.29.
profile image

댓글들 쭉 읽어보니, 전 역시 모르겠습니다. ㅋㅋㅋ

05:11
19.05.29.
KIMBBAM

중간은 않되요... 낙장불입... ㅋㅋ 
원래 듀만콘댐이 "듀서가 많으면 콘서트홀이 된다" 라는 다중 듀서 옹호자를 비웃기 위해서 만든 용어잖아요... 
저도 단일 듀서가 훌륭하면 충분히 좋은 소리를 낸다고 생각하지만 그건 헤드폰 이야기지... 8밀리 내외의 DD에서 완전 밀폐형으로 사운드를 만들어 내는 DD와 다중듀서를 이용한 완전 밀폐형 어느게 나을지 의견을 물은것 뿐이에요... 너무 이론으로 치우치지 말고... 귀로.... 

05:20
19.05.29.
profile image

그제 측정된 ER2라인이 DD이니까, ER4라인 (1BA)도 신형 이어 시뮬레이터 측정치로 업데이트되면, 비교해 보는게 어떨지.. 
 착용감도 3단팁으로 일관된 면이 있고, FR Raw data도 둘 다 상당히 매끄럽기에 EQ에 더 잘 반응할테니까요..

05:22
19.05.29.
터럭
음... ER4는 단일 듀서잖아요... 전 다중듀서..(듀만콘댐)에 한해서....ㅋㅋ
05:25
19.05.29.
profile image
예림이아빠
오히려 다중 듀서에서 Raw data가 깨끗한 넘이 드문 듯해서... ㅋㅋㅋㅋㅋ
05:29
19.05.29.
터럭
맞아요... 다중이던 DD, BA 상관없이 FR RAW가 이쁘게 생기면 사운드도 이쁘더라구요. 다중듀서 제품중 RAW가 이쁜게 있기는 있는지...ㅎㅎ 정밀하게 EQ처리 못하는것도 역할을 좀 하는듯 하네요.
08:46
19.05.29.
profile image
이어폰은 최소위상입니다.
05:29
19.05.29.
profile image

개인적으로 궁금한 주제라 제가 가능한 선에서 최대한 비슷한 환경으로 비교한 게 디락플러스mk2와 ier m7을 카프리치오의 터럭님의 eq를 이용하여 출력기기는 아이패드를 통해서 테스트를 최근에도 했었는데요. 
물론 이러한 환경을 갖추었다고 하더라도 두 제품의 FR을 완벽하게 일치시키지는 못하겠고 착용에 의한 오차 등등도 있겠지만 개인적인 결론으로 말하자면 디테일적 차이가 있었습니다. 
디락플러스mk2에 비해서 m7에서 표현되는 저음의 울림통이 더 컸으며 디락플러스mk2는 고음부가 m7에 비해서 뭉쳐서 들리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이런저런 이유로 저는 디락플러스를 들을 때마다 경질된 느낌을 버릴 수가 없습니다.
이 차이를 미세한 FR의 차이로 느끼기에는 제가 그런 오차를 감지할 수준의 황금 귀가 아닐뿐더러 최근 리시버들의 출력에 따른 소리 변화를 테스트할 때 느끼던 기기의 출력에 따른 FR변화로 인한 소리의 변화와가 아닌 그 외적인 소리의 변화와 흡사한 경향이 있더군요. 
 
덤으로 무조건은 아니지만 테스트해본 이어폰들의 경향으로 볼 때는 다중 듀서와 BA 이어폰들이 출력에 따른 디테일 차이가 크더군요. 
대체로 2Vrms 수준이 만족스럽고 4Vrms 이상의 출력이 유의미한 경우도 있더군요.

14:17
19.05.29.
profile image
예림이아빠
이 끝없을 논쟁에 대한 제 입장은 2번이네요.ㅎ
14:28
19.05.29.
profile image

저는 2번이라고 봅니다. 예림이아빠님이 생각하시는거랑 비슷할거에요, 이유는.

14:27
19.05.29.
Elen

헌데 볼륨을 살짝 올리면 뭉친게 풀어지는듯한 느낌도 들어요... 애매모한... 디락 드라이버가 나쁘진 않은듯... 아무래도 근래 나온것중에는 상급으로 평가되니... DD보다는 BA느낌이 강해서... 디렘은 어떨라나... 궁금해지니...쩝...

14:30
19.05.29.
profile image
예림이아빠
디락...을 기존 DD라고 생각하기 힘들만큼 좀 이질감이 느껴지는 소리죠. 아마 디렘 들어보면 확실히 이유 알수도 있을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덕트 유무에 따른 차이때문에 더 이질감 느껴질수도 있고..
14:42
19.05.29.
Elen
덕트라고 보기는 힘들듯... 그냥 낄때 이압빼는거 아니에요? 덕트는 드라이버 근처에 있어야지... 그냥 이압 해치용 홀 정도로 보는게 맞을듯...
14:44
19.05.29.
profile image
예림이아빠
이압 해소용이라고 정확히 말씀하신게 있긴 하지만 소리랑 관련이 하나도 없을지는 몰라서 조심스레 말해봤습니다 ㅎㅎ 워낙 소리에 미치는 영향이 많으니까 말이죠. 부품을 떠나서 귀를 얼마나 막냐, 얼마나 깊숙히 착용하냐도 소리가 달라지니까요 ㄷㄷ
14:46
19.05.29.
예림이아빠
보통 dd는 덕트로 저음컨트롤 할껄요. 근데 디락은 dd타입인데 덕트가 없으니... 좀 묘하게 들리는것 아닐까 싶구요. 디렘을 들어봐야 아실듯? ㅎㅎ
23:24
19.05.29.
12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최종 글
5월 활동 이벤트 상품 안내! 32 영디비 24.05.16.16:29 1237 +13 첫째부활
image
정우철 21.06.07.16:06 1693 +9 nalsse
질문
image
보마 24.05.18.23:52 120 +7 보마
질문
normal
오공공오오우너 3일 전12:33 101 +6 purplemountain
질문
normal
베르캄규 24.05.06.17:18 146 +6 Magnesium
image
굳지 23.06.25.11:42 149 +6 굳지
질문
normal
라온소리 5일 전11:34 190 +5 eoeoe
질문
image
-towhgdk 24.05.06.01:52 94 +5 캡스33
질문
normal
JT 24.03.23.16:19 196 +5 SunRise
normal
알린 22.03.31.00:18 5121 +5 윤석빈
normal
지나가는엑스트라1 20.10.08.00:42 1459 +5 지나가는엑스트라1
normal
굿바이어 20.07.05.15:59 1245 +5 윤석빈
normal
NNA 17.10.24.19:17 262123 +5 Bigboy
질문
normal
베르캄규 2일 전11:31 79 +4 베르캄규
질문
normal
wiju 24.05.23.11:43 100 +4 오마이걸
질문
normal
똥코스믹 24.04.22.14:53 142 +4 똥코스믹
질문
normal
뮤직마니아 24.04.17.13:17 148 +4 뮤직마니아
질문
normal
카스타드 24.03.25.01:15 310 +4 카스타드
질문
normal
YourBeyerdynamic 23.12.10.17:44 298 +4 YourBeyerdynamic
normal
뮤직마니아 23.08.27.16:18 125 +4 녹차맛
normal
트리거왕 23.04.19.03:30 588 +4 JNK
image
트리거왕 22.10.26.23:03 1809 +4 imfinzi
normal
-카카오 22.08.22.01:11 2433 +4 알린
image
뉴비 22.05.27.10:08 1988 +4 Gprofile
image
청년이여 21.08.14.12:18 2722 +4 청년이여
normal
알린 21.07.20.08:24 2393 +4 Magnesium
normal
Makk 20.10.03.13:57 2133 +4 Makk
image
박펭 20.04.03.12:24 9661 +4 dekalogs
normal
양동혁 19.10.03.01:28 1249 +4 양동혁
image
불량 19.02.10.17:38 3197 +4 불량
normal
커둔 18.07.18.17:34 3721 +4 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