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사용기

온쿄 DAP DP-X1A 사용 후기

파란이온 파란이온
9697 3 2
온쿄는 일본어로 음향 (音響) 뜻을 가진 브랜드로

주로 AV 리시버,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스피커를 제조하였지만

2000년대 후반 이후로는 PC가 대중화되면서 AV 리시버 부문은 침체되었고

온쿄에서는 새로운 돌파구를 찾아내기 위해서 DAP 시장에도 뛰어들게 된다.

DAP는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Digital Audio Player)의 약자로 


24bit 192kHz 이상의 무손실 음원재생할 수 있는 플레이어로 의미가 변화되었으며


아이리버의 아스텔앤컨, 코원의 플레뉴, 소니의 워크맨 시리즈가 대표적이라고 볼수 있다.

2015년에는 온쿄가 후발주자로 나서면서 DP-X1를 새롭게 출시하였는데

여기서 소개하는 DAP는 전작인 DP-X1의 캐패시터를 더 보완해서

출시한 것이 특징이라고 볼수 있다.

1.jpg


이제 온쿄의 DP-X1A를 소개하겠다.

먼저 전원을 켜보게 되면 POWERED BY android 로고가

부팅 화면에 표시되면서 21초 정도로 지속된다.

 

그리고 나서는 ONKYO 로고가 2초 정도 표시되며

마지막으로 연두색 삼각형 로고가 5초 정도 나타나게 되면서

부팅 시간이 총 28초 정도로 오래 지속된다.

2.jpg


메인 UI 화면의 모습이다.

기본적으로는 검은 아스팔트 같은 배경 화면이 적용되었으며

원하는 사진으로도 ​제약 없이 배경 설정이 가능하다.

다만 음악을 재생할 경우에는 현재 재생 중인 음악의 앨범 아트가

흑백 배경 화면으로 표시된다.


3.jpg

애플리케이션들로는 구글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어플들과

온쿄 자체 어플들 (Manual, Music, Useful Apps)이 탑재되어 있다.

4.jpg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왼쪽으로 넘기게 되면


이와 같이 위젯 화면들도 나오게 된다.

5.jpg


이제 뮤직 플레이어를 소개하도록 하겠다.

목록들은 ​Folder, Playlists, Artists, Albums, Songs, Genres,

Compilations, Composers, Format이 있다.

상단에는 음악 검색 기능이 있으며

​한국어를 제외한 영어, 숫자, 특수 문자 키보드가 지원된다. (미리 Google 한국어 입력기 어플 설치 필요!)


6.jpg

Playlists는 재생 목록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서

재생 목록을 원하는대로 만들고 추가할 수도 있다.

 

7.jpg


또한 한국어를 제외한 영어, 숫자, 특수 문자 키보드가 지원되어

재생 목록의 이름 짓기와 이름 수정도 가능하다. (미리 Google 한국어 입력기 어플 설치 필요!)

8.jpg

음악의 재생화면이다.


상단에는 ㅁ (가사 지원), 三 (현재 재생 중인 목록에서 기기 음악 삭제 지원),

: (음향 설정) 메뉴들이 있으며 하단에는 음악 재생 및 정지,


반복 재생 설정, 임의 재생 설정, 이퀄라이저 설정 메뉴가 있다.


앨범 아트를 한번 더 터치하게 되면 음악의 상세 정보가 표시되며

화면 잠금 기능과 구간 반복 기능은 아쉽게도 지원하지는 않는다.

음악 재생은 최대 16시간 재생된다고 한다. (FLAC 24bit 192kHz 재생 기준, MP3는 공개된 사항이 없음)


9.jpg


DP-X1A는 기본적으로 ID3 가사 태그를 지원하고 있어서

가사 보기가 편리하며 가사의 크기를 작게 하거나  
크게 설정할수도 있다.​
10.jpg

또한 무선 네크워크가 연결된 환경에서는

가사가 노래방처럼 나오기도 한다.

대부분의 해외 음악은 가능하나 아쉽게도 한국 음악은 극소수만 가능하다.


아마 e-onkyo music에서 축적되어 있는 정보를 토대로

제공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11.jpg

이퀄라이저 설정 메뉴에서는

Preser​ EQ로 플랫, 11 밴드, 댄스, 재즈, 팝, 록, 보컬이 제공되며


Featured EQ에서는 해외 아티스트들이 튜닝한 

프리셋 EQ들도 제공된다.


12.jpg


또한 Preser​ EQ와 Featured EQ를 끈 경우에는


Custom EQ를 원하는 방향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Gain이 과장된 경우에는 빨간색으로 표시되서


참고가 가능하며 균형에 맞도록 설정이 가능하다.


13.jpg

음량 조절 단계는 대 160단계까지 미세하게 지원되며

볼륨휠과 화면 터치로 둘다 음량 조절할수 있다.

상단의 : 메뉴를 터치하게 되면 오른쪽에는 음향 설정 목록 창이 나오게 되며

DSP function (디지털 신호 처리 음장), Lock Range Adjust, Digital filter,

Upsampling Mode, Upsampling upper limit, Select playback device,

onkyo music (Shop (web Link)), (Your Account), Settings,

Screen Drimmer, Change playback screen mode, edit tab, SNS 목록들이 제공된다.

다만 좌우 밸런스 조절 기능은 제공되지는 않는다.


14.jpg
Lock Range Adjust

입체감의 크기를 설정할수 있는 음장으로

Wide, Normal, Narrow로 설정이 가능하며
Digital filter는 잔향의 정도를 조절할수 있는 음장으로
기본적으로는 SHARP로 설정되어 있으나
SLOW나 SHORT로 설정이 가능하다.
15.jpg
Upsampling은 음질 향상을 끌어올리는 기능이며

기능을 적용하게 되면 음질이 조금 풍성해지면서
매끄러워지게 된다.
16.jpg

Settings 목록의 화면에서는 음악 동기화 설정과 ​
​DSD의 게인 설정 기능이 제공된다.
17.jpg
또한 Change playback screen mode 목록의 화면에서는
음악 재생화면에서 적용할 수 있는 디자인이 2가지 형태로 제공되며
원하는 스타일로 설정이 가능하다.​


18.jpg
화면 위를 아래로 끌어내리게 되면 상단바가 나오게 되며


이어폰이나 헤드폰이 연결된 경우에는


Headphone is plugged in 문구가 표시된다.

19.jpg

상단바를 끝까지 내리게 되면 상단에는

기기 설정 메뉴와 디스플레이 밝기 설정 기능이 있으며


아래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 설정, 블루투스 연결 설정,

Stand-alone mode (차폐 성능 향샹), 비행기 모드 설정, 자동 회전 설정

Line out mode (라인아웃 설정), Ouput select 메뉴들이 있다.


Ouput select 메뉴는 밸런스드 단자에서 음향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이며

Balanced와 A.C.G 모드가 지원된다.


20.jpg

21.jpg



기기 설정 메뉴에서는 무선 및 네트워크, 기기, 개인, 시스템 그룹에 속하는 목록들​이 있다.


언어 및 키보드 목록에서는 ​미리 설치한 Google 한국어 입력기를

설정하​게 되면 음악 검색 기능과 재생 목록 설정 기능에서도

한국어 키보드가 지원되기 때문에 편리하게 사용할수 있다.

22.jpg


보안 목록에서는 화면 잠금 설정이 지원되며


원하는 잠금 화면으로도 설정이 가능하다.

23.jpg

DP-X1A는 롤리팝 OS (안드로이드 5.1.1)를 탑재하여

무선 네크워크 연결을 지원한다.


와이파이를 잡아서 인터넷 (크롬 애플리케이션)

유튜브 애플리케이션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크롬을 통한 인터넷 웹서핑과 유튜브의 동영상 감상도 가능하다.


24.jpg

또한 플레이 스토어에서는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가 가능하다.

음성 녹음과 동영상 플레이어는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지 않을 뿐

DP-X1A에서는 동영상 재생과 마이크 기능이 지원되기 때문에


플레이 스토어에서 다른 어플을 찾아서 설치할 경우 사용이 가능하다.


다만 뮤직 플레이어의 경우 자동 업데이트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가끔씩 수동으로 업데이트를 해주어야 한다.


25.jpg


DP-X1A는 플레이 스토어에서


음원 사이트의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게 되면


와이파이 환경에서는 음원의 다운로드와 스트리밍 서비스를


자유롭게 이용할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6.jpg

DP-X1A는 ESS 社의 ES9018K2M DAC 칩셋과
SABRE 9601K 헤드폰 앰프 2개가 채용되었는데

ES9018K2M은 거치형 앰프에 주로 사용되는

고급형 DAC 칩셋인 ES9018을 모바일 버전으로 개발한 칩셋이다.

성능은 비슷하나 전력 소모는 적고 노이즈 발생이 낮은 편이며


기본적으로는 듀얼 DAC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온쿄에서는 트윈 DAC이라고 명명함)


측정치는 SNR (115dB), Stereo Crosstalk (-120dB), THD+N (0.0006%) 수치를 구현하며

SABRE 9601K의 출력은 75mW+75mW, 150mW+150mW (밸런스드)

거치형 헤드폰까지는 아니더라도 높은 임피던스의 헤드폰을 


사용하기에는 충분하다고 볼수 있겠다.

 

27.jpg

DP-X1A의 성향은 타사 DAP들과 비교하게 된다면

​청명하고 단단한 음색이 특징이라고 볼수 있다.


중고음은 밝게 착색되었으며 저음이 많이 단단하다보니

소리가 너무 선명하여 특유의 건조한 느낌도 풍겨진다.

 

DP-X1A는 아쉽게도 한국에는 출시되지 않았기 때문에 

장날 경우에는 A/S가 안타깝게도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일부의 태그 깨짐 현상과 부분적인 한국어의 지원은 아쉽지만

음원 다운로드 및 스트리밍 기능이 자유롭게 지원되는 점은

용하다고 생각된다.

 

THE END

신고공유스크랩
터럭 터럭님 포함 3명이 추천

댓글 2

댓글 쓰기
profile image

생각보다 괜찮은 기기인가봅니다! 리뷰 잘봤습니다^^

21:25
17.12.25.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