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사용기

디락 플러스 MK2, PBH-400 제품 개조 마무리 및 결과 비교

nalsse
6831 4 24

 https://www.0db.co.kr/FREE/1176492   

최종세팅은 위 게시물 참조하세요. 아래 정보들 중 하드웨어 만지는 부분은 새로 올린 게시물의 것이 쉽고 결과도 좋습니다. 아래 정보들은 왜 이런짓거리를 했는지에 대한 설명차원에서 삭제하지 않고 남겨둡니다.



--------------------------------

안녕하세요.

1. 디락 플러스 MK2 개선안
https://www.0db.co.kr/xe/REVIEW_USER/411167

2. PBH-400 개선안
https://www.0db.co.kr/xe/REVIEW_USER/412060

에 이은 시리즈물 3탄입니다.

사실 위 글대로 튜닝하여 써도 괜찮습니다만, 며칠 쓰다보니 각 개조 결과물에서 미진함과 개선사항이 발견되어 추가 보정에 들어갑니다.

일단, 디락 MK2제품의 ear-fi blog 계측자료와 제조사 제공 측정데이터가 꽤 차이나서 의문이 생겨 위 작업중 저장해둔 디락 플러스 MK2 제품과 PBH-400 제품의 측정결과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디락 플러스 MK2, PBH-400 비교.png

????  
pbh-400의 고음량은 디락 MK2제품보다 조금 많은데, 측정결과를 보니 ear-fi blog의 계측결과가 좀 이상하네요, 불량이거나, 중간에 말없이 리비전이 된 모양입니다. 계측 실수라고 보기엔 다른대역의 측정결과는 정상이라..
제조사 제공 측정 데이터는 정확하네요. 이곳 0디비의 측정결과와도 삽입깊이차이를 고려하면 매우 유사합니다.
그렇다면, 맨 처음 작성하였던 1. 디락 플러스 MK2 개선글에서 맨 마지막에 제안드렸던 휴지필터 사용한 개조방법이 주파수 응답특성상 적합하다고 보입니다. 아무 생각없이 PBH-400 제품과 동일하게 개조하면 되는군요.

그런데, 디락 플러스 MK2제품의 금속필터가 금속이라는데 착안하여 좀 더 쉽고 좋은방법을 찾았습니다.
DSC_0007.JPG

그냥 공업용 스폰지를 작게 잘라서 이어팁에 넣고 조금 눌러주면 됩니다.  
저건 미국 직구할때 완충재로 딸려들어왔던 싸구려 스폰지입니다. 미용실에서 머리카락 털어줄때 사용하는 구멍숭숭 스폰지와 유사합니다. 사용한 사이즈는 8mm x 5mm x 3mm로 직사각 기둥형태 입니다. 보시는대로 이어폰에 이어팁을 결합한 상탱에서 스폰지를 수직으로 세워서 구멍에 밀어놓고 덜들어간 긴쪽을 샤프같은걸로 눌러서 밀어넣어줍니다. 얼기설기 엉성하면서 좀 까끌한 재질이라 압축이 잘되고 압축된 상태에서 고정도 잘됩니다.
압축이 덜될수록 고음 감쇄량이 적고, 더 크게잘라 많은양을 밀어넣어 밀도를 높이면 고음감쇄량이 매우 커집니다. 고전적인 방식의 음향 댐퍼라고도 할 수 있겠네요.
기성 규격품을 구할 수 없으니 이렇게 씁시다. 쉽고 간편합니다. 애플인이어 이어팁이나, 스핀핏 같이 앞쪽 구멍이 좁아지는 형태의 이어팁에서는 유닛연결하는쪽에서 밀어넣고 유닛과 결합하면 됩니다.

이렇게 하게되면,

PBH-400팁(기본팁과유사)_튜닝_최종.png

이런 결과물이 나옵니다. 모양새가 적절하게 감쇄되어 보입니다. 소리도 나쁘지 않네요.

이번에는 마지막 글이니만큼 특별하게, 결과물을 보정된 주파수응답특성으로 비교해 봅니다.
항상 머릿속으로만 생각하고 넘기니까 얼마나 감쇄되는지 좀 과장스럽게 기억하는 경향이 있어서..
측정 프로그램에 교정용 데이터를 입력하면 바로바로 편하게 확인 가능하지만, 언제 또 이런작업을 할지모르니.. 그냥 그림판을 씁시다.
상대음량을 참고하여 그림판으로 무식하게 포인트를 찍어서 비교합니다.
dirac plus mk2 mod 후 고음역(hk).png

 6khz부분의 감쇄가 생각보다 심하지 않네요.  
아슬아슬하게 교정이 잘 되었습니다. 역시 번거로워도 포인트 찍어서 눈으로 봐야 확실합니다.
peak가 가급적 기준선을 넘지 않는게 중요한데, 하만 타겟의 저 기준선은 1khz @0db ~10khz @-3db 으로 완만하게 -3db정도 떨어지는 음향특성을 보입니다. 고음역에서 저 기준선을 넘게되는경우, 찌르는 듯한 소리의 원인이됩니다. 음색도 경질이 되고요.
소프트웨어 eq로 저부분을 잡기도 좀 거시기한게, 인이어 이어폰에서 저 peak는 삽입정도에 따라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eq로는 3khz 이상에서 발생하는 고역의 문제를 보정하는게 어렵습니다. 헤드폰의 경우는 일정한 착용이 가능해서 어느정도 보정이 가능하고요. 인이어에서는 peak가 기준선을 넘지않도록 물리적으로 처리하는게 최선입니다. 물리적으로 어느정도 해결한 다음에 소프트웨어 eq로 취향에 맞게 조절하는게 좋습니다.
여하튼, 성공적으로 보정이 되었네요.

PBH-400 제품의 경우는 절대로 위 방법을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필터가 금속이 아니고, 조금만 눌려도 안으로 밀려들어가는 약한재질이기때문에 2. PBH-400 개선글에서 소개한 방법을 씁시다. 사실 그 방법도 결과물이 괜찮습니다.
최종 비교(디락 플러스 MK2, PBH-400).png

많이는 차이 안나고, 상대비교를 하면 오히려 PBH-400 제품을 2.글에 소개한 방식으로 작업한 결과가 지금 디락 플러스 MK2제품에 적용한 방법보다 좋아보입니다. 디락 MK2 제품도 디락 플러스 MK2제품과 고음역대가 거의 같으니 1, 2, 3(이글)에 소개한 방법이 유효하리라 생각합니다.  

사용한 재료와 방법이 매우 싸구려고 허접하지만 효과하나는 끝내주네요.

고음부 거슬리는 부분은 제 기준으로는 다 잡았으니, 이제는 저음부 이퀄라이징을 마무리해 봅시다.
1, 2번글에 추천드렸던 precise volume 앱 사용 기준입니다. 설정해두면 음악앱, 동영상앱 가리지않고 전역eq로 동작합니다.

1번글에 소개했던 디락 플러스 MK2 제품의 저음역은 오차없이 괜찮습니다. 그 데이터 그대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2번글에 소개했던 PBH-400 제품에 적용했던 eq는 기준없이 대강 때려맞춘거라 매우 부정확했습니다.
이번에는 측정자료를 비교해서 정확히 적용해봅니다.

dirac plus mk2 mod 후 고음역(hk).png

이 데이터가 있고,

디락 플러스 MK2, PBH-400 비교.png

이 데이터가 있으니, 60hz, 230hz에서의 PBH-400 제품의 저음량과 디락 플러스 MK2 제품의 저음량을 비교하여 차이를 계산하고, 디락 플러스 MK2 제품에 사용했던 수치를 통합하여 필요한 차이를 계산해 냅니다.

계산 결과는
하만 헤드폰 타겟 기준 -5.5db @ 60hz, -6db @ 230hz
하만 이어폰 타겟 기준 -1.5db @ 60hz, -6db @ 230hz
입니다. 아직 마무리된 것이 아니니 이 데이터는 참고만하시고.

eq적용시 어떻게 되는지 확인해봅시다.

먼저 헤드폰 타겟 eq 적용 결과입니다.
입력 수치는 -4.5db @ 60hz, -5.5db @ 230hz 입니다.-4.5(-6[-5.5])@60hz,-6(-6.5[-6])db@230hz.png

입력한 값과 출력값이 다르게 나옵니다.
이래서 eq 후에는 제대로 적용되는지 계측해 보아야합니다. 전문가용이 아니면 보통은 허접하니까요.
소개해 드린 -4.5db @ 60hz, -5.5db @ 60hz 적용하시면 위 스샷과 같이 적절하게 적용됩니다.


다음은 이어폰 타겟 eq 적용 결과입니다.
입력 수치는 -1db @ 60hz, -6db @ 60hz 입니다. -1.7(-1[-1.5])@60hz,-6(-6[-6])db@230hz.png

이것도 좀 다르게나오네요.
위에 소개해드린 -1db @ 60hz, -6db @ 230hz 적용하시면 위 스샷과 같이 적절하게 적용됩니다.


여기까지가 하만타겟 기준으로 보정하는 방법이고요.

개인적으로는 하만타겟에서 이어폰, 헤드폰을 위해 강조한 저음역을 빼고 하만 리스닝 룸 기준으로 증폭된 저음량을 기준으로 한 저음량이 더 좋았습니다.
사실 하만 타겟의 이어폰/헤드폰의 경우 강조하는 저음량에 대해서 반대하는 전문가분들도 많지요. 심지어 고음부의 기준도 부정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특히 고음은 사람에따라 많이 다르게 듣는게 사실이니 기준타겟이 진리라고 할 수가 없지요. 타겟은 어디까지나 소리 비교를 위한 기준일 뿐인지라..
여튼 저도 하만 타겟의 저음강조량에 찬성하지 못하는 입장입니다. 실제 스피커로 듣는것보다 음색이 꽤 변질되어버려서요. 크게 듣는 경우 증폭된 저음량이 귀에 부담도 많이 됩니다.
반면에, 하만 리스닝룸의 응답특성에 기반한 스피커 소리는 대공감합니다. 그걸 기준하는 저음특성을 소개해봅니다.

먼저 리스닝룸 특성입니다.
하만 스피커 룸 fr.jpg

 
다음을 이를 기반으로한 타겟입니다.
WTBT-vs-HFX-web.jpg

이 기준 중에서 녹색 그래프는 하만 리스닝룸의 주파수응답특성을 더미헤드에 넣어 뽑아낸 타겟에 -1db/oct 기울기를 적용한 타겟(wtbt)입니다.
현재 위에 튜닝된 이어폰의 고음부는 노란색 그래프(hfx)의 기준에 가깝게 설정되었습니다. 목표는 녹색 그래프였는데, 개선이 어려운 감쇄부분들이 있어서 그렇게 되었네요. 저음은 노란색과 녹색이 거의 동일하니 별차이없습니다.

녹색기준으로 작성한 eq데이터 입니다.

디락 플러스 MK2 : -3db @ 60hz, -1db @ 230hz
PBH-400 : -8.5db @ 60hz, -4db @ 230hz

둘 모두 rmaa통해서 확인한 데이터입니다. PBH-400의 경우는 입력량과 출력량이 다르니 알려드린 데이터를 사용해주세요.


개선 끗.


더이상은 진짜로 더 생각나는게 없네요. 써보다가 떠오르는게 있으면 추가로 작성하겠습니다.

----------------------------
부록으로, 예림이아빠 님께서 물어보셨던, "고음을 더 나오게 하는방법이 있나요?" 에 대한 샘플입니다.

1. 가장 쉬운건 고음필터를 저항이 더 적은것으로 교체하는 것이고요. 필터를 따로 구하기는 어려우니 본문에 나와있는 것처럼 스폰지같은걸 활용해서 음향 댐퍼로 사용하는 방법이 있겠네요. 기존 붙어있는 매쉬필터를 떼내고 이어폰 위에 소개했던 것처럼 이어팁에 스폰지를 활용하여 원하는 수준의 고음량을 내는 방법입니다.
그런데 이 방법은 이어폰을 망가뜨릴 수 있으니 신중하셔야 하고요.

2. 이어폰 원형을 보존하는 수준에서 할 수 있는 방법은 지금 구경보다 큰 이어팁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다행히 시험해 볼 수 있는 이어팁 1종류가 있어서 샘플로 측정해 보았습니다.
대구경팁 사용시 변화.png

기본팁에 비하여 고음이 더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위 팁은 직경 6mm, 높이 5mm 가량 되는 싸구려 팁입니다. 이어팁 기둥의 길이가 짧아서 극적인 효과는 없는것 같습니다. 좀 더 높이가 높은 팁을 사용하면 변화량이 더 커지리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이어팁만으로 할 수 있는건 효과가 제한적입니다. 사이즈 문제때문에 가급적 필터 교체를 통해서 해결하는게 바람직하다고 봅니다.

음향 튜닝은 귀로는 너무 부정확하기 때문에 가급적 마이크를 활용하여 측정하면서 하는게 바람직합니다.
상대 음량만 확인한다면 매우 저렴하게도 가능합니다. 이어폰의 경우에는 몇백원짜리 실리콘 튜브 3cm정도되는거 하나와 실리콘튜브에 결합가능한 소형마이크(성능 구려도 상관없습니다만, 20khz까지 측정은 가능한제품이어야 합니다)하나면 되는데 마이크도 싼건 되게 쌉니다.

이번 글은 여기까지입니다.
다들 즐거운 음악생활 하세요~!


 

신고공유스크랩
QuantumLeap님 포함 4명이 추천

댓글 24

댓글 쓰기
profile image
디플MK2 측정치 고음 차이는 제품 간 편차같습니다. 저도 좀 다른 거 같아서 다른 분 꺼 구해서 측정해보니 제조사 측정이랑 비슷하더군요
09:46
18.08.23.
nalsse 작성자
헤메
역시 제품 문제였군요. 하하
12:24
18.08.23.
고음을 잘내려면 금속 필터를 떼어 버리라는 말씀이군요.... 10K부근을 더 높일 방법은 없는것으로 저도 판단됩니다. 원래 드라이버가 10K는 딥으로 내려가도록 되어있으니... ㅎㅎ 지금 가진 제품은 디락mk2라서 플러스보다는 저음이 좀 큽니다. 극저음에 맞게 극고음역대를 좀만더 올려주면 밸런스가 좋았을텐데 약깐 아쉬워서...제취향입니다...ㅎㅎ
답변 감사합니다.
스펀지를 써서 고음 누르는 방법이 저와 같은 방법을 쓰셔서 반갑네요. ㅎㅎ
12:48
18.08.23.
nalsse 작성자
예림이아빠
저음량과 고음량은 상대적인것이니 저음을 약간 줄이고 음량을 조금 높이면 원하시는 밸런스를 찾으실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디락제품이 10khz가 안나오는 제품은 아닌데 이도 용적이 작으신 경우인지도 모르겠습니다.
혹시 베이어나 그라도 같이 10khz근처가 잘 나오는 헤드폰을 들어보실때 쏘는 음이 느껴지시는가요?
13:47
18.08.23.
nalsse
베이어다이나믹 DT990pro 쓰고 있구요. 심벌음이 많은 재즈 들을때 심벌음 디테일이 아주 좋습니다. 물론 심벌음에 특화되어 있는 헤드폰과 디락mk2를 비교하는 자체가 문제일지는 모르지만 상대적으로 심벌음이 작고 디테일이 떨어져 이를 개선하고 싶은데 귓구멍도 적은편이라 용적도 작아 원하는 음질이 나오질 않네요. 전체적인 고음부는 제가 듣기에 많은편인데 극고음쪽이 작게 들려 보컬과 고음부 악기가 시끄럽기만하고 원하는 시원한 맛이 떨어집니다.
말씀하신대로 큰 이어팁을 써보았지만 극적인 효과는 보지 못했습니다. 아쉽네요...ㅠㅠ 이어팁도 S만 사용해야하는 저주받은 귓구멍이라...ㅎㅎ
제 귀의 특성상 이어폰으로는 원하는 소리를 못들을듯 합니다. ㅎㅎ
아래는 요즘 극고음 테스트할때 듣는 곡입니다. 심벌음의 디테일이 차이가 많이 납니다.
14:27
18.08.23.
nalsse 작성자
예림이아빠
dt990이 크게 불편하지 않게 들리신다면 디락제품은 튜닝으로 어떻게 할 정도는 아닌것 같습니다. 다른제품 찾아가셔야할것같아요. 이어폰중에 그런특성을 가진 제품이 있을것 같기도한데..
14:35
18.08.23.
nalsse 작성자
예림이아빠
좋은 곡 추천 감사드립니다. 녹음 엔지니어의 실력이 대박이네요. 심벌소리가 자극없이 너무 감미롭습니다.
위에 추천드린 eq 설치하셔서 14khz부분을 한번 주욱 올려보세요. 한 7db정도 올리면 10khz대역이 5db가량 올라갈겁니다. 다른 음역대가 영향받아서 조금 과하다싶으면 추가로 3.4khz를 -2정도.
물리적으로는 역효과를 볼 것 같으니 소프트웨어를 적극적으로.
사실 다른이어폰 넘어가도 특정대역에 불만은 분명히 생기는것이라..
제경우에는 이번에 나온 플러스제품은 고음역이 전체적으로 조금 더 나온다는거 말고는 음향적으로는 크게 단점을 못찾겠더라고요.
가지고있는 제품 고가제품들을 제치고 요즘 가장 많이 듣는 제품입니다ㅎㅎ

추천주신 가수의 다른곡도 들어봐야겠네요. 저녁에 가볍게 술한잔하면서 듣기 딱 좋을것같아요.
15:09
18.08.23.
nalsse
Bria Skonberg로 인터넷 뒤지시면 24bit 96K flac 파일이 있더라구요. 여성 재즈 싱어중 흔하지 않게 트럼펫을 부는 분인데 목소리도 좋고 녹음질도 상당히 좋습니다. 심벌음이 대박인 곡인데 디락으로는 아무래도 제대로 표현이 않되서 참 아쉽더라구요.물론 일반 팝이나 K-POP에는 디락mk2가 가격대비 좋은건 저도 인정합니다. 밸런스가 플러스 버전이 좋긴 한것 같은데 아이폰의 base reducer가 1k 부터 20hz 까지 직선으로 6db 낮추는 EQ라 구지 플러스 버전 살필요를 느끼진 않네요.
20:34
18.08.23.
nalsse 작성자
예림이아빠
곡추천 감사드립니다. 들어보겠습니다.
소리에 집중하다보면 정작 음악 감상이 됫전이 되어버리는.. 하하
20:39
18.08.23.
nalsse
Bria Skonberg의 곡은 DT990 같은 베이어 제품으로 듣는걸 추천 드립니다. 아무리 EQ로 맞춰보려해도 젠하이저 HD650 제품은 이런곡을 잘 표현 못하더라구요.
20:50
18.08.23.
nalsse 작성자
예림이아빠
유투브로 들어보고 있습니다.
연주 스타일이 아주 매력적입니다.
so is the day 너무좋은데요?

묵혀둔 그라도 꺼내서 들어보았습니다. 확실히 곡의 분위기가 확 살아나네요. 재즈쪽은 역시 쇳소리가 살아야 제맛인가봅니다.
21:15
18.08.23.
profile image
일단 스펀지가없어 저역만 아래 mk2세팅하니 필요이상 저역이 사라져 참 괜찮네요. 고역튜닝은 해보고 후기 말씀드릴게요.

+날쎄님은 영디비 정모 참석 안하시나요? 간다면 뵙고싶은 분인데 신청을 안 하셔서 물어봅니다.
23:53
18.10.05.
nalsse 작성자
SunRise
스펀지는 적당히 구멍 숭숭한거 고르셔서 밀어넣고 방탄 idol 노래틀어서 쏘는음 없는정도로 튜닝하시면 두루쓰기 좋으실겁니다. 이 곡이 좀 아슬아슬하게 고음역이 쏟아져서 귀로 튜닝하기는 좋습니다.

주말에는 집에서 할일이 많아서 정모는 참석하기 어렵습니다 하하
22:32
18.10.06.
profile image
nalsse
이제야 스펀지 끼우고 들어봅니다.
많이 자연스러워진 것 같습니다. 평소에 드럼 치는데 그와 비슷하게 맞춰졌네요.
15:41
18.12.10.
nalsse 작성자
SunRise
오랫만에 로그인해서 댓글을 이제 봤네요. 세팅 잘 되셨다니 좋네요.
키우는 개가 이 제품을 잘근잘근 씹어주셔서 이번에는 bevi 이어폰을 사보았습니다. 이제품은 튜닝의 폭이 넓어서만지는 맛이 있네요.
저렴하면서 좋은제품이 많이 나오는것같아서 좋습니다.
19:00
19.05.12.
profile image
nalsse
디락플mk2 업데이트 그래프를 보면 알겠지만 날쎄 님이 맞았습니다.

+비에이는 초고역이 영 신통찮아서 다음엔 돌피니어 한번 써볼까 생각중입니다.
02:51
19.05.13.
nalsse 작성자
SunRise
디락 측정치가 업데이트 되었군요ㅎㅎ
측정데이터는 조심히 보아야하는게, 측정 기준도 중요하지만, 기준선을 어디에 긋느냐에따라 왜곡시켜 받아들이게하는게 너무나 쉽습니다. 보통 저음보다는 중고음이 문제인데 적당한 위치에 기준선을 그어버리면측정치가 아주 좋은것처럼 보이기도하거든요. 가장 바람직한건 raw데이터를 던져주는게 맞다고 봅니다. 접근은 어렵지만, 정보는 정확해야하니까요.
하만타겟만해도 벌써 몇번 기준이 바뀐것으로 알고있어서, 차라리 날것이 좋은것같아요.
디락의 경우에는 다행히 선형적으로 고음역이 증가하는 형태라 보정이 가능했었습니다. 물론 스펀지 튜닝의 부작용으로 초고음역을 상당히 잃어버리긴했지만, 저는 전체적인 밸런스가 훨씬 중요하다고보는지라.. 잔향감을 제외하면 이어폰 수준에서 그 제품을 넘어서는게 많지는 않았습니다. 착용감도 좋은펀이고, 부족하다고 평가되는 잔향감이야 원래는 dsp로 해결하는게 맞다고 보고요. tws제품이 하만타겟99프로 일치되게 출시된다고 하는데, 디락의 음향 튜닝 방향과 비슷하다고 본다면 일단 그냥 쓰기는 제 기준에서는 밸런스가 안맞을 수 있다고도 생각합니다. 제가 생각하는 소리랑은 조금 거리가 있더라고요.
돌피니어가 가격이 괜찮게 내려오긴했는데 디락이 있으신데 굳이 구매할 이유는 없어보여요. 그 제품은 별다른 튜닝없이 저음량에서 밸런스가 맞아들어가리라 생각합니다.

이번에 관심가지고 구매한 bevi 이어폰은 싱글 ba인데도 초고역이 잘나옵니다. 극저음도 잘나오고요. 고음역을 걷어내고 들어보면 의외로 저음역의 표현의 뉘앙스가 괜찮습니다. 울림도 적당히 있는펀이고. 고음역을 좀 만져보려고 음향댐퍼를 놀즈사의것에서 추출해서 써봤는데 생각보다 고정이 아주 잘되네요. 재미있게 만져보는 중입니다. 손대기 전에는 그저그랬는데, 손좀 보고나니 꽤괜찮습니다. 요며칠 테스트해보고있는데, 이 이어폰은 임피던스가 7옴이라 기기 출력임피던스에 아주 민감한것 같더라고요. 이게 성능에도 불구하고 판매량이 안나오는 이유인가 싶어요. 저항 어댑터를 붙여서 소스기기를 가리지 않고 일정하게 소리를 내주도록 만드는게 관건인것같아요.
이어파이블로그의 계측치에는 고음이 적당한 수준으로 측정되어있는데, 제 기기에서는 다소 많이 나오더라고요. 일상폰으로 소니 xz1c 사용중인데 이제품 출력임피던스가 꽤나오나봅니다.
03:20
19.05.13.
profile image
nalsse
소니 기기가 대체로 출력 임피가 상당히 높습니다. A55였나 그건 20이니..
서울 갔을 때 베비 들을 걸 괜히 다른 것 듣다가 놓친가 아깝군요.
12:59
19.05.13.
혹시 스펀지가 아니더라도 컴플라이 폼팁을 사용하면 비슷한 효과가 나타날까요...?
대댓 주신분들 다들 감사합니다...!
02:15
19.05.12.
nalsse 작성자
QuantumLeap
팁만 교체하는것은 큰 효과가 없습니다. 이어폰의 댐퍼밀도를 높여서 고음을 낮추는게 주목적이어서요.
컴플라이팁의 경우에는 밀폐가 더 쉽게 잘되기때문에 저음이 더 많게 들릴수는 있지만 고음을 줄여주지는 못합니다.
솜으로도 가능하니 다양하게 시험해보세요.
18:57
19.05.12.
QuantumLeap
컴플라이 폼팁에는 왁스가드라고 귀지방지용 부직포?스러운 망이 설치되어있습니다.
스펀지만은 못하겠지만 고음을 좀 깎기는 하는걸로 알아요.
근데 제조사에서 가급적 고음 덜깎는 재료를 썼을꺼라... 막 많이는 안깎이지않을까 추정됩니다.
(물론 없는것보단 깎이겠죠)
23:57
19.05.12.
profile image
kalstein

망 건너편이 비쳐 보일 정도로 성글기 때문에 영향은 거의 없을 겁니다. ^^
제 가청 주파수가 ~12.7 kHz 정도라서 그 이상은 확인 불가이기에, 확언하지는 않음..  
 그리고 Sweat-guard나 Wax-guard가 포함된 제품은 좀 더 비싸요.

00:04
19.05.13.
터럭
약간은 있나보더라구요. 예전에 isine용 팁 찾을때... 외국사이트에서 왁스가드 있는거는 완전 비추를 ;;;
음이 완전히 muddy 하게 들린다고 하더군요. (isine용 큰사이즈 녀석만 그럴수도 있긴합니다)
00:12
19.05.13.
nalsse 작성자
kalstein
미묘한 차이는 있지만 튜닝용을 쓰기에는 그 영향이 미미한 정도라, 디락제품같이 고음역을 전체적으로 꽤 줄여야 하는 경우에는 부적절합니다. 그런제품은 보통 특정 대역에서 1~2db가량 영향을 주고 말더라고요. 보통은 자세히 듣지 않으면 가청하기 쉽지 않습니다.
03:27
19.05.13.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