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잡담

소니캐스트 제품들의 미쓰매치랄까에 대하여

후대장
3179 15 21

디락 디렘이 가격대에비해 너무 과도한 기대를해서

과도하게 실망을하고 욕을먹는다는 이야기들을 하시고

공감을 하고 있습니다만 


소캐제품들의 경쟁상대들 체급을 올린것은 소캐 스스로인 측면도 있어가지고요.


디락부터 돌아보면


sf드라이버 관련 인터뷰때에 이 드라이버를 만든 이유가  디디와 비에이의 장점을 모아서 일케 하겠다는 것이었고요.


그 인터뷰에서 멀티비에이나 비에이자체를 많이 까고 시작을  하는바람에 


소캐의 팬들은 에스에프드라이버가 초고가의 멀티비에이 드라이버들을 다 처바른다

혹은 이박사님이 그러는데 멀티비에이는 쓰레기이고 풀레인지 싱글드라이버가 좋고 고로 에스에프가 짱이고 고로 수십배 비싼 멀티비에이 쓰는 사람들은 바~보~


이런 이야기가 한동안 나올랑말랑 했었죠.


그리고 여기에도 포인트로 숫자가 하나 나오는데 아마 sf드라이버의 재생대역폭이 35k인가? 그런걸로 홍보가 되다보니

그야말로 여지껏 듣도 보도 못한 초 가성비의 이어폰이 나왔구나 뭐 그런 생각도 이유없다고 볼 수는 없겠습니다.


비에이는 대역폭이 좁고 비싸서 분할진동이 없는것말고는 디디보다 좋은점이 없다라고 하다보니


실글비에이의 대표격인 얄포와 매치업이 붙고 또 멀티비에이이어폰들의 문제에대해 강하게 까셨으니 다수의 고급 멀티비에이들과도 경쟁이 붙게 되죠.


물론 없는 말을 한것은 아니겠습니다만 

그 인터뷰 당시만해도 그 인터뷰에서 이야기한 문제들을 많이 해결한 좋은 멀티비에이 이어폰들도 많이 있었고요.

싱글비에이 이어폰들도 명기가 많이 있고 비에이의 장점도 많이들 아는 상황에서

논쟁의 여지가 많았던 인터뷰라고 봅니다.


물론 자세히 읽어보면 디디의 장점 비에이의 단점을 이야기할때

사용자 입장이라기보다는 개발자 혹은 생산자 입장에서의 단가라던가 하는 이야기가 많다는 것을 알수 있는데요.


의외로 긴글을 자세히 보는 사람은 적습니다.


그리고 디렘 e3의경우는 유선 세계최고의 하만타겟레퍼런스다하여 인터뷰영상에서 박사님 스스로 n5005보다 점수가 높고

하만의 션올리브박사도 놀라면서 좋다고 하더라는 말씀을 하셔서..물론 사실이겠지만

e3의 경쟁상대로 오천오를 지목한 모양세가 되었습니다. 가격은 20배정도 차이가 나지요.


디렘 ht1의 경우 하만타겟 99퍼센트 레퍼런스 초고음질 이어폰이라고 출시되었습니다만 

측정기 10k피크문제로 사실상 발란스면에서도 고음이 좀 부족한 모양세가 되어 확실한 타겟레퍼런스라고 보기는 어렵기도 했고

소리역시 발란스가 좋고 가격대에서 나쁘지않고 좋은 이어폰이라고 생각은 합니다만

여러 사용자들이 지적하듯이 헤드폰엠프 출력후달릴때같이 좀 텅빈소리같은게 나는 문제가 있어서 

타겟에 다림질한다고 초고음질이냐하는 것에 의문을 좀 가지게 하였습니다.

물론 괜찮은 이어폰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번 w1의 경우 

레이턴시야 영디비에서도 크로스로 체크를 하지않을까하여 보면 될것이고

발매전 인터뷰에서 aac가 가장 좋다고 앱트엑스보다 aac가 좋다고 강조를 많이 하셨었는데

그러다보니 다들 aac를 기대했던 모양입니다 ㅠ


근데 뭐 제이버드나 플렌트로닉스도 sbc로 20만원짜리 블투이어폰 많이 팔았으니 뭐 


초고음질이라는 말은 은 하만타겟 맞췄다는 얘기로 ht1에서도 보아 무슨이야기인지 알았고


 애초에 게이밍이라고 이야기하는것이음질

은 포기한다는 것인가라고 짐작을 했던터라 별로 기대는 안했었었습니다.


그래도 팬들과의 소통이 가장큰 특징이자 장점인 소캐에서 이런 부분을 그냥 말없이 넘어간것은 실수죠.


아무튼 그 이야기가 아니고 제가 하려는 이야기는 

패시브 노캔 성능 이야기 인데요.

 뭐 측정장비랑 이어폰이랑 너무 잘맞아서 어쩌다보니 그렇게 패시브노캔성능이 언터처블로 측정되었고

실제로는 그게 아닐수도 있지만 측정된것은 사실이니 거짓은 아니다라는 것이

소캐의 입장인데요.


벌써 제가 본것만도 여러번 여기저기에서 w1의 차음성능이 이정도라면 

에어팟프로니 천엑스쓰리니 다 노캔 쓸모없는거아니냐는 얘기가 나온다는 거죠.

요즘 액티브노캔이 코드리스 대세인 상황에서 그 측정 결과가 어떤 의미로 사람들에게 전달될지

몰랐을것같지는 않고 노캔이 대세라는데 노캔없어도 이정도면 된다 뭐 그런 홍보의 의미가 있었을거라고 봅니다.


그러나 액티브 노캔의 용도와 액티브와 패시브를 같이 사용하면서 얻을 수 있는 작용감 개선이라던가 등등의 효과를 무시하고

다시 비싼 노캔이어폰들 디렘이 다처바른다는 말이 나오고있습니다.

이렇게 w1의 경쟁자는 또 20~30만원대 노캔이어폰들이 되었죠.


이야기하고싶은 것은 두가지 입니다.


매번 숫자가 하나씩 나오고 있죠.

35k 재생력, 하만타겟99퍼센트, 하만점수86점?맞나?,패시브노캔 저음30디비 고음50디비?


요런 숫자들이 아주 좋은 마캐팅 포인트가 되긴합니다만 역시 아주 논쟁적이기도하다는 것이죠.

숫자가 전부는 아닌경우가 많기때문에..


아무튼 소캐제품들 가성비 좋고

소캐의 철학도 싸게싸게 최대한 저렴하게 최대한 좋은거를 만들자라는 것으로

좋은 철학이라고 봅니다.


사실 자기제품 홍보하면서 우리제품은 어디어디가 구리고요 이러이러한 문제가 있어요라고

이야기하는 회사가 몇이나 되겠나요?

제가 최근 구입한 

개발사 말로는 전영역 완벽히 플렛한 극한의 플렛 하이파이사운드라는 

이 18만원짜리 이어폰 소리 한번 들어보실래여?;;;


아무튼 이 바닥은 소니니 애플이니 어느정도 다 구라니 이빨이니 털만큼 최대한 털고 시작을 하는곳이니

소캐정도면 양반이라고 보긴합니다만


어찌됐건 소캐 제품들의 경쟁자를 엄청 비싼 고급 물건들로 자꾸만 잡게되는 것은


물론 팬들도 한몫을 하고들 계십니다만 소캐스스로 자초한 일이기도 하다는 것이죠.


노이즈 마캐팅을 의도한것인지 아닌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암튼 저는 소캐의 물건을 가격대에서 괜찮은 물건이라는

그 이상의 기대를 하지 않습니다만 


이러는것도 저러는것도 이유는 있어 보인다는

문득 든  생각이었습니다.


굿모닝염~

신고공유스크랩
Aias Aias님 포함 15명이 추천

댓글 21

댓글 쓰기
profile image 2등

좋은글이네요 빠가 까를 만드는 법이죠

13:45
20.02.04.
profile image 3등
빠가 까를 만드는건 진짜 저도 아쉽습니다.
저도 의아한 부분이 많았는데, 이번 세미나에서 어느 정도 의문이 해소되긴 했습니다. "주요 대기업들이 못 이루는 부분을(수치를) 달성하자" 같은 느낌이죠.

그래도 그냥 대충 좋은거 싸게 만들었으니 사가세요 하면 되는데 말을 좀 지르시는 성격이신 것 같긴 합니다.

이게 공학자로서의 인터뷰와 개발자로서의 제품간의 간극이 큰 분인지라 그런 양상이 더 심해지는 것 같습니다.
공학자로서 틀린 말은 안하시는데, 본인이 내는 제품들이 그걸 달성하지는 못하고 있죠. 가격과 상관없이 이런 부분 때문에 자꾸 거짓말을 하는 것 처럼 되고 있어요
13:54
20.02.04.
profile image
Klarhet
특히 여러 공학자분들이 놓치는게 음악의 감상적인 부분인데, 이 점도 박사님은 자주 놓치시는 것 같습니다. 아무리 이론적으로 1dd가 좋다고 해도 고가 멀티웨이 이어폰들이 주는 분명한 감상의 이점이 있는데 말이죠
13:59
20.02.04.
Klarhet
1dd가 아무리 좋아도 eq를 못쓰는 상태에서는 멀티웨이가 이어폰 수준에서는 많이 유리합니다. 위상문제가 있긴하지만 어지간히 틀어지지 않는이상 미니멈페이즈에서 그걸 느끼기는 어렵고요. 개인적으로는 서브배스대역, 배스~중고역, 10khz이상 초고역 이렇게 3웨이로 가는게 이어폰에서는 최선이라고 보고있습니다. 그래야 1유닛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공진점을 잡을 수 있어서요. 헤드폰과 같은 공간감을 잡으려면 인위적인 peak/deep도 추가해야하니 더 많은 유닛이 필요할겁니다.

근데, 가장 아쉬운 부분은 대중의 시청 소감이 개발단계에서 고려되고 있지 않다는게 좀.. 아직은 하만타겟에 최대한 맞추는 세팅이라 괜찮겠지만 이대로라면 하만타겟에서 벗어나려는 순간에 한번쯤 헛디딤이 있을것 같습니다.

...이렇게 말은하지만 조금 전에 수집용으로 kasa를 1개 질렀습니다. 이런건 사야할때 질러둬야.. 가서 들어보니 유선판 w1이라고 봐도 되겠더라고요. 아주 유사합니다. 저음은 좀 더 질이 좋고요. 소캐 무선제품은 매번 저음의 질이 아쉽습니다.
14:36
20.02.04.
profile image
nalsse
저도 그건 공감합니다. 이어폰 특성상 비선형적 튜닝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는데, 1듀서는 죽었다 깨어나도 못하죠.
3웨이가 적당하다는 것에도 동의합니다.

요즘 kxxs같은 애들 많이 보면 극저음으로 갈수록 올라가는 특성을 보이는데, 저는 이런걸 싫어해서요. 저음은 리니어하게 찍히는게(레벨 자체는 중음보다 높아도) 좋습니다.

카사는 밸런스적 측면에서는 상당히 괜찮은 것 같습니다. 이걸 E3랑 소리 차이 없는걸 마케팅으로 팔아먹는다고 보는 분들은..ㅎㅎ
14:48
20.02.04.
Klarhet
저도 극저음 치솟는거 싫어합니다. 그거 올라가있으면 타대역 다깎아먹어요. 조금만 음량올려도 귀가 많이 피곤하고요. 뭐든지 적당히 해야... 하만타겟 유행은 몇 년 지나면 적당히 잠잠해지지 싶습니다. 해가 거듭될수록 타겟 자체가 산으로가는 느낌이라.

kasa보면 e3와는 특정구간에서 조금씩 차이가 있는데, 그게 완성도를 많이 다르게 해주는 요인이 되지요. 결과물을 보면 다른이어폰입니다. 소니캐스트는 하만타겟보다도 이런 미묘한 디테일에 집중해주었으면 하는 바램이 있습니다. 하만타겟을 약간만 수정해도 듣기가 훨씬 좋은데 일단 타겟 정합도 1% 더 올라가는데 집중하는 느낌이라 정말 아쉬워요.
14:54
20.02.04.
후대장 작성자
nalsse
e3은 저음 질감이 좋은데 중고음이랑 고음이 좀 불편했죠
저음도 좀 많다고 느껴지기도했고요
그거는 어떤차이가 있나요?
좀 고음부가 편안해져도 훨나을것같던데요
15:03
20.02.04.
profile image
후대장
방향성 자체가 고음 자극성을 줄이는 방향입니다
15:13
20.02.04.
후대장 작성자
Klarhet
아 그럼 훨 좋겠군요 하이헷이 좀 척척거리는것만 좀 줄여도 괜찮을것같던데말이죠ㅋ
저도 나름 음악하는데 사볼까..
15:15
20.02.04.
후대장
극저음 처리가 e3보다 kasa가 좀 더 좋았습니다. e3는 치솟는 형태라면 kasa는 극저역대역에서 약간 내려가는 형태랄까. kasa도 고음역이 많이 나오는것은 비슷하긴한데, 미묘하게 고음역이 e3보다는 덜 자극적으로 세팅이 마무리되어있었습니다. 아주 많은 차이는 아니지만, 따로 팔정도의 차이는 됩니다. 댐핑재가 달라서 고음역 특성이 약간 다르더라고요. 고음의 양만 문제가 된다면 e3 팁에 솜같은 댐핑재를 약간 추가하는 것만으로도 효과를 어느정도 보실겁니다.
15:16
20.02.04.
후대장 작성자
nalsse
아 그렇군요
그래서 저음이 많아졌다 적어졌다 청음기가 갈리는것같군요
소캐튜닝은 3k올리는게 시그니쳐인듯한데
인터뷰글에서도 말씀하셨습니다만
좀 아쉽습니다
드라이버튜닝기술측면도 있겠고 그러면서 음상을 앞으로 당긴다는 것이겠는데
그 방법이 아니어도 다른방법으로 가까운 음상을 표현하는 제품도 있는데 말이죠
그 포인트덕에
15:22
20.02.04.
후대장

헤비메탈님 측정치 보시면 1khz기준으로 0점을 잡게되면 30hz극저음 자체가 e3보다 2db가량 덜나오고있고 기울기도 조금 다릅니다. 100hz에서도 1db가량 빠지고요. 고음역의 경우 헤비메탈님의 샘플은 e3와 양이 비슷하게 나와있는데, kasa는 스폰지댐퍼를 썼다고 하니 고음역대 편차가 1db가량은 있을겁니다. 저음의 기울기를 보면 파란색 측정치가 더 평균치에 가깝다고 보는데, 그거랑 e3 데이터랑 비교하면 고음역대가 e3보다 1~2db가량 덜나오는 제품이라고 읽힙니다. w1에 했던것마냥 팁에다가 솜하나 붙여주면 고음역은 딱 듣기좋게 2db가량 내려오지 싶어요. 
여기 링크. 
  https://blog.naver.com/gre_nada/221758778736 

근데, 이렇게 쓰기에는 이번 e3나 kasa보다는 디락+mk2 제품이 밸런스 측면에서는 좀 더 나은것 같습니다. 고음은 과한것 보다는 약간 부족한게 낫다는 주의라.. 저는 에어팟 프로 소리 좋아합니다ㅎㅎ

15:33
20.02.04.
후대장 작성자
nalsse
아 그렇군여 ㅋ
제가 에어팟프로를 쓰다가
지인에게 선물해버리고 얼마전에 잠깐 들어봤는데요
역시 이어폰은 팔기전이랑 다른사람준거 들어봐야 절정의 소리가 나오는것같습니다
소리 예쁘더군요
15:37
20.02.04.
후대장
동감합니다. 주고나면 소리가 좋게들리죠ㅎㅎ
15:38
20.02.04.
후대장 작성자
Klarhet
그렇죠 ㅋㅋ
잘보면 다 맞는 이야기들이고
좋은 이야기도 많고요.
말씀하신데로인것같습니다
15:06
20.02.04.
이 무슨 꽉찬 돌직구인가..
너무 묵직합니다.

이번제품도 가볍게 쓰기는 좋더라고요. tws같이 1년짜리 소모품에 가까운 물건에 20만원씩 쓰기는 좀.. 음질로 욕하시는 분들은 4만원 미만제품 중에 쓸만한게 있나를 먼저 좀 보셨으면해요.

현 상황은 마케팅 대 참사라고 봅니다만, 제품 자체가 이렇게 까일 제품은 아닌것 같습니다. 초도불량이 좀 있긴하지만 10만원 미만 코드리스 제품들은 다들 불량률이 어마어마한지라. as차원에서 다 바꿔주는 편이라 큰 문제는 아니라고보고요. 제품 교환도 잘 안해주는 저가 중국산에 비하면 천사라고해야하나.. 커뮤니티 인기상품인 테비나 t90이 더 좋다고하시는 분들도있는데 그제품들도 불량률이 어마어마합니다. 가격은 2배에 가깝고.
체감상 10만 미만 저가 tws 불량률은 70프로에 달합니다. 불량인지 모르고 긴가민가 쓰시는분들도 많을거에요. 이런게 싫으면 걍 속편하게 갤럭시 버즈급 이상 써야할겁니다. 버즈라고 초도불량이 없는건 아니지만서도..

여튼 굿모닝입니다~~
13:57
20.02.04.
후대장 작성자
nalsse
ㅋㅋ사실 불량률이야기하자면
젠하이져는 애초에 하자품을 내놓았고
소니천엑스쓰리도 불량률엄청나더군요
제파워비츠프로도 두번교환받았는데 또 이상해요
뭐 소캐는 디락 초기때에 좌우편차나는 잇슈가 있었던터라
더 그런것같기도하네요
그때 좀 쎘으니까요
15:13
20.02.04.
profile image

전 연결성 문제와 충전이 안되는 문제 이런것 때문에 사기가 싫어집니다  
 제일 중요한 QC문제라서요  
  
 뭐 개선되고 나온다면 사겠지만요  
  
 4만원대에서 너무 많은것을 바란다? 아니 기본기가 불량인데 쉴드 칠 부분이 있는지 궁금하네요
  
 뭐 AAC안들어간거 미리 공지 안하고 말도 좀 이상하게 하신것도 실망이구요  
 평상시에 일반인은 음악 음질에 대해서 모른다고 내리 까는 생각을 하신게 아닌가 의심이 들정도로요 
 이런거가 자꾸 실망하게 되네요

14:10
20.02.04.
죄다 옳으신 말씀... 소케 제품이 가격대비 나쁘지 않은 정도고 귀로 튜닝하지 않고 기계적으로 이론에 치우쳐 튜닝한 제품이라 고만 고만한 사운드를 내는것 같습니다. 전 별로 좋아하는 튜닝이 아니라... ㅎㅎ
이론에 맞춰서 자동차를 만들면 물고기나 조개 모양으로 자동차가 생겼겠죠... 이론에 맞춰 이어폰을 만들면 어떤 결과가 나오는지 알려주어서 감사할 따름입니다. 이론은 이론일뿐...
20:20
20.02.04.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부운영자 모집 공고! 28 영디비 24.06.04.15:37 3318 +16
6월 활동 이벤트 공지 및 상품 안내! 54 영디비 24.06.03.15:27 3248 +15
5월 이벤트 당첨자 안내! 30 영디비 24.06.03.12:52 2819 +13
잡담
image
영디비 22.08.31.05:08 2.4만 +45
잡담
image
로우파이맨최노인 24.05.08.01:09 3977 +30
잡담
image
COCT 24.05.01.15:48 628 +30
잡담
image
SunRise 23.09.17.01:24 1685 +27
잡담
image
영디비 3일 전00:01 898 +26
잡담
image
사진쟁이 24.05.27.19:03 1278 +26
잡담
image
영디비 23.04.12.19:44 889 +26
잡담
image
로우파이맨최노인 24.04.10.15:55 4328 +24
잡담
image
영디비 23.09.27.16:38 177 +24
잡담
image
영디비 22.07.27.22:35 5726 +24
잡담
normal
영디비 21.07.26.17:34 2954 +24
잡담
normal
방울이 20.05.18.02:35 2600 +24
잡담
normal
FADELART 24.05.27.01:55 719 +23
잡담
image
alpine-snow 24.05.15.01:03 1725 +23
잡담
normal
영디비 22.09.24.16:31 4040 +23
잡담
normal
SunRise 18시간 전15:49 268 +22
잡담
image
사진쟁이 23.11.05.16:13 551 +22
잡담
image
연월마호 19.10.02.12:21 8295 +22
잡담
image
연월마호 23.06.13.23:44 1114 +21
잡담
image
영디비 23.04.03.22:12 523 +21
잡담
normal
바밤바55 20.11.30.22:22 1988 +21
잡담
normal
듀라렉스 19.06.26.07:19 2432 +21
잡담
image
쏘핫 1일 전19:28 534 +20
잡담
image
Gprofile 24.05.31.13:45 225 +20
잡담
image
Magnesium 24.05.30.17:29 341 +20
잡담
image
연월마호 24.05.20.12:06 1만 +20
잡담
image
Gprofile 24.05.14.21:55 237 +20
잡담
image
타이거마스크 24.05.02.11:59 409 +20
잡담
normal
Gprofile 24.03.20.00:20 165 +20
잡담
image
nerin 24.03.05.04:20 943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