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잡담

e3c 는 국내공장에서 만듭니다.

nalsse
5447 7 33

 
안녕하세요, nalsse입니다. 
  
 
저번 리뷰에서 하나 빼먹은 부분이 있었어요.
 
저번리뷰 링크는 
http:// https://www.0db.co.kr/REVIEW_USER/2138301 
요기.
  
기존 e3는 중국공장 제조였는데, e3c 부터는 부품 가져와서 국내 공장에서 조립, 검수, 패키징을 하는것으로 변경되었습니다. 
  
덕분에 좀 더 빡센(?) 제조공차 QC가 가능해졌고, 그 결과 불량 판정기준인 전대역 +-2dB 편차보다 훨씬 낮은, +-0.5dB 미만의 제조공차로 생산이 되고 있습니다. 
  
시제품은 골든 샘플 골라낸 것(양산버전과는 튜닝이 조금 다릅니다)을 받아보았었는데, 그 제품의 제조편차는 이렇습니다. 

mod2.jpg

전체적으로 아주 잘 맞지만, 500hz 대역의 편차가 1db정도 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런게 제조편차인데, 이 샘플을 받아본 이후에 편차를 더욱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찾아서 바로 적용하였다고 합니다. 판매를 위해 양산된 것 중 랜덤하게 1개 추가로 받아본 제품의 측정데이터는 아래와 같습니다.

   
 

샘플3 편차체크.jpg 
 최대한 삽입깊이를 동일하게 맞춰두고 측정한 데이터입니다. 15k이상에서 살짝 차이나는 부분은 유닛의 삽입각도가 약간 틀어져서 그런것입니다. 골든 샘플이 아니라, 양산라인에서 생산된 것이 랜덤하게 나온것인데도 +-0.2dB 이내의 좌우편차를 보입니다. 이것만 잘 뽑아졌을 수도 있는것이라, 헤스커비 님께서 올려주신(다른 양산품) 연구소 측정데이터도 같이 봤는데, 
  
 

hes_fr.jpg

 (출처: https://www.0db.co.kr/index.php?mid=REVIEW_USER&category=1817388&document_srl=2161273 ) 
  

이렇습니다. 8khz근처 보시면 피크위치가 조금 다른데, 삽입깊이가 미세하게 달라서 그렇습니다. 미세하게 다른  삽입깊이때문에 6khz이상의 편차가 발생한 것이고, 그 아래 대역 참고하면 이 샘플 역시 전대역 +-0.2dB 이내의 좌/우 편차를 보이는 샘플이라는 결론이 나옵니다. 삽입깊이 차이가 나기때문에 3khz이상에서 제 샘플과는 양감 차이가 나는것으로 읽히기 쉽습니다만, 헤스커비 님의 데이터와 제 데이터가 1khz이하에서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타겟 기준으로도 제가 가진 양산품과는 편차가 거의 없음을 유추해볼 수 있습니다. 넉넉하게 잡아보면 전제품이 타겟기준 +-1dB정도의 편차로 생산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디렘프로 제품군에서는 공정마다 측정하며 수정하는 방법으로 타겟 기준 편차를 보장하고 있습니다만, 이 제품의 경우에는 각 부품의 공차와 조립공차를 최대한 줄이는 방법으로 특별히 타겟기준 추가보정을 하지 않더라도 목표타겟과 거의 같은 소리로 생산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10만원도 안하는 제품에는 좀 과한셈인데, 소니캐스트가 이정도의 각오로 신뢰 회복에 임하고 있음을 알아주십사..  
  
 
e3는 보급기 라인이라, 현재의 잘 완성된 하우징을 전면적으로 바꾸기는 어렵고, 차후에 고급기가 나오게 된다면 그 모델부터는 다른디자인 뽑아보자고 적극 건의 드려보겠습니다. 칼스테인님과 아이들톡 님의 의견이 일리가 있더라고요. 공돌이 감성에는 잘 안보이던부분이라ㅎㅎ  
 
새로 만드는 고급기는 디자인 다르게, 충분히 비싸게, 충분한 필드테스트 후 발매가 되도록. 
  
  
 
들으면 아프지만 합리적인 비판은 받아들일 수 있어야 더 큰 발전이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뼈가되고 살이되는 조언 부탁드립니다. 의견은 보이는대로 잘 전달드릴게요.
  
 
 
다들 즐거운 주말입니다! 
 
  
 
끝.

신고공유스크랩
박지훈 박지훈님 포함 7명이 추천

댓글 33

댓글 쓰기
profile image 1등

우주의 기운을 받은 자동페어매칭 ㄷㄷ

20:28
21.12.05.
nalsse 작성자
트리거왕
골든샘플이 10대중에 2대 골라낸 것이었는데 양산품이 더 적은 공차를 보이는 것을 보고 좀 놀랐었습니다. 제대로 국내에서 관리하니 소니캐스트의 제조력도 많이 높아진 것 같습니다. 자체 공장이 없는 약점이 많이 커버되었달까요. 앞으로도 국내공장 위주로 운영하신다고합니다.
20:34
21.12.05.
profile image 2등
20만원대 유지하면서 100 넘는 플래그쉽 생산 해주시죠ㅎㅎ
20:32
21.12.05.
nalsse 작성자
윤석빈
열심히 아이디어 뽑아내보겠습니다. 그런데 디자인만은 제 머리에서는 어떻게 나올 건덕지가 없습니다. 저도 공돌이감성이라ㅎㅎ
20:34
21.12.05.
profile image
nalsse
켈베로스나 RS10같은거?ㅋㅋ
21:34
21.12.05.
profile image 3등

좌우페어매치를 안했는데도 좌우가 맞는것은 놀라운 일입니다 ㄷㄷㄷ 

20:39
21.12.05.
nalsse 작성자
카스타드
드라이버 제조공차도 존재할텐데, 부품들 품질도 품질이지만, 제조공정도 많이 안정되어있는 것 같습니다.
21:00
21.12.05.
nalsse 작성자
문아리
팹리스 회사는 좋은 제조공장과의 제휴가 진짜 중요한 것 같습니다.
21:07
21.12.05.
profile image

하우징 형태를 바꾸기 어렵다면, 색상이나 외부 마감을 좀 더 특별하게 하는 것으로 기존 보급형 디렘 시리즈와 차별화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도 듭니다.

21:40
21.12.05.
nalsse 작성자
Stellist
이것도 건의드려보겠습니다.
21:51
21.12.05.
profile image
왜 한국공장제조라니 사고 싶다는 마음이 드는지..ㅎㅎ
22:02
21.12.05.
nalsse 작성자
Mestalgia
앞으로의 유선 제품들은 최대한 한국공장 생산으로 진행된다고 합니다.
22:04
21.12.05.
profile image
nalsse
예전 제품들에서 기술유출우려 및 퀄리티 저하를 겪어서인지 그렇게 결정했나보네요. 좋은 점으로 작용할 것 같습니다.
22:06
21.12.05.
nalsse 작성자
Mestalgia
올해 있었던 dac 관련 이슈들 겪으면서 급격히 추가 기울었던 것 같습니다. 매번 확인을 하고 또 해도 납품 품질이 다른ㅡㅡ; 결국 공장을 바꾸고 dac 품질 이슈가 해결되었다고 들었습니다. e3c의 과감한 가격결정에는 그간 서운하셨음에도 불구하고 애정을 나누어주신 소비자분들에게 보은하고자 하는 마음이 컸었다고 합니다. e3c는 계산해보니 이익금이 얼마 안되겠더라고요. 국내마진으로는 개발비도 못뽑는 정도입니다.
22:18
21.12.05.
profile image
nalsse
상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품질과 생산에 대한 고충과 소비자들의 기대 충족을 위한 마음 등 때문에 생각이 많으셨겠네요..
23:20
21.12.05.
profile image
nalsse
그럴만 하죠 국외 보다 임금도 비싸고
06:18
21.12.06.
profile image
쉘 디자인 공모전을 해보는 것도 어떨까 싶네요. 프로2는 제 귀에는 잘 맞았지만, 디자인은 대중적으로 보기엔 아쉬움이 있더라고요. 딱 공대감성느낌… 아니면 체온에 의해 약간 변형되어 귀에 맞춰지는 쉘도 괜찮을 것 같은데 아예 고가모델로 나오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23:41
21.12.05.
nalsse 작성자
알린
이거 좋네요ㅎㅎ
08:02
21.12.06.
nalsse 작성자
파도살구
그건 저도 잘.. 해외에서 여전히 판매량이 나오고있나봅니다.
08:04
21.12.06.
이번 제품이 너무 잘 나온 것 같은데.. 사운드적으로 디렘프로2가 더 체급이 높다고 하긴 힘들까요?
00:19
21.12.06.
profile image
균형
약간의 사운드 성향차이지 체급차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디렘프로2가 좀 더 모니터링 성향이고, 잔향이나 공간표현에서 유리하긴합니다.
07:26
21.12.06.
카스타드
감사합니다 둘 중 하나로 가야겠네요 e3c가 진짜 역대급인가보군요 ㅎ..
09:43
21.12.06.
nalsse 작성자
균형
제 체감으로는 8k이상 초고음역대에서 아주 약간의 체급차이가 있습니다만, 밸런스 성향 차이 보고 골라도 무방합니다.
모니터링용을 구하시는분들 아니면 보통은 e3c쪽을 선호하실것 같습니다.
08:09
21.12.06.
nalsse
용도차이라기엔 가격차이가 꽤 나네요 ㅎㅎ e3c 진짜 잘 나왔군요.. 감사합니다!
09:43
21.12.06.
profile image

앗 제가 올린 측정치가! ㅎㅎ  
 
말씀하신대로 고역대 약간의 편차는 삽입깊이 때문일겁니다. 뭐 이래저래 몇 번 측정하면 되었겠지만, 가지고 간 제품들이 많아서 빨리빨리하느라..ㅋㅋ 아무튼 e3c 좌우편차는 진짜 놀라웠습니다. 날쎼 님이 전에 올리셨던 글의 측정치를 보고 저도 궁금해서 재본 것인데, 소량 샘플도 아니고 그냥 양산형 샘플이 저 상태로..! 저도 놀랐고, 박사님도 '뭐야 우리꺼지만 이 정도로 편차가 없었어?' 하고 스스로 놀라시던 ㅋㅋㅋ 
  
 + 국내 공장에서 생산된다는 부분은 대충 유추만 하고 있었는데 (택배 발송자가 하이젠이었어서요) 실제로 국내 공장에서 만든다니 여러모로 대단하군요.

00:51
21.12.06.
nalsse 작성자
Heskeybi
저정도로 공차를 잡아내는건 싱글드라이버 제품이어도 쉽지 않은건데 이게 되네요.
08:14
21.12.06.
profile image

SF는 2.6k 부근을 좀 깎아야한다 생각합니다. 

01:12
21.12.06.
nalsse 작성자
SunRise
한국인의 평균적인 이도 길이에 맞추어 공진주파수 산출하여 in room flat의 3k양감정도로 맞춘부분이라 보통은 그 대역이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는것 같습니다. 극저음이 강조되어있어서 그정도로 안뽑으면 보컬들이 배경과 분리되어 튀어나오지 못하기도 하고, 음상이 뒷통수로 가버리는 원인 중 하나가 되기도 합니다.

사실 오래듣기에는 어쿠스티션같은 사운드 밸런스가 좋은데, 이런 소리는 일반적으로는 그리 선호되지는 않더라고요.
08:26
21.12.06.
profile image
nalsse
이도공진점 위치보다는 피크의 Q값이 아쉽습니다. 완만하게 떨어지면 좋은데 돌피니어도 그렇고 타사에서 튜닝해도 해당 부분이 좁고 높더라고요. 그래서 극저역을 더 올려야하고.. 그런면에서는 e3c가 소니캐스트 타겟(?)에 가장 부합하는 것 같습니다.
12:50
21.12.06.
profile image

그냥 다른건 없습니다. 튜닝이야 생산자의 의도인거고 안맞으면 안사면 되는거라 문제없는거고... 
상품의 균일성과 qc만 제대로 된다면 전혀 문제될게 없다고 봅니다. 이게 제조업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이기도 하죠.

11:32
21.12.06.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월 활동 이벤트 상품 안내! 32 영디비 24.05.16.16:29 1236 +13
잡담
image
숙지니 8분 전16:57 12 +3
잡담
image
라인이120 2시간 전15:05 54 +4
잡담
normal
purplemountain 2시간 전14:38 95 +7
잡담
image
플랫러버 3시간 전13:51 93 +13
잡담
image
오마이걸 3시간 전13:28 32 +3
잡담
normal
쏘핫 5시간 전12:01 165 +6
잡담
image
Magnesium 6시간 전10:52 227 +9
잡담
image
숙지니 6시간 전10:12 68 +7
잡담
image
COCT 8시간 전08:32 84 +5
잡담
normal
FADELART 9시간 전08:03 75 +6
잡담
image
COCT 9시간 전07:53 99 +5
잡담
image
COCT 9시간 전07:35 64 +3
음향
image
SBLIFE 9시간 전07:28 79 +7
뉴스
image
Gprofile 13시간 전03:10 88 +7
잡담
image
Gprofile 15시간 전02:00 53 +8
잡담
normal
DECALPHA 15시간 전01:52 92 +5
잡담
image
-towhgdk 15시간 전01:49 80 +6
잡담
normal
종결포기합니다 15시간 전01:41 70 +8
잡담
image
더블유 16시간 전00:21 100 +7
잡담
image
오마이걸 16시간 전00:06 98 +9
잡담
normal
kalstein 17시간 전00:05 116 +7
잡담
image
쏘핫 17시간 전23:20 314 +11
잡담
image
eoeoe 17시간 전23:12 79 +11
잡담
normal
벤치프레스좋아함 17시간 전23:10 93 +10
잡담
image
오마이걸 18시간 전22:41 75 +7
잡담
image
호루겔 18시간 전22:39 92 +8
잡담
image
로우파이맨최노인 18시간 전22:28 154 +13
잡담
normal
purplemountain 19시간 전21:33 85 +7
잡담
image
벤치프레스좋아함 20시간 전21:05 115 +12
잡담
normal
iHSYi 21시간 전19:23 206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