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음향

HD560 괜찮을 것 같습니다.

nalsse
7951 5 29

https://diyaudioheaven.wordpress.com/headphones/measurements/brands-s-se/hd-560s/ 
  
요기 글을 좀 봤는데요, 일단 눈에 띄는점이, 
  
 

hd560s-driver.jpg

 
 유닛에 각도가 들어간게 일단 마음에 들고, 중요한 점은 드라이버 후면입니다.   
 
 하얀거 보이시죠? 제진효과가 있는 물질로 추정됩니다. hd600/650시리즈에서 다이나멧 모드가 해주는 부분을 저 물질이 해주고있습니다. 저게 hd600/650에는 안발라져있고 플라스틱으로만 결착이 되어있는데, 이 단순플라스틱 결착구조가 음량을 올렸을때 나타나는 200hz이하의 뿌연 느낌의 주범 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hd600/650제품에 진동칩을 붙인다던지, 다이나멧 활용해서 유닛 고정을 빡세게 해준다던지 하면 저음역의 뿌연 느낌이 없어지게 되지요. 순정hd600/650 제품의 이 문제가 측정치로는 thd특성이 200hz이하에서 급증하는 모습으로 나타납니다.  
  
 저렇게 개선한 결과, 560s에서는,
 

dist-r-90-percent.png

 
 200hz 이하대역의 thd 특성이 아주 아주 아주 깔끔해졌습니다. 이 제품에서는 이제 음량을 올려도 극저역에 뿌연 느낌이 없다는 것이죠. 아주 큰 개선사항입니다. 드라이버는 58x에 쓴 것을 공유하고 있는 듯 보입니다. 600시리즈 제품들에 들어간 드라이버의 고음역대 특성이 훨씬 좋긴 해서, 중역대 표현이 아주 중요하신 분들은 여전히 hd600라인이 이 제품들보다 취향에 맞으실 겁니다. 다만, 다이나멧같은 제진 악세사리를 적절히 활용하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주파수 응답특성의 측면에서는 좋은점도 있고 나쁜점도 있습니다. 
 

hd560s-vs-hd650.png

 빨간색이 560s, 파란색이 650입니다.

 
 560s는 제 귀에는 좀 쏠 것 같네요ㅠㅠ 극저역은 미묘하게 더 나오고있는데, 650사용중이신 분들은 저정도 극저역 확장은 크게 체감되지는 않을것입니다. 다만, 200hz대역이 2db가 줄어들어있는데, 이 부분은 청감상 아주 좋게 다가올 것이라 예상합니다. 560s가 현재 제가 개조한 6xx와 응답특성이 아주 유사한데, 고생없이 꽤 근사한 소리를 얻을 수 있는 제품입니다. 밸런스는 고음에 약간 치우쳐 있는 제품이고, 중가 미만의 밸런스형 제품들의 입지가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저거 소리 아주 깔끔하게 잘나올거에요.   
 
 저대로는 극저역의 음압이 조금 부족해서 극저역의 댐핑감타격감이 좀 아쉬울텐데, 이 제품의 경우, 
 

120-ohm-5-6db.png 
 120옴의 임피던스 어댑터를 덧대주는 것만으로 극저역의 댐핑감타격감을 살릴 수 있습니다. 저 차이가 엄청 큽니다. 임피던스 어댑터가 부흥하겠네요. 이 상태는 개조6xx와 5~8khz대역의 표현을 빼고는 거의 같게됩니다.  
  
 저 대역대는, 
 

hd560s-filtered.png

hd560-filter-schematic-3.png

이 어댑터 하나 만들어 붙이면 해결이 된다고 합니다. 
  
 이 어댑터 만들때 소스쪽에 120옴 임피던스를 직렬로 추가해주면 제 취향에는 100%부합하는 소리가 나올 것 같습니다. 데바를 사질 말고 이거사서 개조했어야 하나 하는 생각이 드는 순간입니다. (30옴 미만의 출력임피던스 소스에 붙이라고되어있네요)
  
 비 가역적인 mod가 아니라, 단순히 어댑터 하나 만들어서 붙이기만하면 근사한 소리가 나올것 같은 제품이니 한번 도전들 해보셔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결론: 이 어댑터 탐나는데, 좋은 제품이니 영디비샾 입점 후 공제어댑터 같이 팔아주시면 좋겠어요ㅎㅎ 
 

신고공유스크랩
-주홍물방울 -주홍물방울님 포함 5명이 추천

댓글 29

댓글 쓰기
profile image 1등
https://www.0db.co.kr/REVIEW_0DB/211526

THD수치가 660s보다 우수하다는 뜻인가요?
hd5라인은 어떻게든 6 시리즈보다 하급의 소리를 내주려고 노력해서 선뜻 손이 가지 않는 문제가 있어요. 손이 가려면 손을 봐줘야하는?ㅋㅋ
12:09
20.09.25.
nalsse 작성자
SunRise

저런 자작 장비에서의 thd는 같은장비의 것을 비교해야 그나마 신뢰도가 생기는데,

 

hd660s-dist.png

660s는 이래요. 560s와 1k 이하가 비슷한 수준으로 측정되었는데, 660s의 경우 완전히 다른 드라이버와 결합구조를 사용하면서 600/650에 존재하던 저음역대 문제가 해결된 것 같습니다. 저음역대 품질은 비슷할 듯 해요.
   
560이 열화된 부분은, 본문에 써 두었다시피 560s는 4~10k까지가 지나치게 올라간 문제가 있습니다. 제 귀에서는 아주 쏠거에요ㅎㅎ 
 diyaudioheaven에서 공개한 회로도 참조해서 어댑터만들어 붙이면 간단하게 해결되니 아주 혹할만한 제품입니다. 간만에 아주 기대해 볼만한 제품이 나와준 듯요. 선발대분들의 소감이 시급합니다. 
  
 제 개조6xx도 8khz가 좀 솟아있는 문제가 있어서 난감해하고 있었는데, 저 어댑터 한번 만들어봐야겠습니다.

12:17
20.09.25.
profile image
nalsse
청음샵 입고알림 해놔야겠군요 ㅋㅋ
어댑터 자작이 힘든게 아쉽긴 해도 대략적인 성향은 들어볼 수 있으니까요.
13:06
20.09.25.
nalsse 작성자
SunRise

저런식으로 제품이 나와버리니 개조한게 좀 허무합니다ㅋㅋㅋㅋ 
 
측정치 상으로는 미묘한 차이로 보이지만 달라진 부분이 상당히 중요한 대역들이라, 기존 젠하이저와는 인상이 확! 다르게 느껴지실거에요. 필청!

13:08
20.09.25.
profile image
nalsse
그래도 개인제작자 mod 성능이 더 좋긴 해요. 측정기기 단가 차이가 나서 글치..
13:14
20.09.25.
2등

사운드 레퍼런스는 이름만 봐도 알 수 있듯이 660s 라는데 
660과의 비교는 개인적으로 어떤 느낌이신가요??

12:34
20.09.25.
nalsse 작성자
고도리

560을 들어보지를 못해서 660과 비교하기는 좀 어렵습니다만, 660과 기존 600/650의 차이는, 660 제품이 1~10khz대역을 기존600/650보다 낮게 가져가면서 상대적으로 저음이 부각되게 들립니다. 요즘 음원들이3~4khz대역을 강조하는게 유행인 듯 한데, 이런 유행과 잘 맞아떨어지는 사운드라 생각합니다. 극저역은 660도 기존 시리즈처럼 여전히 부족한 편이고요. 660은 요즘 유행에 잘 부합하는 영리한 사운드 튜닝이고, 100hz이하가 중요한 포인트가 아니라면 560보다는 660쪽이 훨씬 만족감이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타격감이 중요한 팝음악같은 음원은 560이 훨씬 나을것이고, 전 대역의 고른 표현이 중요한 장르에서는 기존 600계열이 좋을겁니다.
560은 청감상 쉽게 느낄 수 있을 정도로 모자란 부분이 있기 때문에 5시리즈로 출시되었다고 보고있습니다. 측정에서 나타나는 5~8khz대역이 상당히 부담스러울 수 있을거라고 생각하고, 레퍼런스로는 극저역이 덜 나오지만 600시리즈가 더 좋지 싶습니다.

이 제품은 입문하시는 분들 중 밸런스가 비교적 잘 만들어진, 적절한 가격의 제품이 필요하신 분들에게 좋은 제품이라 생각합니다.

13:01
20.09.25.
profile image
nalsse
댐핑감이라는 용어의 쓰임에 관해 이의를 제기합니다(소근)
19:48
20.09.25.
nalsse 작성자
정우철

(소근)적절한 단어 제시를! 타격감이라고 표현하면 명확하려나요ㅎㅎ 
 -> 타격감으로 일괄 수정하였습니다. 용어 중요하죠.

20:36
20.09.25.
profile image
nalsse

앰프가 다이어프램 와리가리를 얼마나 잘 제동할 수 있느냐를 계량하는 댐핑팩터라는 지표가 있는데,
실제로 양감이 느껴질 정도의 일정이하 주파수의 소리는 댐핑팩터가 높은 조합일수록 더 땡땡하고 명확한 톤으로 우리가 인지하게 되죠
그로부터 파생되어 널리 쓰이게 된 조어일 것으로 이해하면 적절할 것 같습니다
심지어 첫 음절의 첫 음소인 ㄷ에 힘을 줘서 "땜핑이 어찌고저찌고"식으로 말하면 의성어마냥 생동감있는 표현이 되기까지 하구요
충격감, 타격감, 정도가 온전하지는 않지만 그나마 마땅한 대체어로 합의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3:42
20.09.25.
nalsse 작성자
정우철
안그래도 댓글보고 아차싶었습니다. 용어는 정확하게 써야죠. 지적 감사합니다ㅎㅎ
23:46
20.09.25.
profile image 3등

hd600사용중인데 저거 사서 mod를 해볼까요 아니면 지금 hd600손을 좀 볼까요...?

13:11
20.09.25.
profile image
풍악을울려라!
hd600에 dt880 어떠신가요
13:13
20.09.25.
profile image
SunRise
그거도 탐나더군요ㅎㅎ 선 길이 때문에 그냥 dt880은 좀 그렇고... dt880 pro로 사야 할 듯 싶은데....요건 밸런스드 사용 되나요?
13:15
20.09.25.
profile image
풍악을울려라!
dt880은 고정형 케이블입니다. pro는 모르겠네요. pro모델이 코일형에 측압이 셉니다.
13:39
20.09.25.
nalsse 작성자
풍악을울려라!

hd600 mod가 비 가역적인 방법이라, 자신있게 권해드리지는 못하겠습니다. hd600의 경우 그대로의 소리를 좋아하시는 분들도 계시고요. 음량 올렸을때의 저음역대 뿌연 느낌은 진동칩이나 다이나멧같은 제진물질을 발라주시면 쉽게 개선이 됩니다. 저 사진 보니까 저 위치에 제진물질을 발라주면 상당히 효과가 좋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부틸고무"같은 재질이 효과가 좋아요.

추천은 저거 출시된 후 청음샾에서 청음해보시는 쪽을.. 소리가 대강 마음에 드시면 어댑터 자작해서 붙이는 것만으로 현재 사용중이신 hd600베이스에 타격감이 약간이나마 붙은 소리를 즐길 수 있을것 같습니다.
560s처럼 200hz~50hz까지 저런식의 기울기로 저음이 강조되는 제품이 제 취향이더라고요. 20hz까지 쭉 올라가는 것보다는 약간 빠져주는편이 좋았고요. 미묘한 차이인데 고막을 때려주는 타격감 차이가 상당합니다.

13:20
20.09.25.
profile image
nalsse
근데 다이나멧 잘못 바르면 다른 영역도 달라지나요 아니면 막 발라도 딱히 상관은 없나요?
13:48
20.09.25.
nalsse 작성자
풍악을울려라!
다이나멧은 주파수응답특성과는 관계없어요. 600시리즈의 하우징 진동을 잡아서 저음역대 선명도를 높이는 목적입니다. 다만, 드라이버 후면 댐핑을 스폰지로 하고있는데, 이 스폰지의 위치와 다이나멧이 위치해야 하는 부분이 겹쳐지는게 문제입니다. 스폰지가 기본상태보다 조금(1mm)이라도 더 눌리게되면 소리가 변해버리거든요. 스폰지만 안 건드린다면 막 발라도 상관없습니다. 유닛 후면 자석부분과 하우징을 다이나멧으로 이어주는게 핵심인데 스폰지가 문제되니 걸쇠부분, 유닛 기둥부분같은곳에 최대한 작업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부틸고무에 알루미늄같은걸 붙인 카오디오용 제진제면 뭘 사용하셔도 효과는 비슷할 듯요.

600의 오리지널리티라는게 있으니 저거 나오면 일단 시청을 해보셔요.
14:09
20.09.25.
profile image
nalsse
답변 감사합니다 ㅎㅎ 말씀하신대로 저거 나오면 한번 들어봐야겠어요
어뎁터를 어딘가에서 전용으로 정발해주면 참 좋을 거 같네요....청음샵에도 비치가 되어있고 막 그러면...
14:13
20.09.25.
nalsse 작성자
풍악을울려라!
저 어댑터가 미니사이즈로 공제되서 나오면 바로 구매할 것 같습니다. 저 회로를 그대로 쓰는건 찝찝하니, 극저음이 좀 더 나와줄 수 있게, 100옴정도 직렬저항이 추가되는 형태로 회로를 다시 설계해서 판매하면 스테디셀러가 될 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560에 붙여파는 세트상품으로 딱이죠.
14:23
20.09.25.
profile image

날쎄님 해박한 지식에 감탄하고 갑니다! 
hd600 버리고 다른거 가볼까봐요.. 650이든 660이든 560이든..

13:45
20.09.25.
nalsse 작성자
백운
많이 지출하실 생각이 없으시다면 560에 저 어댑터 만들어서 붙이시면 주파수응답측면에서는 현재의 600보다 만족하시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보컬대역이 음감에 아주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면 600 계속 쓰시는게 좋을것같고요.
14:02
20.09.25.
profile image

HD560 드라이버는 왠지 PX200 것과 비슷한 느낌이네요.
투명 프레임에 마그넷은 좀 더 크긴 한데...

그런데, HD650 드라이버 뒷면 스폰지 제거된 사진 보니 완전 허접하네요.
이럴수가... ㅠ.ㅠ 아, 뒷목이야...
저는 제진재보단 그냥 단단한 걸 꾹 끼워넣어볼까 생각 중입니다.

15:18
20.09.25.
nalsse 작성자
alpine-snow
허접해 보여도 소리만 잘나오면!

제진이야 어떤방식으로든 불필요한 진동만 잡아주면 되지않을까요ㅎㅎ
16:05
20.09.25.
profile image
nalsse
오테 W100이 제진구조가 안 되어있지만 육중한 드라이버 프레임빨로 뭉개고 가는 것에 비하면 HD600/650은 아무래도 아쉬워 보이네요.

그래도 HD650은 분해 재조립이 간편한 폰이라서 다행입니다. 생각만 했었는데, 하우징 안쪽 평평한 부위에는 부틸을 살짝씩 붙여야겠어요. 전체적으로 플라스틱 울림이 좀 느껴져서...
19:26
20.09.25.
nalsse 작성자
alpine-snow
대신 경량이라는 장점이 있죠!ㅎㅎ
위에 560s처럼 유닛고정 걸쇠부분 좀 붙여주시고, 유닛 I자 기둥에는 부틸 넉넉하게 붙이신 다음에 50원짜리 동전같은거 추가로 붙여주시면 효과 좀 보시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19:44
20.09.25.
profile image
nalsse
생각해보니 하드한 재질로 보강하기엔 뒤쪽 구조물 자체가 그리 강체도 아니고 아주 견고하게 붙어있는 것도 아니네요. 고놈이 강체라면 효과가 좋을거 같은데, 그건 아닐 듯...
역시, 말씀하신대로 부틸이 무난할 것 같습니다. ㅠ.ㅜㅋ;;
19:48
20.09.25.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월 활동 이벤트 상품 안내! 32 영디비 24.05.16.16:29 1230 +13
잡담
image
플랫러버 38분 전13:51 48 +9
잡담
image
오마이걸 1시간 전13:28 17 +3
잡담
normal
쏘핫 2시간 전12:01 125 +5
잡담
image
Magnesium 3시간 전10:52 129 +8
잡담
image
숙지니 4시간 전10:12 50 +7
잡담
image
COCT 5시간 전08:32 75 +5
잡담
normal
FADELART 6시간 전08:03 66 +6
잡담
image
COCT 6시간 전07:53 87 +5
잡담
image
COCT 6시간 전07:35 58 +3
음향
image
SBLIFE 7시간 전07:28 67 +7
뉴스
image
Gprofile 11시간 전03:10 75 +7
잡담
image
Gprofile 12시간 전02:00 48 +8
잡담
normal
DECALPHA 12시간 전01:52 85 +5
잡담
image
-towhgdk 12시간 전01:49 72 +6
잡담
normal
종결포기합니다 12시간 전01:41 66 +8
잡담
image
더블유 14시간 전00:21 95 +7
잡담
image
오마이걸 14시간 전00:06 96 +9
잡담
normal
kalstein 14시간 전00:05 110 +7
잡담
image
쏘핫 15시간 전23:20 298 +11
잡담
image
eoeoe 15시간 전23:12 75 +11
잡담
normal
벤치프레스좋아함 15시간 전23:10 90 +10
잡담
image
오마이걸 15시간 전22:41 71 +7
잡담
image
호루겔 15시간 전22:39 88 +8
잡담
image
로우파이맨최노인 16시간 전22:28 141 +13
잡담
normal
purplemountain 16시간 전21:33 85 +7
잡담
image
벤치프레스좋아함 17시간 전21:05 113 +12
잡담
normal
iHSYi 19시간 전19:23 191 +8
잡담
image
플랫러버 19시간 전19:21 77 +13
잡담
image
iHSYi 19시간 전18:55 134 +6
잡담
image
숙지니 20시간 전18:06 77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